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술부대
술고래
오스트레일리아
술꾸더기
술꾸러기
술보
술푸대
뉴스
"
호주
"(으)로 총 2,02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 종합 3위
2015.07.17
중국으로 종합점수 181점을 받았다. 한국은 매년 열리는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 1988년
호주
캔버라 대회부터 참가해 2012년 아르헨티나 마르델플라타 대회에서 종합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 ...
파도따라 밀려온 ‘독한 놈들’ 일단 피하는 게 상책
2015.07.11
범섬, 섶섬 등 제주 남부의 섬 근처 해역 깊은 곳에서 청자고둥을 볼 수 있다”면서 “
호주
같은 열대 해역에서는 5m 이하의 해수욕장에서도 발견되지만 국내에서는 스쿠버다이버 등 깊은 바다에 들어가는 사람이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 ...
기후변화가 ‘성전환 도마뱀’ 만든다
2015.07.05
달라지면 성별이 바뀔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었다. 클레어 호렐레이
호주
캔버라대 응용생태학 박사팀은 이번주 ‘네이처’에 온도에 따른 도마뱀의 ‘성전환’ 현상을 야생에서 처음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도마뱀 131마리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그 중 11마리가 ... ...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06.30
탐사한 과학작가 김지현 과학동아 별학교장과 김병수 박사가 사진과 글을 보내왔다. 서
호주
의 지형과 하늘을 2회에 걸쳐 시리즈로 소개한다. 김병수 서울대 의대를 졸업한 피부과 전문의이며 의학박사다. 진료시간 이외에는 행성 지구와 우주의 신비를 탐구하는데 매진하고 있다. kimbssss@hotmail ... ...
전염병과 싸우는 사람들
2015.06.13
참석하기 위해 비행기에 올랐다가 안타까운 죽음을 맞았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호주
퍼스로 가던 말레이시아항공 여객기가 미사일에 격추됐고, 랑어 박사를 포함해 탑승자 298명 전원이 사망했다. 당시 여객기에는 랑어 박사 외에도 에이즈 학회 참석차 여러 에이즈 전문가들이 탑승해 ... ...
킁킁~, 비 냄새의 정체를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6.12
1960년대에 들어선 후에야 비 냄새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이 시작됐지요. 1964년
호주
연방과학원의 이자벨 베어와 리처드 토머스 연구원은 과학전문지 에 비 냄새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어요. 이 논문에서 두 사람은 비 냄새에 ‘페트리코(Petrichor)’라는 이름을 붙였어요. 그리스어로 바위를 ... ...
산(酸), ‘풍요의 시대’ 연 식품계의 일등 공신
2015.06.02
3-MCPD가 0.3mg/kg 이하, 기타 HVP의 경우 1.0mg/kg 이하로만 검출돼야 한다. 이 기준은 유럽이나
호주
, 말레이시아 등(0.02mg/kg)보다는 느슨하지만 미국 FDA(1.0mg/kg)와는 같거나 높은 기준이다. GIB 제공 ◇ "하나의 유령이 식탁을 배회하고 있다. 산(酸)이라는 유령이" 현재까지의 조사, 연구 결과를 보면, 잘 ... ...
장수하려면 저단백-고탄수화물? 고단백-저탄수화물 아니고?
2015.05.31
위험을 줄일 수 있어 다이어트 식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스테펜 심슨
호주
시드니대 찰스페킨스센터 연구원팀은 섭취 칼로리를 제한할 때와 제한하지 않는 두 가지 상황에서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비율을 달리하는 식으로 8주간 먹이를 제공했다. 그 결과 단백질의 비율이 낮고 ... ...
몸길이 2m짜리 캥거루가 마을 주변에? 울퉁불퉁 근육·거만한 표정에 ‘움찔’
동아닷컴
l
2015.05.27
▼ 로이터 직역 기사 ▼
호주
퀸즐랜드 주(州) 브리즈번 교외에 사는 주민들은 몸길이 2m의 대형 캥거루를 보는 것에 제법 익숙해져 있다. 현지 매체는 이 거대 캥거루가 최근 이 지역으로 이동해오면서 주민들 눈에 자주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매체들에 따르면 몸무게가 95kg에 이를 것으로 ... ...
셜록도 혹한 ‘미생물 포렌식’을 아시나요?
2015.05.15
경우에도 미생물로 용의자를 찾아낼 수 있는 가능성이 제기됐다. 실바나 트리디코
호주
머독대 연구원은 성범죄 현장에서 발견된 음모에 사는 미생물이나 피해자의 몸에 남아있는 미생물로 용의자를 특정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지난해 12월 과학수사 분야 학술지 ‘수사 유전학(Investigative Genetics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