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실
진정
사실
순정
순수
본인
참
d라이브러리
"
진짜
"(으)로 총 2,043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인체에 어떻게 영향미치나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수용체와 붙은 경우를 살펴보자.우선 어떤 이유에서인지 세포 수용체가 환경호르몬을
진짜
인 줄 알고 깜쪽같이 속는 사례를 들 수 있다(모방설). 이런 환경호르몬의 양이 증가하면 세포 유전자는 평소보다 과도하게 활동을 벌인다. 예를 들어 제노에스트로겐이라는 합성물질은 여성호르몬 ... ...
호박속 공룡 DNA는
진짜
일까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1993년 6월 개봉된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쥬라기 공원'은 호박(amber)을 일약 스타로 만들었다. 이 영화의 원작은 1990년 마이클 크라이튼이 쓴 '쥐라기 공원'이다. 그 서막은 이렇다.공룡은 1억6천만년 동안 지구를 지배했던 동물로 6천5백만년 전 어떤 이유에서인지 갑자기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말 ... ...
온가족이 함께하는 인터넷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대화방도 한번쯤 들러볼 만하다.'코미디언들 관상 좀 봅시다'에서는 이 사이트만의 장점.
진짜
관상을 보는 코너가 아니라 국내 코미디언들의 인물 정보를 모아 둔 곳이다. '코미디를 사랑해요'에서는 자기가 알고 있는 개그를 올릴 수 있는 것은 물론, 코미디 작가나 PD가 되는 지침을 받을 수 있다 ... ...
엄마는 큰곰 아들은 작은곰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별로 보이는 미자르가 실은 여러개의 별 집단으로 이루어진 대가족인 것이다.북극성은
진짜
북극 아니다북극성은 작은곰자리에 속하는데, 이 별자리는 북두칠성의 손잡이를 반대로 휘어놓은 모양과 비슷하지만 어두운 별들이 많아 도시에서는 전체모습을 보기 어렵다. 작은곰자리 알파별인 ... ...
정보 전도사들이 주장하는 디지털사회의 신화들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제반 사회 요소의 디지털화로 북새통을 이루고 있는 가운데, 정보화 구호 뒤에 감추어진
진짜
모습을 살펴보려는 시도가 뒤늦게 진행되고 있다. 정보화사회의 신화가 가진 허구의 현실을 진단한다. 엘리트주의에서 평등주의로뉴미디어가 공동체 성원의 참여를 확대하는 ‘풀뿌리 네트워크’가 될 ... ...
무엇이 IQ를 높이나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사이에 7점이나 올랐다는 사실을 특히 주목했다. 이렇게 크게 올라간 이유는 무엇일까.
진짜
로 지능이 올라간 것일까. 아니면 지능검사를 치루는 테크닉이 늘었기 때문일까.학자들은 지능검사에 익숙해지만 IQ가 높아질 수 있다고 말한다. 실제로 어린이에게 똑같은 지능검사를 두번째 실시했을 때 5 ... ...
3. 올 중반 등장할 윈도 98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되는 TV 관련 프로그램이 내장됐다. 이를 이용하면 채널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과 달리
진짜
TV를 보는 것처럼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 검토중이기는 하지만 아쉽게도 국내에서는 이 서비스를 받을 가능성이 별로 없어 보인다. 이외에도 윈도98은 PPP 프로토콜의 기능을 향상시킨 PPTP 프로토콜을 ... ...
선입견을 가진 관찰의 맹점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중요한 점은 두가지 상을 동시에 볼 수 없다는 것이다.이것은
진짜
정육면체를 나타낸 것인가? 사실 이것은 12개의 선분을 적당하게 배치한 것에 불과하다. 단지 우리는 나열된 선분의 배열을 편견이나 선입관에 의해 정육면체로 보고 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ABCD가 위에 있는 ... ...
가짜힘들의 행진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예고한다. 가짜힘을 고려해야 운동을 제대로 설명할 수 있게 된다.가짜힘이 무엇일까.
진짜
힘도 있을까. 가짜힘이라는 것은 힘이 없다는 것인가, 있다는 것인가. 일상 생활의 운동 속에 드러나는 가짜힘들의 존재와 그 당위성을 알아본다.차는 안쪽으로 나는 바깥쪽으로커브길에서 자동차 속에 있는 ... ...
세기말 바람타고 날아온 바이블 코드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700년경 많은 구약성서 사본을 참고해 만든 것으로, 사본마다 철자가 달라 어떤 것이 가장
진짜
에 가까운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는 실정.게다가 헤브루어는 비슷한 문자들이 많아 이런 착오를 일으키기쉽다고 학자들은 말한다. 글자 한 두자 틀리는 정도의 소소한 착오는 전체의 의미를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