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활용"(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수학증명, 인공지능에 맡겨라!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연구팀은 미국 컴퓨터과학자 존 해리슨이 만든 증명 프로그램 ‘HOL Light’을 활용해 새로운 인공지능을 만들었습니다. 여기에 이미 수학자가 증명한 수학 정리 1만 개를 학습시키고, 수학적 귀납법처럼 수학자가 쓰는 증명 기술 41개도 학습시켰습니다. 그 뒤 입력하지 않은 수학 정리 3,225개를 ... ...
- 수학 문화재는 어떻게 알아보나요?수학동아 l2019년 06호
-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한국에서도 7세기 초 백제시대에 이미 구구단을 외우고 활용했던 기록이 발견됐거든요. 구구단이 기록된 목간(나무판)입니다. 일본에서 발견된 구구단 기록보다 훨씬 앞선 기록이어서 변명의 여지없이 구구단이 중국에서 한국을 거쳐 일본으로 전파된 것이 확인된 겁니다 ... ...
- 대한수학회 회장 금종해 교수 인터뷰 "수학 실력은 국가 경쟁력!"수학동아 l2019년 06호
- 늘 똑같은 것만 하는 것 같죠? 그렇기 때문에 가공하지 않은 원석처럼 여러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어요. 학습 부담을 덜어준다는 이유로 배우는 내용을 줄이면 나라의 경쟁력이 낮아지고 학생들의 미래도 어두워져요.예를 들어 행렬은 빅데이터와 AI를 다루기 위한 기초 개념인데 고등학교 교육 ... ...
- Step3. 수학으로 예보 정확도 높인다! ‘자료 동화’수학동아 l2019년 06호
- 국립환경과학원과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진행한 초미세먼지 측정 결과에 자료 동화를 활용해서 초미세먼지의 주범을 알아낸 것이죠. 그 결과 우리나라에서 배출하는 암모니아를 가장 먼저 줄이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임을 밝혔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암모니아는 가축을 키우거나 거름이나 비료를 ... ...
- 최고가 그림의 비밀, 데이비드 호크니 展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색의 사용은 이후 작업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을 뿐아니라 호크니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는 데 동기가 됩니다. 첨단 기기에 빠져든 화가호크니는 우리가 세계를 바라보는 방식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며 60년 동안 다양한 작품 활동을 이어나갑니다. 한때는 대상을 여러 번 사진 찍어 콜라주로 ... ...
- [과학뉴스]우주여행이 코앞에? 민간 우주선, ISS 찍고 돌아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지난 3월 2일 아침,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첫 민간 유인 우주선 ‘크루 드래건’이 우주로 향했어요. 단 우주선 안에 사람은 타지 않았으며, ‘리플리’라는 ... 모은 자료는 올해 7월, 밥 벤켄과 더그 헐리 두 명의 우주인을 태운 두 번째 시험비행에 활용될 계획이랍니다 ... ...
- 오퍼튜니티, 성과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분광기’가 쓰인답니다. 철은 물과 만나면 다양한 이온 상태로 변하거든요.이런 장비를 활용해 오퍼튜니티가 지구로 전해온 첫 번째 물의 흔적은 착륙 지점 부근에서 수도 없이 발견된 직경 4~6mm의 조그맣고 동글동글한 알갱이에요. 보랏빛을 띠어 블루베리라고 이름 붙여진 이 광물은 적철석이지요. ... ...
- 고려대-SK하이닉스, 연세대-삼성전자 반도체 인력의 세대 교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한 시스템반도체가 필요하다. 두 번째는 서버와 같이 큰 기기에 활용할 ‘고대역폭메모리(HBM·High Bandwidth Memory)’다. 고대역폭메모리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반도체와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위아래로 쌓아 거리를 최소화한다. 데이터가 오가는 거리를 줄여 정보 처리 ... ...
- “탄소 저장한다니 신기해요” 소금 땅에서 만난 빨간 식물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이를 잘 활용해서 탄소를 흡수하는 자원으로 활용하는 방법도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갯벌 체험을 무사히 마친 학생들은 바위로 돌아와 준비한 물로 몸에 잔뜩 묻은 갯벌 흙을 씻어냈다. 박예빈 양(인천 학익여고 1학년)은 “항상 생물다양성을 위해 ... ...
- [미국유학일기] ‘오피스 아워’에 자주 찾아가 교수와 친해지기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무척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교수와 대화를 나누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이 시간을 적극 활용하면 수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교수와도 친해지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볼 수 있다. 한국에서는 이런 제도가 흔치 않다.그렇지만 교수와 친하다고 해서 성적을 더 잘 받는 것은 아니다(!). ... ...
이전1831841851861871881891901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