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아
자체
도자기
도기
자기자신
본인
뉴스
"
자기
"(으)로 총 3,606건 검색되었습니다.
21세기 후반 책임질 차세대 입자가속기 FCC 건설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8
책임질 입자 가속기가 개발된다. 입자 가속기란 전하를 띠는 입자를 강력한 전기장이나
자기
장 속에서 가속시켜 큰 운동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로 원자핵이나 소립자와 같이 작은 입자의 미세 구조를 밝히는데 쓰인다.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은 ‘미래 원형 충돌기(FCC·Future Circular Collider)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월감 높으면 음모론에 잘 빠진다
2019.01.12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에서
자기
자신에게 친절해지는 법과 겸손, 마음 챙김 등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 ...
지구
자기
장이 요동친다…“이대로라면 선박 항해 어려워질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1.11
영국 리즈대 교수는 “북반구
자기
극의 위치는 캐나다와 시베리아에 각각 형성된 대규모
자기
장에 의해 좌우되는 것으로 보인다”며 “캐나다와 시베리아가 자력적으로 줄다리기를 하고 있는 셈인데 시베리안 지대가 이 경쟁에서 이기고 있다”고 설명했다 ... ...
'DNA 종이접기'로 누구나 쉽게 나노구조체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9
오리가미)는 1개의 매우 긴 DNA 단일가닥이 수십개에서 수백개의 짧은 DNA 단일가닥과
자기
조립기능을 통해 서로 엮어가며 나노미터(㎚·10억분의 1m) 단위의 구조물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DNA는 염기 두 종류씩 서로 짝을 이뤄 결합한다. 이때 긴 DNA 가닥의 염기 순서를 미리 설계하면 짧은 가닥들이 붙을 ... ...
뇌는 왜 '작심삼일'에 더 익숙할까
과학동아
l
2019.01.08
37명을 대상으로 보상 회로가 작동할 때 전전두엽과 NAc가 얼마나 활성화되는 지 기능성
자기
공명영상(fMRI) 등의 장비를 이용해 조사했다. 그 결과 청소년(13~17세)의 뇌에서는 가치를 판단하는 전전두엽보다 쾌락을 느끼는 NAc가 더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인(23~29세)보다 오히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
2019.01.08
진급도 되고 연봉도 꽤 오를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그렇게 되지 않아 알아보니 상사가
자기
성과로 둔갑시켜 보고한 것이다. 유능한 사람일수록 이런 일을 당할 가능성이 더 크다. 스승을 고소해야만 했던 제자 과학자로서 삶을 살아가는데도 인복은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같다. 사정이 ... ...
[프리미엄리포트]병마와 싸우고 영재교육 박차고 나온 수능 만점자, 이렇게 공부했다
과학동아
l
2019.01.06
비교과 영역 활동을 전혀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창의연구(R&E) 등 비교과 영역 활동은
자기
소개서 작성과 면접이 있는 수시 전형을 준비하는 데 필수다. 배수진을 치고 수능을 봤다. 문제 푸는 양으로 승부하라 수능에 ‘올인’했던 이 양은 만점 비결로 ‘문제 풀이’를 꼽았다. 특히 그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기
통제를 잘 하는 사람은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에겐 없는 것
2019.01.05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에서
자기
자신에게 친절해지는 법과 겸손, 마음 챙김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 ...
[2019 과학 전망]기해년 덮친 돼지전염병,GM 모기 날아오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5
전시된 뼈들, 다시 고향으로 연구를 위해 외국에서 수집한 뼈와 문화재들이 다시
자기
나라로 돌아갈 수 있을까. 수 세기간 서구 국가들의 과학 샘플 약탈을 끝내야 한다는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프랑스 정부는 지난해 11월 약 9만점의 약탈 문화재 중 합법적으로 들여온 것을 제외하고는 ... ...
[뉴스룸]이제 중국 과학이 ‘초일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4
최근 국제 학회에서 중국의 도약을 대세로 인정해야 한다고 고백하는 학자가 많아졌다.
자기
분야 최고 학자를 묻는 질문에 중국 학자를 거론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칭화대나 중국과학원 등 중국의 몇몇 대학과 연구기관은 이름만으로도 위압적인 존재가 됐다. 최근 1, 2년 사이에 학술지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