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뉴스
"
저자
"(으)로 총 2,210건 검색되었습니다.
[책의 향기]DNA는 안다, 인류 진화의 비밀
동아일보
l
2015.10.03
등 고인류학은 논쟁이 활발한 분야다. 그러나 공상과학 같은 프로젝트를 성공시킨
저자
의 이야기는 흥미진진하다. 지난해 아마존 ‘올해의 책’으로 뽑혔다. 조종엽 기자 jjj@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만큼 구부려서 본다 - 스키니진 ... ...
빨간색→회색→청색, 카멜레온 같은 전자피부
2015.09.30
이에 따라 배에 달린 물질의 화학 구조가 바뀌면서 색이 바뀌는 원리다. 논문의 제1
저자
인 호시우 추 박사후연구원은 “현재 전자피부는 두 가지 색으로만 바뀌지만 관련 물질을 추가 개발하면 다양한 색으로 바뀌게 할 수 있다”며 “전자피부가 사람에게 적용되는 만큼 몸속에서 스스로 ... ...
일본판 황우석 사건…과학자들이 마침표 찍다
2015.09.29
통해 남아있던 의혹의 싹까지 남김없이 제거한 셈이다. 같은 날 STAP세포 논문의 공동
저자
인 찰스 바칸티 교수가 속한 미국 하버드대 등 7개 연구팀도 “총 113번에 걸쳐 세포 제작을 시도했지만 만들 수 없었다”고 네이처에 발표했다. 2014년 1월은 일본 과학계의 신데렐라가 탄생한 날이었다. ... ...
야자열매, ‘떡잎’ 때 미리 품질 안다
2015.09.29
기술의 발전에 대한 리뷰 논문 4편이 특집으로 소개됐기 때문이다. 각 분야 전문가들이
저자
로 참여해 인간 유전자 분석기술의 발전과정과 해결해야 할 도전과제 등을 주제로 삼았다. 유전자 분석기술은 1953년 ‘네이처’에 DNA의 비밀이 밝혀지며 시작됐다. DNA가 이중 나선 구조로 돼있다는 ... ...
치약 속 미세 알갱이가 환경을 파괴한다고?
2015.09.27
연구결과를 학술지 ‘대서양 연구저널(Journal of Great Lakes)’ 5월호에 발표했다. 연구의 제1
저자
인 알렉스 드레이저 연구원은 대서양 지역 환경조사를 통해 대서양에 마이크로비드와 같은 플라스틱 찌꺼기들이 무수히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하지만 마이크로비드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 ...
冊으로 연휴 즐기기… 정서와 문화로 바라본 과학
2015.09.26
장면을 표현하기 위해 5개의 축을 가진 수직 다관절 로봇과 제어기가 동원됐다. 이처럼
저자
는 독자들의 뇌리에 남아 있는 뮤지컬의 한 장면을 상기시키면서 로봇 기술이 이미 인간의 감수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 준다. ■ 서호주 (박자세 著, 엑셈 刊) 과학책에 앞서 ... ...
논문에서…내 이름이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15.09.24
사전 등록제”를 주장한다. 우리나라에선 연구가 다 끝나고 논문출판 직전에 가서야
저자
순서를 결정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반면 선진국에선 연구를 시작하기 전
저자
순서와 역할을 미리 정하고, 중간에 역할이 바뀔 때마다 협의하는 문화가 자리 잡고 있다. 갈등이 생길 여지가 훨씬 적다. 이런 ... ...
적게 먹으면 오래 산다? 이유 있었네
2015.09.22
줄어들었다. 써투 단백질이 소식과 수명의 연결고리라는 사실을 확인한 셈이다. 논문 제1
저자
로 연구에 참여한 강우규 연구원은 “써투 단백질을 이용하는 노화 방지 신약이 현재 세계적으로 임상시험 중에 있다”며 “써투 단백질이 어떻게 노화에 영향을 주는지 알게 된 만큼 임상시험에도 ... ...
1953년 스탠리 밀러의 초기 지구 조건에서 아미노산 합성 실험
과학동아
l
2015.09.20
들어있지 않다는 것. 보통 같으면 제1
저자
(주로 실험을 한 사람)에 스탠리 밀러, 교신
저자
(실험의 책임자로 주로 지도교수)로 헤럴드 유리의 이름이 올랐을 것이다. 아마도 유리 교수가 명예욕이 없는 사람이거나 노벨상 수상으로 모든 걸 이뤘기 때문이 아닐까. 밀러는 훗날 자신이 유리 교수의 ... ...
썩은 그루터기도 귀한 생명을 품어 내는 보금자리가 된다
2015.09.20
귀한 생명을 품어 내는 보금자리가 된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지난 봄 책의
저자
김성호 서남대 교수를 만났던 일이 떠올랐다. 기차역으로 바래다주던 김 교수가 갑자기 차를 세우더니 앞좌석에서 쌍안경을 꺼냈다. 잠시 숨을 죽이고 논 가운데를 바라보더니 새의 이름을 중얼거렸다. 김 교수의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