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준
견본
척도
규범
규격
본보기
규칙
d라이브러리
"
기준
"(으)로 총 4,268건 검색되었습니다.
도박하면 대박? 수학으로 보면 쪽박!
수학동아
l
2014년 06호
32%가 15세 이전에 도박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불법 인터넷 스포츠 내기는 2012년을
기준
으로 거래 금액이 무려 7조 6000억 원에 이를 정도로 그 규모가 커지고 있다. 게다가 다른 도박과 달리 스포츠 내기는 돈을 따기 위해 종종 경기의 승부까지 조작한다는 점에서 그 위험성이 더욱 심각하다 ... ...
정육면체의 180˚ 변신 장미 큐브 만들기
수학동아
l
2014년 05호
나타나고, a의 값에 따라 꽃잎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진다. 수학에서 장미는 한 점을
기준
으로 생긴 원의 합을 뜻하기도 한다. 각각의 꽃잎은 한군데서 모두 만나는데, 이곳을 점으로 하고 꽃잎을 원으로 가정한 것이다. 여기서 원은 위상공간에서 정의한 것이기 때문에, 우리가 알고 있는 ... ...
최첨단 지도 연구 현장 국토지리정보원에 가다!
수학동아
l
2014년 05호
어떻게 만들어질까?독자기자들은 지리정보과 이지훈 연구원의 설명을 들은 후 전국의
기준
점을 관리하는 전산실과 지도제작 현장을 살펴봤다. 또한 다양한 지도를 전시해 놓은 지도박물관을 견학하는 시간도 가졌다.“과거에는 사람들이 직접 전국을 누비면서 측량한 값을 기초로 지도를 ... ...
우리는 미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병원과 제약회사의 마케팅 덕분에 정신건강 염려증이 번지게 됐고, 문턱이 낮아진 진단
기준
때문에 사람들은 실제로는 멀쩡한데 정신장애 진단을 받아 약물 치료를 받고 있다는 것이다. 사실 정신장애에 대한 기사를 보다보면 ‘나도 이런데’ 싶을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저자의 이력을 보면 ... ...
갑상샘암 검사 할까 말까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받지 않아도 된다.사회적으로는 갑상샘암을 좀더 정확하게 진단하고 검사하는
기준
을 마련해야 한다. 의사들은 수술 후유증이 최대한 적은 수술방식(또는 비수술적 관리)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정부에서는 최근 가이드라인을 세우기로 했다.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학술심포지엄을 마련해 평가와 ... ...
방사능보다 더 무서운 괴담의 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설정한 요오드나 세슘의 전체 양은 이거의 5~10% 밖에 안 돼. 예를 들어 한국 내부
기준
세슘 함유량의 최고치인 200Bq/kg짜리 우유를 1년 동안 계속 마셔도 1mSv의 약 10분의 1 정도의 방사선을 받게 되지. 방사능이 포함된 여러 음식을 먹었을 경우에도 몸에 해가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치야. 이제 ... ...
35.9% 지지율로 서울시장?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한다”고 주장했다.민주주의의 꽃이라 불리는 선거. 그 어떤 선거 방법도 공정성
기준
에 합격하지 못한다는 점이 다소 실망스럽다. 이처럼 선거 방법이 원천적으로 완벽하지 못하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특정 선거 방법에 의해 1등을 한 사람은 불완전하고 잠정적인 당선자일 뿐이다. 따라서 당선자는 ... ...
중단된 마라톤 기록, 수학으로 되찾는다
수학동아
l
2014년 05호
보스턴 마라톤의 참가 자격은 까다롭기로 유명하다. 대회 조직위원회에서 제시한
기준
기록을 통과해야만 참가 자격이 주어지는데,18세부터 34세까지의 남성의 경우 3시간10분 안에 완주해야 한다.그런데 작년 4월에 진행된 2013 보스턴 마라톤에서는 불미스러운 폭탄 테러가 일어나 중간에 경기가 ... ...
문화 따라, 같은 표정 다른 기분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6가지로 나누라고 했다.그 결과 나미비아 힘바족과 미국인은 6가지 감정을 구분하는
기준
이 많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역겨움과 슬픔을 나타낸 표정에 대해, 미국인은 모두 비슷하게 구분했다. 하지만 힘바족은 각양각색으로 해석했다. 두 국가에서 차이가 없는 표정은 기쁨과 ... ...
금융시장 주무르는 방정식 전문가들
수학동아
l
2014년 05호
그런데 1970년대 초까지만 해도 이런 금융파생상품을 대체 얼마에 팔아야 하는지 명확한
기준
이 없었다. 파는 사람과 사는 사람 모두 물건의 원가가 얼마인지 모르다 보니 활발하게 거래할 수 없었다. 하지만 1973년에 금융회사에서 일하던 수학자 피셔 블랙과 경제학 교수인 마이런 숄즈가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