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흥미
호기심
주의
재미
감흥
취미
잼
d라이브러리
"
관심
"(으)로 총 7,104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프트웨어] SW 기업 탐방_난 동작으로 수정한다!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일을 조금 더 빨리 더 편리하게 하는 것은 디지털 시대의 주요
관심
사다. 그러기 위해서는 원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중간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해주는 아이디어가 중요하다.스마트폰 잠금을 풀기 위해 이용하는 지문 인식 기능을 예로 들 수 있다. 지문 인식을 이용하면 패턴을 ... ...
[News & Issue] WHO, 8大 감염병 지정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캐시 로스 정책고문은 ‘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서 “선정된 질병 중 상당수가 적절한
관심
이나 재정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며 “여덟 개 감염병의 현재 연구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다음 목표”라고 밝혔다 ... ...
[지식] 아이스크림 닮은 벤 다이어그램이 있다고?!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프랭크 러스키 교수는 집합의 수가 많아져도 대칭 벤 다이어그램을 그릴 수 있는지에
관심
을 갖고 연구하고 있었다. 그 결과 집합의 수가 소수일 경우 대칭 벤 다이어그램을 그릴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증명한 뒤 실제로 처음 찾아낸 것이 바로 그뤼바움 교수가 찾은 것과 똑같은 오른쪽 회전 ... ...
[지식] 폴리노미오그래피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수학자와 과학자들은 방정식을 풀 방법에 대해 연구했습니다. 저도 뉴턴의 방법에
관심
을 가지고 컴퓨터로 쉽게 다항식 근의 근삿값을 구할 수 있는 알고리즘 개발에 몰두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다항방정식을 시각화할 방법이 떠올랐고, 그 결과로 폴리노미오그래피를 개발할 수 있었습니다 ... ...
[지식] 인터뷰_이훈희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관심
있게 생각하는 것도 너무 달라요. 그런데 양자정보학은 수학자와 물리학자 모두
관심
을 두고 있는 분야예요. 이 분야에서는 수학자와 물리학자가 함께 연구하는 경우도 많습니다.어릴 때부터 수학을 잘하셨나요?좋아했어요. 잘한다고 생각한 적도 있지만 늘 그렇게 생각한 것은 아니었거든요. ... ...
[Knowledge] 고양이는 오늘도 당신을 사냥할 꿈을 꾼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있는 쥐 만할 때, 그리고 무엇보다도 자신의 행동이 목표물을 변화시키는 결과를 낳을 때
관심
이 오래 지속됐다. 브래드쇼 박사는 “장난감에 변화가 없으면 고양이는 그 장난감이 먹잇감이 아니거나 굴복시키기 어려운 먹잇감이라고 생각해 금방 흥미를 잃지만, 장난감이 부서지기 시작하면 사냥 ... ...
[지식] 세기의 매치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게임이다.각 기물이 가진 독특한 특징 때문에 체스 기물의 행마법은 수학자들에게
관심
거리가 되기도 했다. 그 중 한 예로 ‘기사의 여행’이라는 문제가 있다. 기사의 여행 문제는 체스 기물 중 나이트에 대한 수학 알고리즘 문제로, 해밀턴 경로 문제의 한 사례다. 해밀턴 경로 문제는 모든 ... ...
[수학동아클리닉]우주를 품은 정십이면체!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것일까?우주를 닮은 정다면체고대 그리스부터 수학자들은 기하학과 입체도형에 많은
관심
이 있었다. 특히 정다면체는 기하학적 아름다움과 대칭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도형이다. 정다면체는 모든 면이 합동인 다각형으로 이뤄져 있으며, 각 변의 길이와 면이 이루는 각도가 모두 같다. 각 꼭짓점에 ... ...
[Tech & Fun]내 연구가 춤이 된다면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모습을 형상화했다.미국과학진흥협회(AAAS)는 일반인들이 과학에 흥미를 느끼고
관심
을 갖도록 하기 위해 2008년 이 대회를 기획했다. 매년 유튜브를 통해 참가자들의 영상을 모집하고 있는데, 영상의 조회수를 다 합치면 100만 건이 넘을 정도로 인기가 많다(지금 당장 유튜브 검색창에서 ‘Dance your Ph.D ... ...
[가상 인터뷰]킬리피시가 빨리 죽는 건 유전자 때문?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오기 전에 나랑 지구를 정복하자!킬리피시▶저는 생명체의 진화 과정에 더
관심
이 많아요. 발렌자노 교수는 킬리피시가 건기 때 연못의 물이 모두 마르기 전에 산란을 해야 하기 때문에 빠르게 늙는 개체들만 후대까지 살아남았을 거라고 예상했거든요. 그리고 킬리피시의 유전자 연구가 과학자들이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