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미래의 사이버그를 위하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수명에 무척 중요하답니다.배터리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은 배터리의 크기와 무게를 늘리는 거예요. 그런데 배터리가 크고 무거우면 작고 빠르게 움직이는 사이버그를 만들 수 없어요. 이 때문에 가볍고 작은 배터리를 만들거나,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할 ... ...
- 얼꽝 용승이 인스타그램 스타 만들기 대작전!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물체에서 반사돼 렌즈 중심을 통과하는 빛이 직선이기 때문에 A와 B는 맞꼭지각으로 항상 크기가 같고 배율도 일정해. 그런데 카메라 렌즈는 화각★을 크거나 작게 만들기 위해 렌즈 여러 개를 조합해서 만들어. 물체에서 반사돼 나온 빛이 여러 렌즈를 통과하다보면 B가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 ...
- [과학뉴스] 화학자가 새롭게 밝힌 눈송이의 비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결정 구조는 중심부 물 분자 주변을 다른 여섯 개의 물 분자가 감싼 편평한 육각형이며, 크기가 기존 가정보다 크다는 사실을 밝혀냈다.연구팀은 결정 구조에 따른 열 방출 수식도 세웠다. 슐츠 교수는 “층이 두 개인 의자 모양 얼음은 면적당 열을 가장 많이 방출해 금방 증발한다”며 “이보다 ... ...
- [Photo] 마법의 돌 ‘녹지 않는 얼음’ 석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나타낸다.자연 상태에서는 순수한 SiO2만으로 결정을 이루는 것은 아주 드물고, 비슷한 크기의 불순물 이온들(철, 티타늄, 망간 등)이 부분적으로 규소 대신 산소와 결합해 다양한 색상의 변종들이 생겨난다. 보라색 자수정과 노란색 황수정, 분홍색 장미수정 등이다.또 석영은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동물의 권리는 우리가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후기 백악기 초식공룡인 ‘트리케라톱스’의 진본 골격도 전시돼 있었어요. 엄청난 크기에 압도됐어요. 진본 골격이란 공룡 등 과거에 살았던 생물의 실제 뼈 화석이에요. 이 외에도 국내 최초로 전시된 것들이 많아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10억 년 전 화석 ‘스트로마톨라이트’와 25억 년 ... ...
- [식물 속 동물 찾기] 털이 송송~! 노루의 귀를 닮은 노루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다른 종의 노루귀를 볼 수 있어요. 땅이 척박한 제주도나 남해안 지역엔 노루귀보다 크기가 작은 ‘새끼노루귀’가 노루귀와 함께 자라요. 반면 습도가 높고 유기물이 풍부한 울릉도엔 노루귀보다 큰 ‘섬노루귀’만 자란답니다 ... ...
- Part 3. 무기 속의 또 다른 무기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무기가 된다. 알카에다 테러조직 소탕에 사용된 곤충크기의 소형 드론부터 전투기 크기까지 다양하다. 핵무기를 수학자가 만들었다고?! 현존하는 무기 중 가장 강력하고 치명적인 무기는 핵무기다. 핵무기는 핵분열이나 핵융합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에너지를 이용한 무기다. 미국은 2차 세계대전 ... ...
- [과학뉴스] 마스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0은 평균 지름 0.6μm 크기의 미세입자를 80%이상 걸러낼 수 있고, KF94, KF99는 평균 지름 0.4μm 크기의 입자를 각각 94%, 99% 이상 걸러낸다는 뜻입니다. 참고로 미세먼지로 분류되는 PM2.5는 지름 2.5μm 이하인 먼지를 일컫습니다. KF94와 KF99는 미세먼지보다 작은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같은 전염성 ...
- [과학뉴스] 인간의 후각, 기대 이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분석해서 통념을 뒤집는 결론을 얻었다.맥간 교수는 인간과 다른 포유동물의 후각신경구 크기와 신경세포 수를 기존 연구를 통해 비교했다. 그 결과 인간의 후각신경구가 절대적으로 크고, 안에 들어있는 신경세포 수도 1000만 개 내외로 다른 동물과 유사하다는 점을 확인했다.그는 또 동물마다 ... ...
- [과학뉴스] 비밀 임무 수행하고 2년 만에 우주에서 돌아온 X-37B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연상케 하는 이 우주비행선은 길이 8.8m, 무게 5t으로 우주왕복선의 4분의 1 정도 크기다. 비행 궤도와 고도를 자유롭게 수정할 수 있으며, 태양전지를 이용해 에너지를 생산하기 때문에 오랜 기간 우주에 머물 수 있다. 2010년부터 지금까지 총 네 차례 우주에 머물면서 베일에 싸인 임무를 수행했다 ... ...
이전1831841851861871881891901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