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정
개정
정정
교열
변경
개조
보정
d라이브러리
"
수정
"(으)로 총 1,962건 검색되었습니다.
연어알에 성장 호르몬 주입성공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생산된다면 획기적인 업적이 될것이다.'스리넌'씨는 또 큰소를 생산하기 위해 소의
수정
란에도 성장인자를 주입, 20여마리의 소를 생산했다. 그러나 이 소들은 모두 생식능력이 없었다.학자들은 실험실에서 많이 쓰는 생쥐의 예을 들면서 생식능력이 있는 거대 소의 등장에는 보다 많은 시간이 ... ...
금세기 최대의 흥미거리 인공지능의 상품화는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없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옳은 시방이 아니라면 어디가 잘못 되었는지를 알려주고, 그
수정
방법을 알려 준다. 그리고 제작담당자와 보수 담당자를 위해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업성을 획득한 XCONXCON은 1980년 이래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수만 건의 주문을 분석했고, 현재 95~98%의 ... ...
PC사용자의 명심보감 방심은 금물, 데이타를 보호하라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했다. 결국 K씨는 한달전의 백업 디스켓으로 하드 디스크를 복구한 뒤 일주일 동안의
수정
작업을 해야 했다. K씨는 이 작업을 통해 그가 얼마나 귀중한 작업을 소홀하게 생각했던가를 충분히 깨달을 수 있었다.'유비무환'은 컴퓨터 시대에서도 진리사람과 사람 사이에서도 잘 모르고 저지른 실수는 ... ...
두뇌산업에 가해지는 과학의 메스「소프트웨어 위기」를 극복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관리해야 한다는 이론은 방대한 양의 기존 소프트웨어를 정보화시대에 발맞추어 계속
수정
활용해야 한다는 목적에서 매우 매력있는 연구분야로 평가되고 있다. 집단 의사결정의 연속지금까지 설명한 소프트웨어 개발 절차는 개발기술의 향상 현황을 학문적 차원에서 다루어본 것이다. 그러나 ... ...
특수촬영사진으로 본 인간생명의 탄생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전개되는 여성의 몸에 감춰져 있는 생체메카니즘일 것이다. 육안으로 보이지 않던
수정
란이 약 10개월 사이에 세포분열과 증식을 거듭하여 약 3kg정도의 훌륭한 태아로 성장한다. 그 스피드와 에너지가 넘칠것 같은 발육은 경이 바로 그것이다. 태아에게는 모체 밖으로 나온 뒤 외부세계에서 ... ...
작은소가 보다 이익 많아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유행이다. 한 목장주와 가축전문학자가 '브라만'소가운데 작은것들을 골라
수정
시키기 시작, 5세대쯤돼서는 보통소의 반정도가 되는 미니소들을 양산했다.오늘날의 생명공학은 보다 큰것으로 매진하고 있는데 이와는 반대로 축소지향을해서 일반인들은 의문을 가질수가 있지만 실제로는 작은것이 ... ...
C언어 강좌① 경제적이며 배우기 쉬운 고급언어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출력한다.EDIT 명령 :화면에디터(Screen editor) 방식으로 들어가 화면상에서 프로그램의
수정
이 가능하다. 화면제어명령키의 기능이 Wordstar, Turbo Pascal, Sidekict와 같기 때문에 화면에디터를 한번 사용했던 독자는 별 어려움없이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화면에디터의 도움말을 RUN/C Professional 내에 ...
현대문명의 사생아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결정해놓아야하는데 이것이 잘못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결국
수정
명령이 내렸지만
수정
되어야할 내용은 이미 활시위를 떠난 화살이 되어버린 셈이었다.이같은 실수는 그냥 웃음거리로 넘겨버려도 무방하다고 말할 수 있지만 세계의 이목이 집중된 올림픽을 치루려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보면 ... ...
PART 2 유럽에서 불어온 바람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기다리는것이 현명하다는 식으로. 그리고 정자와 난자가 결합하는 것을 설명한다.
수정
한 난자가 어머니의 태안에서 차츰자라고 그에따라 배가 커진다는 것을 그림도 보여주며 해설한다. 이럴때 용어를 서투른 수식어로 표현하는 일은 거의없다.출산광경도 있는 그대로 실려있다. 병원 침대에서 ... ...
바다의 약탈자 상어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특히 상처입은 물고기가 파닥일 때 나오는 낮은 음은 놀랄만치 잘 알아차린다. 상어는
수정
체를 움직여서 원근거리조절이 가능하므로 다른 어류에 비해서 시력이 좋다. 그러나 바다 속의 투명도가 가장 좋은 곳이 30m정도이기 때문에 육상동물 처럼 먼 곳까지는 볼 수없다. 또 색맹이므로 흑백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