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위
학사
논문
뉴스
"
학위
"(으)로 총 1,914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대 이병호ㆍ최성현 교수, IEEE 펠로우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3.11.28
교수는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에서 학사, 석사를 마친 뒤 미국 미시간 대학에서 박사
학위
를 받았다. 무선랜(WiFi) 기술 개발의 공로를 인정받아 매우 이례적으로 40대 초반의 젊은 나이에 석학회원으로 선정됐다 ... ...
프레더릭 생어, 생명의 정보를 캐는 방법을 발견한 사람
동아사이언스
l
2013.11.25
실험실로 옮긴다. 이곳에서 생어는 아미노산 라이신의 대사에 관하 연구로 1943년 박사
학위
를 받았다. 이해에 뉴버거는 자리를 옮겼고 생어는 단백질 화학자인 찰스 시놀 교수팀에 합류한다. 돌이켜보면 두 차례 지도교수의 이동이 생어가 위대한 연구를 하는 길로 이끈 셈이다. 펩티드 호르몬 ... ...
한국정보과학회 신임회장에 김종권 서울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3.11.18
수행한다. 서울대 산업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일리노이대학에서 전산학박사
학위
를 받은 김 교수는 미국 벨통신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1991년 서울대에 부임해 컴퓨터연구소 소장, ITRC 센터장을 역임했다. 김 교수는 “회원수가 3만 여 명에 이르는 국내 컴퓨터분야 최고 학회 ... ...
해보고 싶은 연구 마음껏 하는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4
영향으로 카네기멜론대 화공학과에서 학부를 마친 뒤 예일대에서 1991년 생물학으로 박사
학위
를 받았다. 그는 이런 경력을 잘 살려 1991년 큐라젠(CuraGen)이라는 바이오벤처를 만들어 유전체학에 기반한 약물을 개발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여러 약물을 개발했고 14차례나 임상시험도 했지만 결국 ... ...
인간은 '욕망의 노예'가 아니라 '뇌의 노예'?
동아사이언스
l
2013.11.03
스테디셀러를 만들어 낸 저자는 독일 프라이부르크대에서 산림생태학 석사와 박사
학위
를 받은 후 서울대 임업과학연구소 특별연구원으로 재직한 뒤 현재 한국생태교육센터 대표이사로 숲연구소를 이끌고 있다. ◆과학자의 관찰 노트(에드워드 O. 월슨 著, 휴먼사이언스 刊) 노벨과학상 받고 ... ...
이상엽 KAIST 특훈교수, 세계과학학술원 펠로우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13.10.29
986년 서울대에서 화학공학을 전공한 뒤 미국 노스웨스턴대에서 화학공학 석사와 박사
학위
를 받았다. 이후 1994년 카이스트 화학공학과 교수로 임용돼 지금까지 활발히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 ...
[新 여성시대]2부 전문직여성 과학자
동아사이언스
l
2013.10.29
어렵다면 아이를 가지는 것만이라도 피해야 한다는 것. 김빛내리 교수도 “나도 박사
학위
를 받은 다음 결혼하고 박사후연구원을 다녀온 뒤 아이를 가질 계획이었는데 결혼한 뒤 바로 아이가 생기면서 연구를 그만둘 생각도 했다”며 “또 실력 있는 여자 선배들도 직장을 구하지 못하는 것을 보고 ... ...
[대전/충남]정부출연硏 25곳중 14곳, 정규직 전환 6년동안 ‘0’
동아일보
l
2013.10.24
비정규직은 전체 인원 1만8756명 가운데 43.9%(8236명)로 절반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위
과정에 있으면서 연구 과제에 참여하고 있는 연수과정 근로자는 이 통계에서 제외돼 있어 정규직 비율은 상대적으로 더 낮다고 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비정규직 비율은 해마다 늘고 있다. 2008년 365 ... ...
[고려大 미래과학 콘서트]노벨상 수상 연사 4人
동아일보
l
2013.10.21
프리몬트 고교를 거쳐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에서 공부했고 매사추세츠공대에서 박사
학위
를 받았다. 고교를 졸업할 당시 그는 스탠퍼드대에 진학하기를 희망했지만 입학을 거절당했다. 결국 그는 스탠퍼드대병원에서 태어난 지 44년이 지난 2003년 스탠퍼드 의대 병리학 교수로 부임하는 저력을 ... ...
[고려大 미래과학 콘서트]다차원 분광학 분야서 독보적 성과
동아일보
l
2013.10.21
서울대 화학과를 졸업한 조 교수는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유기화학을 전공해 석사
학위
를 받았다. 하지만 박사과정을 시작하면서 물리화학으로 전공을 바꿨다. 조 교수가 분광학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이때부터다. 그가 연구해 온 분광학이란 일반적으로 자연에 존재하는 물질과 빛의 상호작용을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