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각 분야 최고의 수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적 어머니께서 숫자 1을 비스듬하게 적으셨는데 그 모습이 무너질 것 같아서 옆에 선을 하나 더 그려 ‘ㅅ’ 모양을 만들었어요. 그리고 물었죠. “짧은 선이 왜 숫자 1인가요? 얼마나 길게 그려야 1이 되나요?” 그 때 어머니께선 제가 수학을 못 한다고 여기셨어요. 하지만 중학교에 가니 선생님께서 ... ...
- [에디스 퍼즐 마법학교] 진실의 책, 베루스의 비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무서워서 눈물이 날 것 같았지만 정신을 바짝 차리고 절벽에 매달려있는 밧줄을 하나 잡았어. 퍼즐 | 끊어질 것 같은 밧줄을 잡으면 괴물에게 잡아먹힐지 모른다. 끊어질 위험이 없는 밧줄을 잡고 절벽 위로 올라가자. 미션 2 같은 모양이 새겨진 문을 열어라 간신히 절벽 위로 올라오자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3화. 수학자의 새해 다짐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전해 듣기로는 꽤 오랫동안 지키셨는데요, 커피를 끊은 동안 수학 문제를 하나도 풀지 못해서 어쩔 수 없이 다시 커피를 마시기 시작하셨답니다. ‘수학자는 커피를 정리로 바꾸는 기계다’라는 유명한 수학계 격언처럼 수학자는 커피가 있어야 증명을 할 수 있나 봅니다. 이 격언은 수백 명의 ... ...
- [가상 인터뷰] 라디오돈트의 눈 덕분에 진화가 뿜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아노말로카리스 두 마리가 달리기 경주를 하고 있어! 저 멀리 먹을 것이 보인다나? 난 하나도 안 보이는데, 일단 따라가 봐야겠어! Q. 자기소개를 부탁해!안녕, 우리는 ‘라디오돈트’라는 해양생물이야. 난 ‘아노말로카리스 브릭시(Anomalocaris briggsi)’라는 학명을 가졌지. 내 옆의 친구는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라면을 직접 만드는 고생 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비디오를 만들기로 유명한 밴드인데요, 이 뮤직 비디오는 제가 가장 좋아하는 영상 중 하나죠. 달리는 자동차로 악기를 연주하고, 차 안에서 노래를 부르는 모습을 담은 뮤직 비디오랍니다. 달리는 자동차로 악기를 연주한다니, 얘기만 들어선 어떤 방식으로 연주를 한다는 건지 상상이 잘 안 되죠? ... ...
- 5만 년 전 한반도에 거대 운석이 떨어졌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시추작업이었는데, 무려 130m 깊이에서 암편들이 올라왔다. 그중 약 6cm 크기의 암편 하나를 박편 관찰용으로 만들기 위해 해머로 내리쳤다. 원래는 이등분 할 생각이었으나 예상과 달리 암편이 3개의 큰 조각으로 쪼개졌다. 쪼개진 면에서 두 눈을 의심할만한 구조들이 보였다. 바로 ... ...
- [신 기후체제] 기후 재앙 앞둔 인류세 해수면 상승을 막아라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당장 책임감 있게 행동해야 한다는 사실을 요구하는 목소리다. 파리협정은 그 출발점 중 하나일 뿐이다. 남욱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지질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이다. 과거 2000년 동안의 기후변화와 인위적 연안환경변화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nahmwh@kigam.re ... ...
- [논문탐독] 광자력계 그물 펼쳐 암흑물질 찾는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논문을 읽어 가면서 점차 익숙해지고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두 가지 비법이 있습니다. 하나는 논문의 저자와 소속을 같이 읽는 방법입니다. 그러다 보면 나중엔 저자 이름만 봐도 내용을 예측할 수 있게 되고, 전체적인 방향을 잡는 데 도움이 됩니다. 두 번째는 논문을 문단 별로 나누는 방법입니다. ... ...
- '궁극의 질문'을 함께 풀어봐요!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못하는 식물이 소통할 수 있는 창구는 ‘공기’와 ‘토양’이다. 같은 바구니에서 하나의 과일이 썩으면 다른 과일도 썩는 현상은 식물이 공기로 소통하는 대표적인 예다. 식물 내의 칼슘 신호 전달로 소통하다는 연구도 있다. 이같이 식물의 신호전달에 관한 사례나 연구를 찾아보는 것도 방법이다 ... ...
- [특집] 기네스 북에서 찾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비롯됐습니다. 원래는 ‘구골’로 이름을 지었지만, 주소를 등록할 때 실수로 ‘o’가 하나 빠지는 바람에 지금의 구글이 됐죠. #358년 걸려 해결한 문제‘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가장 오랫동안 풀리지 않은 문제로 기네스북에 올랐어요. 1637년 프랑스의 변호사이자 수학자인 피에르 드 페르마가 ... ...
이전1821831841851861871881891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