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2,388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맥경화 해결사
과학동아
l
199607
학위논문만을 남기고
국립
보건원에 들어와 있었다. 바겔로스와 알버츠는
국립
보건원에서 인체의 콜레스테롤 생합성 경로를 연구했다. 알버츠는 바겔로스가 1966년 세인트 루이스의 워싱턴대학으로 옮길 때에도 따라갔고 1975년 머크로도 함께 옮겼다. 바겔로스는 머크 연구소의 총책임자로 혁신적인 ... ...
장모 별명은 관상대
과학동아
l
199607
필자가
국립
중앙관상대에 처음 근무를 시작한 것은 1959년 1월이었다. 막 결혼한 신혼시절이고 직장도 잡은 터라 설을 맞이해 처가에 인사차 들렀다. 당시 직장 구하기는 그야말로 하늘에서 별따기인 때여서 나름대로 의기양양했다. 그런데 필자를 본 장모는 짐짓 화난 표정이었다. 그 많은 직장 중 ... ...
무리한 다이어트 골반뼈 손상 가져와
과학동아
l
199607
골반뼈가 부서질 위험이 매우 커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워싱턴 근처에 있는
국립
노화연구소의 연구자들은 3천5백명이 넘는 67세 이상 부인들의 체중변화를 조사했다.연구자들은 부인들의 과거 50세부터 8년 동안의 체중변화와 골반뼈 골절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했는데, 50세 이후에 체중이 1 ... ...
컬러 잉크젯 프린터
과학동아
l
199607
찍기의 정확도 등에 따라 얼마든지 인쇄품질이 달라질 수 있다. 국제표준기구(ISO)와 미국
국립
표준국(ANSI)이 프린터의 인쇄품질 사양을 dpi만으로 표시하지 말고 '프린터의 인쇄 속성'을 사용한 품질 표준안을 제안한 이유도 이 때문이다.프린터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요구만큼 ... ...
4. 세계 최고 수준 지향
과학동아
l
199606
점 때문이다. 유럽대륙에는 유럽핵물리연구소(CERN)가 있고, 아메리카 대륙에는 페르미
국립
가속기연구소(FNAL)가 있다. 이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또 하나의 연구소가 서울에 설립될 아태이론물리센터다. 명실상부한 국제 연구기관아태이론물리센터의 모델은 스위스에 있는 유럽핵물리연구소와 ... ...
날로 심각해지는 오존구멍
과학동아
l
199606
말보다 더 많은 의미를 갖고 있는 한장의 그림이 있다. 지난 3월 미국
국립
기상청(NOAA)에서 제공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된 이 지도는 북반구에 생성된 오존 구멍이 심각한 정도로 뚫려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파란색으로 표시된 지역은 1979년부터 1986년까지 관찰된 평균값에 비해 오존량이 20%나 감소된 ... ...
2. 반입자와 반물질
과학동아
l
199606
세계에서 가장 크다.싱크로트론은 양성자를 가속시킬 때 주로 사용한다. 미국 페르미
국립
가속기연구소에 있는 테바트론은 양성자를 9천억eV까지 가속시킬 수 있다. 또 2003년 완공을 목표로 하는 하드론충돌가속기(LHC)는 양성자를 7조eV까지 가속시킬 수 있으며, 링의 반지름만 해도 4km에 달한다 ... ...
뇌 필름 끊기는 이유
과학동아
l
199606
주요 장소는 대뇌피질 측두엽에 위치한 해마(hippo-campus) 부위다(그림 1). 오동열과장(
국립
정신병원 정신위생과)은 "몸에 흡수된 알코올이 해마를 일시적으로 마비시켜 단기적인 기억상실을 일으킨다"고 설명한다.알코올 중독자의 뇌를 자기공명장치(MRI)로 촬영해 정상인의 뇌와 비교하면 이 사실이 ... ...
첨단화된 북한 감시
과학동아
l
199605
간파했던 것이다. KH-11은 3백21-4백81km 상공에서 사고현장의 사진을 찍어 워싱턴의
국립
사진판독센터로 보냈고, 컴퓨터로 처리된 사진은 주변 냉각수, 저수지는 물론 발전소 구내의 도로까지 선명히 보여줬던 것이다.(도움말:한국국방연구원 무기체계연구센터 김종국 연구원 ... ...
위에 있는 또하나의 뇌
과학동아
l
199605
사실은 흥미롭다. 두뇌는 벤조디아제핀에 반응하는 수용체를 갖는다. 메릴랜드
국립
위생연구소 신경화학자인 안토니 바질 박사는 몇년전 이탈리아의 간기능 장애 환자에게 발견된 흥미로운 현상을 소개했다.환자들은 종종 깊은 혼수상태에 빠지곤 하는데, 이들에게 벤조디아제핀의 작용을 ... ...
이전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