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아들
외동아들
외독자
reader
독서가
낭독자
독신
d라이브러리
"
독자
"(으)로 총 2,872건 검색되었습니다.
북극빙하가 녹고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속도가 매초 10억 회 이상의 과학 기술 계산 전용의 컴퓨터 연산 속도를 높이기 위해
독자
적으로 실행 가능한 연산기를 여러 개 사용하여 다중처리하는 방식과 파이프라인 처린 방식, 공간적으로 2차원 배치한 요소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병렬처리하는 방식 등이 있다 연산 속도가 초고속인 것을 ... ...
1. 내 몸 지키는 식욕 호르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식욕 유형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식욕 유형은 몸이 습관에 적응한 결과다.
독자
여러분은 어떤 유형인가.아침엔 밥맛 없다 vs. 아침을 먹어야 힘이 난다아침엔 식욕이 없다는 사람이 많다. 반면 아침을 안 먹으면 하루 종일 힘이 없다는 사람도 있다. 왜 이런 차이가 생길까.부산대 의대 김형회 ... ...
체질의 비밀 밝히는 '이제마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분석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고 밝혔다. 사상의학 발전에 도움을 주고 싶은
독자
라면 자신이 다니는 한의원을 통해서 한국한의학연구원 ‘이제마 프로젝트’의 문을 두드려보자.베트남 의사, 사상의학에 푹 빠지다‘이제마 프로젝트’팀에는 사상의학에 푹 빠진 베트남 의사가 한 명 있다. ... ...
올림픽 기록 끌어올리는 스피도 'LZR 수영복'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약칭이다 천공(穿孔) 차드나 종이테이프를 매체로 기록 · 대조 · 계산표 작성 등을 각기
독자
적으로 데이터 처리기계로 작성하는 것은 능률적이 아니다 그러므로 데이터의 발생에서 표의 작성에 이르는 전체 과정을 일괄 처리하는 방식(매체나 장치의 통합화)이 등장했다 1983년에 발견된 혜성 동년 ... ...
여름방학과 여름휴가를 수학책과 함께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헤이스케의 집념도 소개돼 있다. 책 말미에 소개한 영국 수학자 고드프리 하디의 말은
독자
들을 아름다운 수학의 세계에 뛰어들도록 할 것이다.“수학자들은 화가나 시인들처럼 아름다운 심성을 가져야만 한다. 수학적 아이디어는 색채나 시어처럼 서로 조화롭게 어울려야 한다. 수학에서 ... ...
우리 집 뒷강에 물귀신이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게다가 물고기는 귀도 없잖아요?”“물고기가 귀가 없다니요? 똑똑한‘어린이과학동아’
독자
들이 들으면 비웃겠네요. 물고기도 분명 귀가 있다구요!”물고기가 소리를 낼 뿐만 아니라 귀도 있다는 이야기에 나소심 군은 화들짝 놀란다.“아무리 봐도 귀가 없는데….”“물고기의 귀는 머리뼈 안에 ... ...
갈릴레오 시스템용 두 번째 위성 발사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B는 유럽연합(EU)의
독자
적 위성항법 시스템인 ‘갈릴레오 시스템’의 최신 기술을 시험하기 위한 두 번째 위성이다. 갈릴레오 시스템은 미국 위성항법시스템(GPS)과의 경쟁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반강자성체의 전자(電子) 스핀의 자기공명(磁氣共嗚) 무역풍순환(貿易風循環) 중 무역풍이 부는 ... ...
걸리버 여행기 과학으로 들여다보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결과 ‘크기야 말로 오늘날 생명체가 있게 한 결정적 요인’이라는 깨달음을 얻고 일반
독자
를 위해 이 책을 썼다. 눈에 보이지도 않는 작은 박테리아에서 100m가 넘게 자라는 세쿼이아에 이르기까지 천차만별의 크기인 지구상 생명체들은 어떻게 오늘날의 모습을 지니게 됐을까.저자는 먼저 ... ...
모자이크로 붙인 카시오페아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물론 ‘똑딱이’(콤팩트 카메라)가 편하지. 하지만 별이 쏟아질 듯한 밤하늘을 찍은 사진을 보면 욕심이 생긴단 말이야. 멋진 천체사진을 찍으려면 DSLR 카메라가 필수라던데….” ... 각은 약 4°로 매우 가깝다.적도의*천구의 북극을 축으로 회전하며 천체를 추적하는 장치.
독자
사진 ... ...
PART2 우리는 누구나 시인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대다수가 단어의 소리에 어울리는 도형의 모양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을 읽는
독자
가운데 둥근 도형에 ‘타케테’라는 이름이 어울린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그런데 뇌의 왼쪽 각이랑(angular gyrus)이 손상된 사람들은 모양과 소리를 연결하지 못했다. 이들은 사람들이 왜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