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학
화학
뉴스
"
자연 과학
"(으)로 총 3,090건 검색되었습니다.
버려지는 에너지 모아주는 '돋보기 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14
에너지 하베스팅을 실험하고 있다. 한국표준
과학
연구원 제공 전력은 생산될 때부터 절반 이상 ... 개발돼 주목을 받고 있다. 김미소 한국표준
과학
연구원 안전측정센터 선임연구원과 윤병동 ...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메타 물질은
자연
계에 존재하지 않는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빛의 ... ...
中 ‘민물 양식장’ 지구온난화 부채질
동아사이언스
l
2019.03.11
장쑤성 타이 호수 인근의 민물게 양식장. 최근
과학
자들은 이런 양식장이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경고했다. 사진 제공 강호정 교수 올해는 양식보다
자연
산 수산물의 소비량이 많은 마지막 해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유엔 식량농업기구는 양식 수산물 소비량이 2020년 처음으로
자연
산 ... ...
스티븐 호킹 서거 1주년, 먼지가 된 호킹과의 대화
과학동아
l
2019.03.10
일으킵니다. 우리는 200년 넘게
과학
적 결정론을 믿어왔기 때문이죠. 이것은
자연
의 기본 원칙에 대한 문제입니다. ... 하지만 지금은 어떻습니까. 이런
자연
현상은 모두
과학
적으로 설명합니다. 이제는 우주를 지배하는 거의 모든 법칙을
과학
이 일관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Q. ‘거의 ... ...
[블랙홀 그림자 공개 임박] 우주의 특별한 공간, 블랙홀
2019.03.10
그림자 공개 임박! (
과학
동아 3월호) 블랙홀의 상상도. 천체물리학자들은 ... 포기해야 하는 것일까? 자세한 인포그래픽은
과학
동아 3월호 참조 우리는 삶에서 많은 사람들과 ... 알아내고자 하는 학문이기 때문이다. 이를 ‘
자연
의 법칙’이라고 부른다. 그래서 물리학이라면 이렇게 제안할 수도 있다. ... ...
'불면의 밤' 보내면 뇌에 무슨 일이?
연합뉴스
l
2019.03.08
건, 후손에 유전자를 전달한다는 '진화적 이익'에 배치된다. 원시시대
자연
생태계에선 포식자에 잡아먹힐 위험이 깨어 있을 때보다 크기 때문이다. ... 생물학적 이유는 여전히 규명되지 않았다. 이스라엘 바-일란 대학의
과학
자들이 동물실험을 통해 그 비밀의 실마리를 풀었다. 수면이 손상된 뇌 ... ...
의료용 동위원소 생산시설 기장 연구로 착공 2년 지연…건설허가 언제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7
우상익 원자력연구원 연구로개발단장은 “예상하지 못했던
자연
재해로 구축사업 종료가 한달도 남지 않았는데 아직 착공을 못했다”며 ... 생산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유영민
과학
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기장 연구로는 의료용 동위원소 생산과 관련 연구에 ... ...
장까지 살아서 가는 유산균의 방패는 '착한 바이오필름'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바이오필름이 굳어져 생긴 것이다. 지금까지
과학
자들은 어떻게 하면 바이오필름을 벗기고 세균을 ... 상당수가 죽는다. 중국 제지앙공샹대 식품
과학
및생명공학과 연구팀은 일부 병원성 박테리아가 ... 나노섬유막으로 코팅한 유산균, 주황색은
자연
상태의 유산균이다.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 ...
배터리 충전 속도 5배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화학과 박수진 교수와 류재건 연구원, 울산
과학
기술원(UNIST) 로드니 루오프 특훈교수(IBS 다차원탄소재료연구단장)와 빈왕
자연과학
부 연구원 연구진은 ‘흑연 음극 소재’를 대체할 새로운 구조의 ‘실리콘 음극소재’를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나노 분야 국제학술지 ‘ACS나노’ 2월 2 ... ...
제5회 유미
과학
문화상에 박상대 서울대 명예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만장일치의 지지를 받았다. 송만호 유미
과학
문화재단 이사장은 “인문 계열 학생들이
자연과학
을 공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데 이 책이 비
과학
전공자의
과학
교육 교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며 “다양한
과학
비전공자를 위한 교과서 집필 경쟁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 ...
유전자 ‘다이어트’한 합성대장균으로 더 많은 단백질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5
생산량은 두 배 많은 효율적인 대장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KAIST 생명
과학
과 조병관·김선창 교수와 최동희·이준형 연구원 팀은 기존의 대장균에서 ... 인공적으로 단기간에 진화시켜 미생물이 ‘스스로 답을 찾게’ 했다.
자연
에서 수십만~수백만 년 동안에 이뤄질 진화 과정을 빠르게 겪게 한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