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인터뷰] 공룡도 관절염이 괴로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관절염에 걸리면 움직일 때마다 엄청난 고통이 따르지요. 연구팀을 이끈 제니퍼 앤
박사
는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으로 포식자를 만났을 때에도 피하기 힘들었을 것”이라며, “앞다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Part 2. 세계 곳곳 나무 고층 건물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높이면서 효율적으로 건물을 시공하기 위해서지요.국립산림과학원 재료공학과 이상준
박사
는 “이번에 건설된 산림유전자원부 종합연구동은 우리나라 목조건축 기술을 총집합해서 만든 결과물”이라며, “이를 토대로 2022년까지 10층 규모의 목조아파트를 완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답니다 ... ...
Part 3. 자동차, 안전을 책임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운전자가 갑자기 심장마비를 일으키는 경우를 대비한 연구도 이뤄지고 있어요. 손주찬
박사
팀은 자동차 계기판 근처에 근거리 레이더를 달아 운전자의 심장박동 패턴을 분석하도록 만들었어요. 심장박동이 평소와 다르게 빨라지거나 느려지면 차에 비상등이 들어오고 경고음이 울리면서 자동차가 ... ...
Part 5. 상괭이 떼가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못 보는 건가요?”2시간째 상괭이를 보지 못해 걱정을 하고 있는 기자에게 박정원
박사
는 조금 있으면 상괭이가 많은 지역에 다다를 거라고 하셨어요. 그리고 바로 그 순간! 정말 눈앞에 상괭이 떼가 나타났어요!“이 정도면 100개체 이상은 될 거예요.”연구원의 설명처럼 살짝 드러나는 등으로는 ... ...
[과학뉴스] 세상의 모든 책이 우표 한 장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배열시킨 뒤 이를 해독하면 정보를 저장하거나 불러오는 것이 가능해지는 거예요.오뜨
박사
는 “저온이나 고진공 상태에서만 이 장치를 쓸 수 있다는 단점을 해결하는 것이 가장 큰 숙제”라고 밝혔어요 ... ...
Part 1. 오심은 없다! 전자 심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선 밖으로 나가지 않았는데도 심판은 공이 선 밖으로 나갔다고 판단한 거예요.휘트니
박사
는 왜 아웃 오심이 월등하게 많은 것인지에 대해 연구했어요. 그 결과, 오심은 심판의 자질이 아니라 인간의 시각에 한계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답니다.우리가 뭔가를 볼 때는 눈으로 전달된 시각 ... ...
[도전! 섭섭
박사
실험실] 섭섭
박사
를 공중에 띄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만든 기울어진 면이 투명한 막 역할을 해요. 그래서 피라미드 안쪽 공간에 마치 섭섭
박사
님이 둥둥 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거랍니다. 착시로 만든 공중부양이지요.다양한 공중부양 실험을 하는 모습과 실험 결과를 홈페이지에 올려 주세요. 멋진 실험 모습을 뽑아 ‘반짝반짝 ... ...
[과학뉴스] 새로운 공룡의 반전 매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5호
앞으로 고꾸라지지 않으려면 팔이 가벼워야 해서 짧아졌다는 학설도 있답니다.마코비키
박사
는 “구알리초 신예는 공룡 진화과정의 비밀을 푸는 단서가 될 것”이라고 말했어요 ... ...
[가상인터뷰] 두 달 동안 쉬지 않고 훨훨~! 큰군함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5호
안녕~! 나는 어과동의 귀염둥이 과학마녀 일리야. 지금은 어제 개조한 빗자루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긴 시간 동안 비행을 해 보는 중이 ... 이처럼 동물들은 자신이 처한 환경에 맞춰 저마다 특별한 능력을 기르곤 해요. 저는
박사
님 연구를 도울거라 빗자루 개조를 도울 수 없을 것 같아요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신비한 동물 속 여행, 판타스틱 애니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5호
생물을 살아 있는 것처럼 보존할 수 있는 특수기술이에요. 독일의 의사 군터 폰 하겐스
박사
가 1977년에 개발했지요. 생물의 장기와 조직에 있는 물과 지방을 모두 제거하고, 대신 실리콘이나 에폭시 수지와 같은 화학 성분을 채워 넣는 기술이랍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생물 표본을 살아 있을 때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