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스페셜
"
존재
"(으)로 총 2,012건 검색되었습니다.
패러다임 바꾸는 연구가 노벨과학상을 받는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12
교수 부부는 2005년 실험에서 또 다른 위치정보 처리 시스템인 '격자세포(grid cell)'의
존재
를 발견했다. 미로를 헤매던 쥐가 복합적인 감각요소가 있는 위치를 지날 때마다 내후각 피질의 특정 세포들이 6각형의 격자 무늬로 정렬해서 좌표의 기준점 역할을 했다. 이들 격자세포는 장소세포와 연계해 ... ...
K-POP 부럽지 않은 K-문학의 약진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12
세계 문학시장에서 미약한
존재
이다. 좀 더 많은 시간과 다양한 작가들의 진출이 있어야
존재
감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K-드라마의 성공과정을 통해서 해외 시장으로의 진출의 교훈을 얻을 수 있다. K-드라마가 그랬듯이 현지의 대중적 정서로도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인 문화코드와 서사 코드, ... ...
세계에서 활약하는 한국의 과학기술자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05
유학을 떠나 세계적인 입자물리학자가 되었다. 2013년 노벨 물리학상은 힉스 입자의
존재
를 예측한 공로로 피터 힉스(Peter Higgs) 교수와 프랑수아 엥글레르(François Englert) 교수가 받았다. 힉스 입자는 150억 년 전 대폭발로 우주가 생성될 당시에 만들어진 16개 종류의 입자에 질량을 부여해서 '신의 입자 ... ...
위를 줄인다고 비만이 해결될 수 있을까?
2014.11.03
수용체가 활성화돼 일련의 생리반응이 일어난다는 것. FXR은 간과 지방조직, 소장 등에
존재
하는데 작용이 활발해지면 지방흡수율이 떨어지고 혈당 조절도 개선된다. 아울러 장내미생물의 조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학술지 ‘사이언스’에는 생리 메커니즘을 규명해 수술을 ... ...
이제는 로봇도 '소셜' 기능 탑재하는 시대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0.29
데이터가 필요한 것은 인간의 정서와 행동이다. 사람은 미리 정해진 동작만 반복하는
존재
가 아니며 감정에 따라 반응하다가 논리적으로 상충되는 행동을 할 때가 많기 때문이다. 로봇이 "저녁식사로 무엇을 드시겠습니까?" 하고 물었을 때 사람이 "내가 좋아할 만한 게 뭐가 있을까?" 하고 되물어볼 ... ...
과학자의 성공, 행복하고 정상적인 삶에 있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0.29
나라의 것을 세계가 공유하는 거죠. 이처럼 큰 돈 들이지 않고 세계 속에 한국의
존재
감을 알릴 수 있는 분야는 흔치 않을 겁니다." '월화수목금금금' 연구자에게도 정상적인 삶 필요해 이 센터장이 이 자리까지 오는 과정은 결코 순탄치 않았다. 과거를 회상하는 그의 얼굴에는 묻어나오는 미소는 ... ...
녹색 2.0의 미션은 한국 녹색기술의 세계화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0.29
차원의 녹색기술개발 의제에 적극적으로 역량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녹색기술센터의
존재
이유는 기본적으로 인류의 지속 가능한 생존전략으로서 녹색기술을 확산하고 정착시키기 위한 모든 노력과 활동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앞서 말씀 드린, 이러한 녹색기술 의제를 확산하기 위한 국가 간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못하는 생체물질을 합성해 공급하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숙주와 파이를 나눠먹는
존재
다. 즉 우리가 섭취한 영양분의 6% 정도는 장내미생물의 몫이다. 따라서 지속적인 저용량 항생제 복용으로 장내미생물 숫자를 억제할 경우 그 에너지가 숙주의 성장에 쓰인다는 것. 또 장내미생물은 숙주의 ... ...
사과 다이어트 효과는 프리바이오틱스 작용 때문
2014.10.06
날씬한 쥐 대변의 미생물 조성과 비슷해지는 것. 예를 들어 날씬한 쥐나 사람에서 많이
존재
하는 것으로 알려진 비피도박테리아나 엔테로코쿠스, 대장균(무해한 균주)의 비율이 늘어났다. 연구자들은 “위와 소장에서 소화되지 않은 사과의 식이섬유와 페놀화합물이 비만으로 변화된 장내미생물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기자회견자리에서 “이 프로젝트는 고(故) 사사이 요시키 박사의 연구가 없었다면
존재
할 수 없었다”며 고인에게 감사를 표했다. 2011년 12월 1일자 ‘네이처’에는 배아줄기세포로 초보적인 형태의 뇌하수체를 만드는데 성공했다는 연구결과를 실었다. 각종 호르몬을 만드는 뇌하수체는 동물의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