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둥이
구강
아가리
입아귀
구멍
의치
가치
d라이브러리
"
입
"(으)로 총 2,66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01. 되살아난 인간 사냥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있다. 에이즈 환자의 사망 원인 80%가 기생충이라는 사실은 기생충의 비열함을 단적으로
입
증한다.그런 기생충 중 하나가 톡소포자충이다. 이 기생충은 멀쩡한 사람에게 감염되면 열이 좀 나고 림프선이 붓는 정도에 그친다. 그러나 면역이 약한 사람에서는 뇌에 병을 일으키는 등 온갖 나쁜 짓을 다 ... ...
CSI의 추억 혈의 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소리가 나면서 칼에 선명한 혈흔이 나타났다. 이 광경을 보던 이춘경은 드디어
입
을 열어 살인을 자백했다. (‘검안’에서 내용 발췌)루미놀 대신한 고농도의 초국내 경찰청 과학수사계 현장감식반에서는 혈흔을 찾기 위해 ‘루미놀’이라는 질소화합물을 이용하고 있다. 미국 드라마 ‘CSI ... ...
귀는 왜 두 개일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모양에 따라 일정 주파수(대개 2.5kHz 부근)를 증폭해 주는 역할을 한다. 마치 빈 콜라병에
입
을 대고 불면 낮은 음이 크게 들리는 것과 같은 원리다.내이는 몸에서 가장 단단한 뼈로 둘러싸여 있다. 달팽이 껍질과 유사한 모양이기 때문에 달팽이관이라는 별명도 있다. 내이 안쪽은 소리 전달에 ... ...
닥터 두리틀이 되고 싶나요?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의사소통하게 됐다. 원래 다른 종의 소리를 전혀 따라하지 않는 아프리카 코끼리도
입
을 다문 채 ‘왕따’로 살 수는 없었던 모양이다. 소리 흉내는 이렇게 무리 속에서 정보를 주고받으며 살아남기 위한 적응의 방법이 된다. 같이 놀기 위해 소리를 따라하는 경우다.험프백 고래는 소리를 흉내 내는 ... ...
뇌 속에 감춰진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표정을 보기 때문에 웃는 듯 마는 듯 하는 신비한 미소를 느끼게 된다. 모나리자의 좌우
입
술을 서로 바꿔 실험한 결과 웃는표정이 우세해지고 신비감이 떨어졌다.모나리자 뿐만이 아니다. 지 교수는 "명화의 아름다움은 뇌의 신비로움에 달려 있다"고 주장한다. 생생한 사례 하나. 십자가에 못박힌 ... ...
우주관광도 식후경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세계에서 미국과 러시아 단 두 나라뿐. 우주비행사를 배출한 유럽과 중국도 전적으로 수
입
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NASA 우주식품개발센터(FTCSC)와 러시아 생화학문제연구소(IBMP)는 세계적인 우주식품연구소로 이름이 나있다. 이 중 FTCSC는 1960년대 아폴로 계획을 성공리에 추진해오면서 식품개발과 ... ...
정부와 기업이 관심을 갖는 미국의 과학교육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예를 들어 ‘아기돼지 삼형제’라는 동화에서 늑대는 돼지가 짚이나 나무로 만든 집을
입
으로 불어서 날려 버린다. 공기가 가한 힘 때문이다. 어린이들은 풍선을 불었다가 놓았을 때 풍선이 앞으로 나가는 현상을 관찰하면서 공기도 물체에 힘을 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한다. 누구나 알고 있는 ... ...
다이어트로 인체는 깍쟁이 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체중조절에 효과가 있다고 해서 이를 추출, 농축해 다량 섭취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입
을 모은다. 그 성분이 갖고 있을지도 모를 독성이나 부작용이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식품으로 섭취해야 함께 들어있는 다른 성분이 그런 나쁜 효과를 가려줄 수 있다는 것.결국 살 빼는데는 ‘왕도’가 없다. ... ...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상당히 낮은 수치다.“현재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맛의 규격화의 당연한 결과
입
니다. 특히 젊은이들이 패스트푸드를 좋아하니까요.”이탈리아의 와인제조사인 굴피(Gulfi)의 소믈리에 마시모 루피노의 설명이다. 서울 평창동에 위치한 보르도와인아카데미에서 이탈리아 와인에 대해 강의하기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장치 도
입
연구단은 2008년까지 약 1000억원의 예산을 들여 냉중성자 연구시설을 새로 도
입
할 계획이다. 김영진 박사는 “열중성자를 이용한 측정시설이 순수 연구목적용이라면, 냉중성자 연구시설은 본격적인 나노기술과 바이오기술 지원시설로 볼 수 있다”고 설명한다.초속 2200m로 날아가는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