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겹
켜
지층
계층
플로어
두께
층계
뉴스
"
층
"(으)로 총 2,051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라이팬과 휴대전화의 공통점은?
2014.12.12
점을 이번 전시를 통해 알리고 싶다”고 말했다. ‘노벨상과 나’는 과천과학관 1
층
에 마련됐다. 13일 오전 10시부터 어울림홀에서는 올해 노벨상 시상식 녹화 영상을 보면서 노벨상의 의의와 수상자의 업적을 해설하는 ‘노벨상 시상식 토크한마당’이 열린다 ... ...
2020년 향해 나로우주센터는 업그레이드 중
2014.12.12
한국형발사체에 들어갈 연소기를 시험할 수 있는 10
층
규모의 설비가 세워졌다. 한영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추진시험평가팀장은 이곳에서 75t급 연소기 연소시험을 3차례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 고흥=전승민 기자 enhanced@donga.com 제공 “연소기 시험설비 설계도만 3000장을 그렸습니다. 이렇게 ... ...
그래핀에 올빼미 그렸더니…
2014.12.10
연구를 진행했다. 이를 위해 우선 ‘폴리이미드’라는 플라스틱 물질 위에 여러
층
의 그래핀 박막을 입힌 그래핀 축전기를 만들었다. 그런 뒤 레이저로 그래핀 박막 위에 올빼미 모양의 무늬를 새겼다. 전자현미경으로 이 그래핀 박막을 관찰한 결과 탄소 원자 6개가 6각형 모양으로 배열돼 ... ...
125nm HIV 막는 0.03mm 두께 콘돔
과학동아
l
2014.11.28
상금을 걸기도 했다. 핵심은 두께를 확 줄인 초박형 콘돔. 영국 맨체스터대는 원자 몇
층
에 불과한 그래핀을 이용해 ‘그래핀 콘돔’ 아이디어를 냈고 미국 오리건대는 시중에 나와 있는 콘돔 두께를 절반으로 줄인 ‘폴리우레탄 콘돔’을 제안했다. 자꾸만 얇아지는 콘돔이 에이즈의 원인균인 ... ...
맥가이버를 보고 과학자를 꿈꾸던 소녀
동아사이언스
l
2014.11.27
이현정 박사를 만났다. 고체물리학 전공을 선택한 이유 연구소 4
층
휴계실에서 - 국가핵융합연구소 이현정 박사 제공 이현정 박사의 전공은 고체물리학이다. 고체물리학은 고체의 물리적 성질을 원자 구조와 관련해 연구하는 물리학의 한 분야다. 그녀가 고체물리학을 전공으로 택한 이유는 ... ...
손목에 감쌀 수 있는 플라스틱 태양전지 나왔다
2014.11.18
연구진은 플라스틱 기판 위에 원자를 한
층
씩 붙이고 플라스마로 박막을 만드는 ‘원자
층
증착법’을 이용해 열처리 과정 없이도 태양전지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 태양전지는 효율이 12.2%로 지금까지 개발된 휘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가운데 가장 높았다. 이 태양전지는 손목 둘레와 ... ...
흑린(黑燐), 차세대 트랜지스터 주인공 될까
2014.11.17
대해서는 논란이 있었다. 연구팀은 흑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보호
층
을 생각했다. 흑린을 무기물인 산화알루미늄(Al2O3) 막으로 감싸자 2개월이 지난 뒤에도 흑린은 공기 중에서 안정적으로 존재했다. 논문의 1저자인 나준홍 KIST 박사는 “흑린 소재의 트랜지스터가 안정적으로 ... ...
아우구스티누스 석상 복원에 나노 입자가?
2014.10.31
이태종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는 “현재 복원 중인 미륵사지 석탑과 불국사 3
층
석탑(석가탑)에도 에틸실리케이트에 각 석재와 비슷한 나노 입자를 첨가한 물질이 사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비슷한 석재 쓰는 나라 간 협력 활발 석조물 복원 연구에는 유난히 국제 공조가 활발하다. ... ...
휘어지는 투명 태양전지, 간단하게 찍어 만든다
2014.10.28
둘 사이의 경계면에 전기장이 발생해 이러한 현상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규명하고 고분자
층
의 표면에너지를 높여 문제를 해결했다. 그 결과 8nm(나노미터·1nm=10억분의 1m)의 얇은 두께에도 기존 170nm 두께의 전극보다 전기를 잘 통하는 전극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 전극으로 만든 유기 태양전지는 ... ...
2014 노벨화학상 수상자 에릭 베치그 교수의 새 작품은?
2014.10.26
Lattice light-sheet microscopy)을 이용해 선명한 이미지를 얻어냈다. 현미경으로 시료를 한
층
씩 스캔한 다음 이를 모아 3차원 이미지로 만들었다. 베치그 교수는 “살아있는 상태의 생물을 찍을 수 있는 이미징 기술은 생명현상을 이해하는 창”이라고 강조했다. 네이처 제공 이번 주 ‘네이처’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