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향
효험
효능
결과
효력
작용
가치
d라이브러리
"
효과
"(으)로 총 6,53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의 이름은 별보다 많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92억 개의 명함은 3+1차원 영상 속에서 주인의 통신이 끊긴 위치를 찾아 날아간다. 별다른
효과
음을 지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소리가 날 리는 없지만 이런 광경을 볼 때마다 나는 어떤 환청을 듣는다. 명함들은 파닥거리면서, 하지만 사각형 모양새에 어울리게 가로와 세로는 맞춰가면서 천공의 빈틈을 ... ...
[8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 기자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이겨내자“…팔, 다리에 물을 약간 뿌리면 물이 기화하면서 체온이 낮아진다. 더욱
효과
적인 방법은 물기를 조금 더 긴 시간동안 유지 할 수 있도록 돕는 ‘쿨토시’를 이용하는 것이다. 또 혈관이 많이 지나가서 온도가 높은 목덜미나 정수리에 물에 적신 수건을 올려놓는 것도 좋다. …”윤재민 ... ...
[생활] 변덕쟁이 날씨를 예측한다! 기상 통계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경우가 1만 편당 7~11회에서 4~6회로 줄었다고 해요. 이로써 연간 60억 원의 비용을 줄이는
효과
를 거둘 수 있었답니다.2. 비오는 날에는 피자빵, 불쾌지수가 높을 땐 샌드위치!프랜차이즈 빵집 B사는 ‘날씨 판매지수’를 개발해 판매에 활용하고 있어요. 날씨 판매지수란 날씨에 따라 많이 팔리는 빵을 ... ...
이영돈 PD의 수학 먹거리 X파일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상자 벽에 밀착해 정사각형 방식으로 채우는 게 낫다. 병의 개수가 많아지면 모서리
효과
보다 병들 사이 공간을 효율적으로 채우는 것이 더 중요하다. 17세기 독일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요하네스 케플러는 작은 입자들의 부피를 최소화하려면 어떻게 배열해야 하는지 연구하다가 직접 일일이 ... ...
누가 더 친환경적일까?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일으키는 비행운과 새털구름까지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이산화탄소보다 온실
효과
가 강하지만 지속되는 시간은 짧다.자동차와 대중교통은 상황에 따라 달랐다. 대형승용차를 혼자 타고 가는 건 비행기와 비슷한 수준으로 악영향을 끼쳤다. 대형승용차를 타고 1000km를 이동하면 ... ...
살충제 잘못 쓰면 사람도 쓰러진다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02. 유기인계 살충제1차 세계 대전 중 독가스의 한 종류로 개발된 유기인계 살충제는 살충
효과
가 좋아서 쓰기 시작했다. 독성이 강하지만 반감기가 매우 짧아 사용 후 남아있지 않으며, 가격이 저렴해 과거에 많이 쓰였다.유기인계 살충제는 체내에 들어오면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 ...
바이러스로 암 잡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체내에서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독성이 암을 유발하는 유전자를 분해하는 데
효과
가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낸 것”이라며 “앞으로 이 바이러스의 염기서열을 자유자재로 조작해 암이나 다른 난치성 질환을 일으키는 마이크로RNA를 선별적으로 제거하는 치료제 개발에 응용할 수 있을 ... ...
전기료 폭탄 피하는 에너지 절약 비법 3 + α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전기가 대기 전력으로 새어나간다.방안에 있는 플러그를 멀티탭에 꽂으면 대기 전력을
효과
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기사 내용은 ‘미스터갈릴레이의 별별이야기’ 저자인 심재철 작가가 자신의 집과 아파트 단지에서 실천해 성공한 내용입니다. 심 작가는 자기 집 전기세를 35% 절약했으며, 단지 ... ...
저녁형 인간이 손해 보는 세상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일어나는 벌레는 새에게 잡아먹힌다”는 말처럼 억지로 일찍 일어나는 건 오히려 역
효과
를 일으킬 수도 있다. 과연 아침형과 저녁형 중 누가 더 나은 건지, 그저 다른 유형일 뿐인 건지 살펴보자.얼마 전 눈길을 끄는 기사가 한바탕 인터넷을 달궜다. 저녁형 인간이 아침형 인간보다 더 영리하며 장차 ... ...
투명한 뇌, 우울증 신경을 찾다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교수가 뇌심부자극술로 난치성 우울증을 치료할 때 MFB 신경다발을 자극하는 것이 매우
효과
적이었다는 연구 결과를 ‘생물학정신의학’ 저널에 발표했다. 당시는 조 교수팀이 아직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 전이었다. 그래서 슈렙퍼 교수는 “자세한 원리는 아직 모른다. 다만, 극심한 우울증을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