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
조직망
시스템
제도
이론
학설
주의
d라이브러리
"
체계
"(으)로 총 2,658건 검색되었습니다.
2 소프트웨어-펜티엄을 펜티엄답게 쓰자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경우를 예로 들어 업그레이드의 이점을 살펴보도록 하자.먼저 컴퓨터 입문자에게는 문자
체계
인 도스에 비해 배우기도 훨씬 쉽고 윈도 3.1보다 안정적인 윈도 95의 사용을 권장한다. 사용이 쉽기도 하지만 늦게 시작한 만큼 빨리 배워야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윈도 95 초기 화면은 초보 사용자가 ... ...
조선왕조실록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92년부터. 실록과 같은 고전자료를 전산화하기 위해서는 한자에 대한 보다 확장된 부호
체계
가 필요한데, 서체개발 분야에서 단연 국내 최고를 자랑해온 서울시스템은 회사내에 '한국학 데이터베이스연구소'를 설림하고 이를 추진했다.그동안 실록은 일반인들이 접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던 ... ...
GPS 인공위성 이용 정밀한 위치 측정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있다.한편 우리나라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지도
체계
를 GPS에서 사용하는 세계 공통 지도
체계
(WGS84)로 전환하려는 계획이 수립되어 추진 중에 있다. GPS는 그 외에도 광산의 침강 및 아파트 등의 구조물 변형과 댐의 변형 등을 감시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GPS를 이용하여 대륙간의 거리를 재고 지각의 ... ...
Ⅰ 하이테크에서 하이컬처로 최대의 만족감을 설계한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인간의 감성 변화를 생리학적 척도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감성의 생성과정에 대한
체계
적인 연구가 선행돼야 한다. 감각의 종류와 특성, 이들을 인지하고 처리하는 인간의 감각기관들이 갖는 특성과 한계(sensing) 감지된 감각 정보들이 인체 내에서 처리되는 과정(perception)과 이에 따르는 ... ...
3 색채-인간은 1천만가지 색을 인식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등)이 있다. 샤프사는 이들 사이에 질서있는 관계를 구축하고, 제품의 특성에 따라
체계
적인 색채계획을 수립함으로써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이다.색채에는 물체에 빛이 반사돼 나타나는 물체색 외에도 발광체의 색인 광원색이 있다. 광원색은 조명 컴퓨터 텔레비전의 화면색 등을 ... ...
Ⅲ 한국형 감성공학, 세계로 나간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하되 인간이 사용하는 제품이나 환경에 대한 종합적 만족감과 관계되는 '개인의 감성'을
체계
적으로 연구하는 '한국형 감성공학'의 개념을 만들어 가고 있다.많은 연구자들은 감성공학의 개념과 목적이 모두가 수긍할 만큼 명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덤벼드는 경우가 아직도 적지 않음을 부인하지 ... ...
2 단편적일뿐
체계
적이지 못하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보다 가까이 경락·경혈에 접근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증거는 단편적이고
체계
적이지 못해 경락을 이해하는 데 충분한 조건이 되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이 미지의 과제를 우리나라의 젊은 과학자들에게 남긴다 ... ...
조선 건국의 상징 「천상열차분야지도」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나눠 차례대로 늘어놓은 그림'이란 뜻이다. 동양의 천문도는 하늘의 별을 지상의 국가
체계
에 맞춰 이름지었다. 중국에서는 북극 근처에 있는 별에 임금이 있는 자미원(紫微垣)이란 이름을 붙이고, 적도 부근의 별자리에는 지방 호족이나 주변 국가 이름을 달았다. 일본인들은 천문도에 자기 나라의 ... ...
1. 최초의 생명체는 언제 어떻게 생겼나
과학동아
l
1995년 10호
필연적인 결과로 원시생명이 출현했을 것이라는 러시아 생화학자 오파린의 이론
체계
를 수용하는 추세다.오파린은 다음 3단계를 거쳐 생명이 탄생했을 것으로 생각했다. ① 원시지구에서 메탄 암모니아 등의 반응에 의해 최초의 질소유도체가 출현했고 ② 간단한 유기물의 중합(重合)에 의한 단백질 ... ...
3. 열역학법칙을 어떻게 볼 것인가
과학동아
l
1995년 10호
18세기에 다시 나타났다. 이후 19세기 후반 다윈이 진화론을 발표하면서 진화론은 과학적
체계
를 갖추기 시작했다.진화론은 현재 지구에 살고 있는 1백50만종이 넘는 생물들이 태고적부터 존재한 것이 아니라 최초로 지구에 나타난 단순한 원시 생명체가 장구한 세월 동안 점점 복잡하고 상위 기능을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