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물"(으)로 총 6,508건 검색되었습니다.
- [식물 속 동물 찾기] 수탉이 나타났다?! 닭의장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속 동물 찾기’ 코너에서는 한 달에 한번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이름 속 동물의 유래에 대해 알아볼 거예요. 재미있는 식물 이야기를 기대해 주세요 ... ...
- [Future] 향기로운 데이터, 냄새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소리, 영상의 뒤를 이어, 이제는 냄새가 차세대 데이터로서 등장하기 시작했다.꽃이나 동물, 음식 등 사물에서 냄새가 나는 이유는 휘발성 분자가 공기 중에 활발히 떠다니기 때문이다. 이런 분자들은 고농도에서 저농도로 확산하기 때문에 사물에 가까이 다가갈수록 냄새가 진하게 난다. 또 ... ...
- Intro. 인플루엔자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같은 중간 숙주를 거치며 변이해 사람에게도 전염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하기도 했다. 동물로부터 유래한 인플루엔자는 예측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당장 이종 간 전염을 예방할 백신도 없기 때문이다.인플루엔자는 바이러스 중에서도 변이가 다양하고 빈번하게 나타나는 골칫덩어리다. ... ...
- Part 2. 변신의 귀재, 인플루엔자의 똑똑한 생존전략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모두 가지고 있다. 돼지 세포 속에서 두 종류의 바이러스 RNA가 뒤섞인다.생존전략 2 여러 동물을 감염시킨다천연두바이러스가 세상에서 사라져버린 이유 중 하나는 사람만 감염시킬 수 있기 때문이었다. 거의 모든 사람이 백신을 맞고 면역력을 갖게 돼 더 이상 숙주를 찾지 못한 탓이다.이와 달리 ... ...
- Part 4. ‘키메라 백신’으로 인플루엔자 예방한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이외의 신종 인플루엔자를 예방하는 새로운 백신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국내에서도 동물실험 수준의 연구 성과는 많지만 아직까지 대규모 임상시험 단계에 진입한 것은 없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신규 백신 개발을 위한 노력과 투자가 더욱 필요하다. ◆새들은 왜 조류 ... ...
- Part 2. 인간의 최대 수명은 150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40년 전보다 20년 더 산다!지난 2015년 통계청의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들의 평균 수명은 81.8세였어요. 1970년 남성의 평균수명은 58.7세, 여성의 평균수명은 65.6세였으니 지 ... 수명은 150세?Part 3. 수명의 열쇠는 텔로미어?Part 4. 바닷가재의 장수 비결은?Part 5. 오래 사는 동물에게 배우자 ... ...
- Intro. 진실 혹은 오해?! 알고 나면 깜닭!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우리의 억울함을 풀어 준다기에 얼른 출연했어요. 우리 닭이 얼마나 가치 있는 동물인지 지금부터 잘 들어 보세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진실 혹은 오해?! 알고 나면 깜닭!Part 1. 닭은 억울하닭?Part 2. 살아 있는 연구실, 닭Part 3. 이런 깜짝 놀랄 닭이 있나 ... ...
- Part 1. 닭은 억울하닭?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울음소리를 내서 상황에 따라 서로 소통한다는 사실도 알아냈어요. 예를 들어 포식동물이 접근할 때 내는 경고음과 배고플 때 내는 소리를 구별해서 사용하는 거지요. 재미있게도 수탉은 포식자가 나타날 때, 주변에 수탉만 있으면 경고음을 내지 않았어요. 경쟁자가 잡아먹히면 오히려 이득이기 ... ...
- [Origin] 일본 iPS세포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환자에게 건강한 신경세포를 이식하기 위한 연구를 단계별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직은 동물을 이용한 전임상시험이 대부분이지만 10년, 또는 그 이상을 내다보고 투자를 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밖에 환자의 세포에서 알츠하이머병이나 당뇨병과 같은 질병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어떤 약물이 ... ...
- [Origin] 평범한 발상, 비범한 과학자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않을까?”드러리로부터 2년간 배운 생물학 지식이 전부였던 트리버스가 그나마 잘 아는 동물은 인간뿐이었다. 인간의 경우를 머릿속에 떠올리면서 사회적 행동의 진화를 이리저리 궁리했다. 해밀턴이 밝혀냈듯이, 혈연은 매우 중요하다. 피는 물보다 진하니까 말이다. 하지만, 인간 사회의 협력은 ... ...
이전1831841851861871881891901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