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살코기
고기
육질
살가죽
살갗
식용부분
가죽
d라이브러리
"
살
"(으)로 총 3,721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짓말 없는 세상' 에서 수 읽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값이 더 좋고 나쁘다고 할 수 없다. 세상에는 몸무게나 키와 같이 정확한 값을 모르고
살
아도 전혀 불편함이 없는 것들이 많다. 그렇다고 모든 값에 근삿값을 아무렇게나 적용할수도 없다. 첨단우주항공 분야나 10억 분의 1의 정밀도를 요구하는 나노기술 분야인 경우에는 정확한참값을 모른다면 ... ...
Part3. 2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아주 가까워졌습니다.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2만 4000년 전 이베리아 반도 서쪽 끝에
살
던 우리가 바로 역사 속 마지막 네안데르탈인이라는 걸. 우리의 시대는 끝났고 호모 사피엔스의 시대가 열린다는 걸. 우리의 마지막 모습이 어땠을지 당신이 밝혀 주세요. 2만 4000년 뒤의 호모 사피엔스, 아시아 ... ...
기계에도 근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선보이고 있습니다.얼핏 보기에 사람과 꼭 닮아 보이긴 하지만 이런 로봇이 인간과 함께
살
아가려면 여러 가지 문제점부터 해결해야 합니다. 문이 뻑뻑하다면 문고리를 세게 잡아 당겨 억지로라도 열어야 하고, 발에 무언가 걸렸다면 다른 쪽 발목에 강한 힘을 주어서 넘어지지 않도록 버텨야 ... ...
우리 집 家 도 혹시 병든 집?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가옥을 연구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전통 가옥의 장점을
살
리고, 현대인에게 맞는 조건을 고려한 현대 한옥을 구상해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하고 있다.그가 제시한 현대 한옥 중에는 주택보다 고층 건물이 절실한 대도시에 맞게 아파트 상층부에 기왓장을 놓은 ‘현대 고층 ... ...
국제동물농부협회 참관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새로운 환경에서 포자를 깨고 나온 아메바는 동반한 박테리아가 증식하면 이를 잡아먹고
살
아가죠.사회자: “그게 뭐 농사냐?”하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농사란 결국 먹을 수 있는 걸 다 먹지 않고 남겨뒀다가 수를 늘려 먹는 행위 아닙니까. 따라서 아메바 선생님은 엄연히 농부입니다.아메바: ... ...
127시간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바위는 까마득한 옛날부터 자신을 기다리고 있었고, 자신은 이곳에서 죽음을 맞기 위해
살
아왔다는 것이다.옛 여자 친구를 매정하게 떠날 때 “너는 혼자 지내게 될 거야”라는 말을 들었던 기억을 떠올리면서, 그 말이 실현됐다고 자책한다. 인생의 모든 일들이 이 사고를 당하기 위해 있었던 ... ...
“비과학적인 매몰 대책이 침출수 문제 불렀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배를 가르는데 이 과정에서 가축의 몸에 있던 대장균이 침출수에 섞여 나올 수 있다. 또
살
모넬라 균은 육류에서 자주 발견되는 세균이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세균뿐 아니라 질소성분도 문제다. 몸을 구성하던 대부분의 단백질은 죽은 뒤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다량의 질산성 질소 물질과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통증이 사라지는 것을 발견했다. 통증의 범인은 미세교세포인데 그동안 괜히 뉴런만 못
살
게 굴었던 것이다.게다가 미세교세포는 한번 입을 열면 말을 그칠 줄 모르는 수다쟁이다. 상처가 나았는데도 불구하고 계속 뉴런에게 위험한 상황이라고 알린다. 뉴런은 미세교세포의 거짓말을 철썩 같이 믿고 ... ...
뱀눈 뜨고 악취 풍기는 생존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나비가 전 세계 어디에나
살
고 있다. 잡아먹을 힘이 있는 포식자라고 해서 항상 편안하게
살
수 있다거나 생존이 보장돼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연약한 애벌레가 위험천만한 세상을 항해하는 삶을 보면 그들이 왜 이런 생존 방법을 쓸 수밖에 없는지 이해하게 된다. 생존에 대충은 없다.[배나무, ... ...
수학으로 쏙쏙 밀어 넣는 포켓 당구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한층 성장하도록 도와준 사람은 바로 대만의 류신메이 선수였다. 김 선수와 무려 14
살
이나 차이 나는 노익장이었다. 그녀는 그 시합을 생생히 기억하고 있었다.“7선승 경기에서 제가 6:1로 이기고 있었어요. 그 당시 이 점수라면 한국에서는 저를 이길 선수가 없었어요. 근데 제가 역전패를 당한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