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신비┃우주에 우리만 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검출할 목표를 세우고 있다. 그동안 세티 프로젝트에서 감지할 수 없었던 우주 깊은
곳
의 전파 신호까지 탐색할 수 있을 전망이다. 외계생명체를 탐색하는 과학자들은 외계인을 찾는 노력이 이제 막 시작됐다고 강조한다. 우리가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분석할 수 있었던 것이 불과 100년 전이니, 4 ... ...
모두의 N-S 방정식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바다 세계에 모셔왔다. “정확한 함수를 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실제 값이 필요한
곳
에서는 다른 방법을 씁니다.”풀리지 않은 문제가 이토록 널리 쓰이고 있는 점에 대해 채동호 중앙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이같이 설명했다. 밀레니엄 문제에서는 경계면에서의 값을 생각하지 않지만 비행기 ... ...
[Go!Go!학자]
곳곳
에 숨겨진 유적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수 있어 지하 유적의 형태까지 알 수 있지요. 넓은 지역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아예 높은
곳
에서 드론이나 비행기, 인공위성이 찍은 사진을 통해 유적을 찾을 수도 있어요. 이런 방법을 ‘공중탐사’라고 해요. 페루의 유명한 나스카 유적이 이런 식으로 발견되었지요. 가뭄이 고고학자를 도와준다고 ... ...
식물학자의 한국 우주인 도전기 한국형 SF소설 ‘중력’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것이다. 한국인에게 이제 우주란 아무도 가보지 못한
곳
도, 그렇다고 누구나 가본
곳
도 아니다. 그만큼 모두가 매력을 가질 만한 공간은 아닌 셈이다. 그럼에도 2006년 우주인 배출 사업에 지원한 사람들은 3만7000여 명에 달했고, 그 중 적지 않은 사람들이 우주인이 되고 싶은 강렬하고 진지한 꿈을 ... ...
[검시관의 사건노트] 혈흔과 뼈가 말하는 살인사건의 진실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의자 등 주변 집기를 꼼꼼히 살폈다. 보통 윤곽혈흔은 혈흔을 닦아야만 형성된다. 이
곳
에서는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을까? 수사팀은 숨겨진 혈흔을 찾기 위해 밤이 오길 기다렸다. 현장 전체에 루미놀을 사용해 숨겨진 혈흔을 모두 찾을 생각이었다.루미놀 용액과 과산화수소수를 혼합해 피에 ... ...
“탄소 저장한다니 신기해요” 소금 땅에서 만난 빨간 식물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눈에 띄었다.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자 윤 책임연구원이 갈대와 갯끈풀이 모여 있는
곳
으로 학생들을 이끌었다. 밀물 때가 되기 전에 더 중요한 걸 보여줘야 했다. 윤 책임연구원은 학생 몇 명에게 갈대와 갯끈풀 밑을 한 번 파보라고 말했다. 학생 네 명이 삽을 들고 파기 시작했다. 하지만 여간해서 ... ...
명화가 훼손되면 어쩌죠?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9등분돼서 흩어졌습니다. 9개의 조각 중 8개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서 미국의 미술관 몇
곳
에서 나눠 소장하게 됐지만 나머지 하나는 자취를 감춰서 완전체를 볼 길이 없었죠.미술품 복원 전문가들은 도브시 교수팀과 힘을 합쳐 나머지 한 작품을 복원했습니다. 우선 역사적인 기록을 토대로 전문가가 ... ...
[가상인터뷰] 바다뱀도 바닷물을 못 마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6호
Hydrophis platurus)이라고 해. 뱀 중에선 유일하게 바다 표면에서 살아가고 있지. 우린 따뜻한
곳
을 좋아해. 그래서 주로 인도양이나 태평양 서쪽 열대 지방에서 살아가고 있단다. 최근엔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바다가 따뜻해져서 아주 가끔 한국까지 가기도 해. 내 이름에서도 알 수 있겠지만, 난 평생 ... ...
[생각실험실] 순간이동을 하려다 문제가 생겼다! 누가 나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이용하면 여러분은 세포 단위로 쪼개지고, 다시 원자 단위로 쪼개져 그 정보가 그대로 먼
곳
까지 전달되지요. 목적지에서는 그 정보가 다시 합쳐져 새로운 여러분이 만들어지고요. SF 영화 에 나오는 순간이동 장치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때 정보는 빛의 속도로 보낼 수 있다고 ... ...
손에 붙이고, 옷에 심고 웨어러블 패션의 시작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한순간에 어쭙잖은 것으로 치부될 수도 있다.이를 알면서도 기자는 웨어러블 연구실 두
곳
에 감히 시연을 요청했다. 3월 홍용택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은 신체부착형 웨어러블을 개발해 공개했고, 4월 임정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광소재연구단 책임연구원은 의류일체형 웨어러블을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