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열
"(으)로 총 4,72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노벨 화학상 - 제3의 고체, 준결정의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런 특성을 이용해 준결정으로 면도날이나 프라이팬의 코팅재, 엔진을 보호하는 단
열
재 등을 만들 수 있다. 이렇게 준결정 자체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준결정의 구조만 빌려 금속합금을 새로 설계할 수도 있다. 결정의 구조에 따라 금속의 특성이 변하기 때문이다. 기존에 쓰던 금속합금이라도 ... ...
엘리베이터는 언제 올까?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줄면서 건물을 더 넓게 쓸 수 있게 됐다. 앞으로 엘리베이터에 달린 로프를 없애고 전기
열
차처럼 레일 위를 움직이는 기술이 개발되면 운송량과 서비스의 양이 크게늘 전망이다.X note기울어진 엘리베이터서울 강북구‘북서울 꿈의 숲’에 가면 기울어진 엘리베이터를 볼 수 있다. 산비탈에 수직 ... ...
특명! 이산화탄소를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980g냉장고를 가득 채우지 않으면 70g백
열
등을 형광등으로 바꾸면 80g에어컨의 냉방온도를 27~28℃로 맞추면 50g비닐봉지 1개를 덜 쓰면 90g재활용병을 1개 사용하면 200g알루미늄캔 .. ...
PART 1. 황당한 이그노벨상, 알고 보면 의미심장해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대사량이 많이 든다. 대사량을 측정할때는 표면적이 중요하다. 표면적이 넓을수록
열
을 많이 뺏기기 때문이다. 코끼리 같이 큰 동물의 표면적을 측정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인도 케랄라농업대학교 카노스 스리쿠마르 교수는 인도코끼리의 신체 일부의 길이만 알면 몸 전체의 표면적을 계산할 수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열
을 내 암세포를 죽인다. 쥐로 실험했을 때는 피부에 화상이 생길 정도의
열
이다.간단하게 표현하면 암세포를 태워 죽이는 것이다. 최 교수는 “쥐 실험 결과 대부분의 암세포가 죽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몸에 들어간 탄소나노튜브는 담즙이나 소변으로 배출된다.그러나 실제로 환자에게 ... ...
사기꾼이 집 청소에 집착하는 사연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렇게 힘들지 않았을 거라며 아이를 원망했다. 심지어 유산을 고려하기도 했다.다행히
열
달 뒤 예쁜 아이를 낳았지만 그녀는 죄책감에 시달렸다. 임신 기간 동안 아기를 원망했다는 죄책감은 아기를 볼 때마다 더 커졌다. 죄책감은 불안감으로 이어졌고 결국 자신이 아기를 떨어뜨려 죽게 할지도 ... ...
확산, 기체 분자 스스로 떠나는 여행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방향으로 운동할 때 갖는 운동에너지가 모든 원자들이 불규칙하게 운동할 때의 에너지인
열
에너지로 변하는 것이 당연한 자연의 변화 방향이다. 볼츠만이 말한 ‘무질서도’라는 엔트로피에 대한 새로운 정의는 과학 분야 뿐 아니라 인문학, 사회학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한 곳에 모여 있던 ... ...
불굴의 탐사선 하야부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논리적으로는 타당한 결론이지만, 직접적인 증거가 없다는 게 문제다. 우주탐사 시대가
열
리기 전만 해도 작은 크기에 희미한 밝기의 소행성을 연구하기가 쉽지 않았다. 레이더나 별의 엄폐 현상 등을 이용해 소행성의 형태나 크기, 자전주기를 알아낼 수는 있었다. 하지만 소행성의 화학 조성에 ... ...
꼬꼬면에 숨어 있는 맛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샘플을 직접 조리해 보고 의견을 나누는 등 꼬꼬면을 인스턴트라면으로 개발하는 데
열
정적으로 참여했다고 한다. 이경규는 “라면은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즐거운 요리”라며 “사람들이 꼬꼬면을 편안하게 즐기고 맛있게 먹을 수 있게 돼 기쁘다”고 홍보팀을 통해 소감을 전했다 ... ...
위기에 처한 남태평양을 구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보면 하늘과 땅이 이어진 곳이 있다. 그곳이 바로 스콜이 내리는 곳이다. 스콜은
열
대의 더위를 잠시식힌다. 이 스콜이 줄고 있는 대신 우기가 생겨 지난 8월 한국 곳곳에 내린 비처럼 며칠간 계속 내린다. 15년간 이곳에서 지낸 김도헌 과장은 “원래는 없던 현상”이라고 말했다. 우기에 추위를 느낀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