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d라이브러리
"
반응
"(으)로 총 5,190건 검색되었습니다.
친환경 벽지, 만능은 아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빛 영역이 자외선이었는데 실내 벽지는 자외선을 쬐기 여러워 가시광선에서도 촉매
반응
을 일으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했다.친환경 벽지와 친환경 가구가 유해물질을 줄이는 데 만능은 아니다. 엄밀히 말하자면 유해물질 전부를 제거하지는 못해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은 분명히 있다. 특히 친환경 ... ...
PART 1. 중력 없는 세상에서 우리의 운명은?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않는다. 기름이 물 위에 뜨는 현상을 보지 못한다는 뜻이다.지구에서도 다른 물리·화학
반응
을 만들어 낼 수 있어 새로운 발견이 이뤄질 수도 있다.한편, 천체 관측에서는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하지 못한다. 중력 렌즈는 뒤쪽 천체에서 나오는 빛이 앞쪽 천체의 중력 때문에 휘어져 생기는 현상이다. ... ...
PART 4. 반중력, 인공중력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강한 핵력에 의해 원자핵끼리
반응
을 일으킨다. 이
반응
은 인간 몸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
에 비해 100만 배나 빠르다. 그래서 이곳에 사는 외계생명체는 인간보다 100만 배나 빠르게 흐르는 시간 속에서 살아가며 순식간에 문명을 발달시킨다.이들의 질량은 인간과 비슷하지만, 너무 강한 중력 때문에 ... ...
빛을 쬐면 뇌세포 자극하는 삽입물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검증된 고분자 화합물로 만들어졌으며 폭이 0.1mm에 지나지 않는다. (빛에 예민하게
반응
하는) 유전자 조작을 위한 물질을 주입할 수 있고 뇌 안에서 빛을 발산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전기자극 효과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 ...
가려움 알리는 세포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긁는 행위는 눈에 띠게 줄어들었다.또 MrgA3가 캡사이신에는
반응
하지만 히스타민에는
반응
하지 않도록 유전자를 조작한 쥐에 캡사이신을 주입하자 히스타민을 주입한 것처럼 가려움을 긁었다. 이를 통해 MrgA3가 가려움 신호를 보낸다는 것을 증명했다 ... ...
그 많은 발열 의류는 얼마나 따뜻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연소
반응
이나 산·염기 중화
반응
을 먼저 떠올리겠지만 섬유에서 나는 발열
반응
도 같은 원리다. 몸을 뒤덮고 있는 섬유는 몸에서 발생하는 땀이나 수증기를 흡착시켜 운동하지 못하는 상태로 만든다. 이 때 운동 에너지가 전환되어 열로 발생하는 것이 흡습발열 섬유의 원리다.사실 흡습발열 ... ...
떼려야 뗄 수 없는 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기생충을 넣어 면역
반응
을 살폈다. 그 결과, 표피포도상구균이 있는 일반 쥐는 면역
반응
이 정상적으로 일어나 염증이 적게 일어났다. 연구진은 “피부 미생물이 면역세포의 신호전달 과정을 미세하게 조절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세균과 때가 합쳐져 나타나는 우스운 상황그렇다고 때와 ... ...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인공지능의 가능성을 입증한 수학자 튜링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임신기간 초반에 화학
반응
이 일어나면 무늬가 생기지 않고, 태아가 조금 자랐을 때 화학
반응
이 일어나면 줄무늬가 생기고 더 커지면 점무늬가 된다.2006년에는 독일 막스플랑크의 생물학자들과 수학자들의 공동연구에서 쥐의 털 색깔을 결정하는 화학물질이 발견되었다. 이 화학물질에 튜링의
반응
... ...
PART 3 백두산이 폭발하면 초소형 무인기가 뜬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기술적 한계가 있다. 원격 조종 콘트롤러로는 장애물을 피할 수 있을 정도로 부드럽게
반응
하기 어렵고 전파신호는 비행체가 가는 모든 곳을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의미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지난해 10월 아슈토시 삭세나 코넬대 컴퓨터사이언스과 교수팀은 숲이나 ... ...
개코보다 더 개코 같은 돼지코의 비밀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단백질이 붙어 있다. 서로 다른 종류의 수용체 단백질이 각각 서로 다른 화학물질에
반응
한다. 즉 어떤 후각수용체가 활성화되느냐에 따라 다른 냄새를 구분하거나 냄새를 잘 맡게 된다.동물이 냄새를 맡을 때는 몇 가지 신경세포수용체의 신호가 합쳐져 특정패턴을 이루고 이러한 패턴에 맞춰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