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교과서] 범인은 바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한산하고 그늘진 병동. 꿀록 탐정이 한 병실의 차가운 문손잡이를 잡았어요.“여기가 토끼가 알려준 방이야. 동화 나라에서 문제를 일으킨 범인이 이 안에 있어.”개코 조수가 떨리는 목소리로 물었어요.“맨몸으로 들어가시게요? 위험하지 않을까요?”“그…, 그런가?”긴장한 꿀록이 권투 자세를 ... ...
- [출동!기자단] 2019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혼합현실 컬링10월 18일 오후 2시, 과학 축제 현장에서 때아닌 컬링 경기가 펼쳐졌어요! 바로 어과동 기자단 친구들의 열띤 컬링 경기였지요. 이 경기장은 KT가 마련한 혼합현실 컬링장 ‘롤링 컬링’이에요. 혼합현실이란 현실 세계에 가상현실이 더해져 실제와 가상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환경을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Ozone) 살균기나 공기 청정기 등을 사용하다 가끔 비릿한 금속 냄새를 맡곤 해요. 바로 ‘오존’ 냄새지요. 이 냄새를 처음 맡은 건 네덜란드의 화학자였던 마르티누스 판 마룸이에요. 그는 1785년, 물 위에서 전기 반응을 일으키던 중 이상한 냄새를 맡았어요. 하지만 이 냄새가 전기 반응이 일어날 때 ... ...
- 뇌, 이젠 직접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뇌, 귀 등 어떤 조직으로도 만들 수 있는 마법 세포가 있어요. 그것은 바로 ‘줄기세포’예요! 이 만능 세포를 이용해 최근에는 인공으로 뇌 조직을 만들었어요. 여기에 재밌는 사연이 있다던데, 얼른 알아볼까요? 앗! 실수로 만든 ‘뇌 오가노이드’두통약을 만들다 발명된 콜라, 푸른곰팡이에서 ... ...
- [Go! Go! 고고학자] 뼈로 삼국시대 사람을 되살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가려다 붙잡혔다’는 기사가 대문짝만하게 실렸어요. 도굴꾼들이 보물을 훔친 곳은 바로 경상북도 경산시 임당동의 고분들! 급히 임당동 유적의 조사에 착수한 고고학자들은 이곳에서 도굴꾼들이 놓친 엄청난 보물을 발견했어요. 바로, 사람의 뼈였죠! 2000년 전의 공동묘지?!우리가 잘 아는 신라, ... ...
- 탐사 62년 만에 탄생! 우주 유영 걸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공기도 없고 중력도 없기 때문에 우주를 떠다니는 우주유영은 매우 위험한 임무인데요. 바로 오늘, 10월 18일 여성 우주인만으로 이뤄진 우주유영이 세계 최초로 이뤄집니다. 1957년 인공위성 스푸트니크호가 발사되며 우주 탐사 시대를 연 지 62년 만에 벌어진 일이지요. 이 뜨거운 현장을 보기 ... ...
- 뇌파로 마음을 읽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어디까지일까요?영화 감독을 꿈꾸는 친구들이 반가워할 만한 소식이 있어요. 그건 바로, 뇌파만 있으면 영화 감독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에요. 어떻게 그럴 수 있냐고요? 저를 따라와 보세요! 뇌파로 제어하는 영화 등장!고대 이집트에선 죽으면 시신을 미라로 만들었어요. 이때 뇌는 버렸지요. ... ...
- [노벨물리학상] 외계행성 발견의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궤도는 4.2일, 최소질량은 목성 질량의 절반 정도였답니다.그들은 페가수스자리 51b를 바로 발표하지 않고 수 개월간 검증했어요. 페가수스자리 51b는 기존의 행성 형성 이론에 맞지 않았거든요. 당시 천문학자들은 별과 가까운 곳에는 질량이 작은 행성이, 먼 곳에는 질량이 큰 행성이 형성된다고 ... ...
- 빅토리아● 혹등고래가 물기둥을 주욱!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갑자기 사방이 고요해진 찰나, 배의 좌현에서 ‘프쉬쉬’하는 소리가 들려왔어요. 바로 물을 내뿜는 혹등고래의 숨소리였죠.숨을 쉬러 수면으로 올라온 고래는 물기둥을 내뿜고는 둥글게 몸을 비틀어 이내 물속으로 사라졌어요. 우아한 하트 모양의 꼬리지느러미를 흔들면서 말이죠. 그리고는 켈프 ... ...
- [섭섭박사와 만들라보] '라보 밴드'로 운동하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이 축이 조이콘이 어떤 방향으로 얼마나 기울어졌는지 인식할 수 있지요. 라보 밴드는 바로 이 원리를 이용한 거예요. 섭섭박사님은 운동 횟수를 알 수 있도록, 각도를 인식하는 ‘입력 노드’를 숫자를 세는 ‘카운터 노드’에 연결하는 코딩을 했어요. 화면에 숫자를 표시하기 위해 카운터 노드와 ... ...
이전1821831841851861871881891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