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자인
계획
구상
입안
착상
도안
건설
d라이브러리
"
설계
"(으)로 총 3,554건 검색되었습니다.
30년 동안 고생한 한국의 첫 원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왜 문을 닫는 거죠? 계속 전기를 만들면 안돼요?저는 처음부터 30년 동안 쓸 수 있도록
설계
됐어요. 그렇다고 앞으로 영원히 사라지는 건 아니에요. 저를 고쳐서 앞으로 10년 동안 더 쓰도록 할계획이래요.하지만 일부에서는 원자력 발전을 반대하는데요.원자력 발전이 환경에 나쁘고 사고의 위험성이 ... ...
차세대 초대형 여객기 A380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존재가 된다 그러나 램제트에서는 공기를 흡입시키는 도관(duct) 자체를 좁게
설계
해, 터보제트에서 공기압축기가 공기를 압축한 것과 같은 결과를 얻는다 램제트는 구조가 간단하고 중량도 가벼워 마하 3∼4의 초음속 비행에서 효율이 좋아진다 그 반면 일정속도에 도달할 때까지는 다른 엔진의 ... ...
보이지 않는 소리를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있다.이 교수는 “미래에는 사람의 감성까지 끌어당길 수 있는 소리를 만드는 일이 제품
설계
의 관건”이라며 “한걸음 더 나아가 기업은 듣기만 해도 자사 제품의 이미지를 떠오르게 하는 소리를 디자인하는데 촉각을 곤두세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수정이 한터프의 오토바이 엔진 소리만 ... ...
'특별한 가족'을 맞이한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운동특성을 면밀히 분석하여 그가 아주 용이하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차의 내부
설계
를 한다든가, 사람이 누웠을 때 각 신체부위에 가해지는 압력 정도를 조사하여 최대한 안락한 수면을 취할 수 있게 할 침구를 개발하는 것 등은 그 전형적인 예라 할 수 있다10종류의 기본적인 구름형태 ... ...
천문학자의 '청계천 연가'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중이다.“이번에는 수신기에 들어가는 각종 장비와 100개가 넘는 정밀부품을
설계
한 뒤 가공은 일괄적으로 선배 회사에 맡겼죠. 그 덕분에 일일이 돌아다니는 수고는 덜었답니다(웃음). 반도체 제작용 정밀 장비를 썼다고 하더라고요.”정원 씨는 그동안 천문대에서 밤낮으로 피땀 흘려 새로 제작한 ... ...
원전사고 예방하는 '수호천사' 아틀라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198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인 기술 자립을 추진해 2001년 신형경수로를 개발하며 독자적
설계
기술을 갖추게 됐죠. 이제 100% 우리 기술로 우리 원전의 안전성을 검증하는 아틀라스를 건설하며 원전기술 선진국 대열에 진입하게 됐습니다.”백 센터장은 “아틀라스 개발에 성공하면서 한국형 표준원전과 ... ...
로보카, 무인자동차 대회 출격 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회로선폭은 05μ 고온, 방사능 등 전시의 거친 환경에서도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설계
되고 있다소립자의 내부상태를 나타내는 파동함수는 공간의 좌표를 반전시키거나 그 부호를 바꾸어야 원래와 같게 되는데 이 성질을 말한다태양표면에 밝은 반점이 나타나 대량의 하전입자를 방출하는 현상 태양면 ... ...
PART1. 세컨드라이프가 열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정도가 걸렸다고 해. 자료조사와 답사를 통해 데이터를 모으고, 이걸로 실제 건물을 짓듯
설계
도를 그리고, 컴퓨터에서 3차원 그래픽으로 만들었지. 특히 한국의 전통 문양과 곡선 등을 잘 표현해서 세컨드라이프에서 정교한 건축물로 소문이 났을 정도!기본 도형들로 이렇게 정교하게 표현할 수 ... ...
무한속도의 비밀은 '칩'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데뷔 무대이기도 하다. 김 교수는 3차원 디스플레이를 실시간으로 재생하도록 돕는 칩을
설계
해 ‘하이라이트 논문’으로 선정됐다.김 교수팀은 3차원 디스플레이를 만드는 3차원 그래픽의 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여 실시간으로 재생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했다. 그런데 이는 3차원 그래픽을 구성하는 ... ...
과학이 예술에 빠졌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공기역학 연구자들은 과일박쥐가 공기의 흐름을 어떻게 바꾸며 나는지를 밝혀 비행체를
설계
할 때 응용하려고 한다. 미국 브라운대 케네스 브루너 박사는 과일박쥐 비행을 컴퓨터모델로 만들었다. 박쥐가 날개를 펄럭일 때마다 레이저와 정교한 카메라로 그 동작을 빠짐없이 녹화했다. 항공공학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