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
nine
d라이브러리
"
9
"(으)로 총 8,429건 검색되었습니다.
국제우주정거장(ISS) 아찔했던 사고 5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끝났고, 스카이랩 내부 온도도 정상 범위로 떨어졌다. 이후 스카이랩에서는 171일 동안
9
명의 우주비행사들이 머무르며 태양 관측을 포함해 무중력 상태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실험을 수행했다. 스카이랩에서는 사고 아닌 사고(?)가 일어나기도 했다. 승무원들이 업무 스트레스를 받아 임무를 ... ...
중국을 꿈꾸는 과학자들에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분야 연구 개발에 참여했다. 상무로 퇴직한 뒤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2016년
9
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하고 있다. hongsikjeong@tsinghua.edu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76 이는 혈액암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닙니다. 2003년 미국 미시간대 연구팀은 유방암 환자
9
명으로부터 암조직을 떼어다가 특정 유전자(CD24)를 발현하는 세포와 그렇지 않은 세포로 나눴습니다. 그리고는 이 두 부류의 세포들을 쥐에 이식했는데요. CD24를 발현하지 않는 유방암 세포의 경우, 쥐에 ... ...
[팩트체크] 리만 가설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위해 ‘팩트체크’ 해보겠습니다. 팩트체크1. '리만 가설'을 증명했다? 아티야 교수는
9
월 24일 독일 하이델베르크 수상 자 포럼 강연에서 리만 가설의 증명을 발표했습니다. 이 내용은 하이델베르크 수상자 포럼 트위터를 통해 전세계에 생중계됐지요.평범한 수학자가 리만 가설을 증명했다고 ... ...
[과학뉴스] 어린이 사시약시, 뇌 발달 저해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어린 시절 사시약시가 뇌 발달에 악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약시는 특별한 이상 없이 한 쪽 눈의 시력이 크게 떨어지는 증상으로, 대개 두 눈의 방 ... 치료하는 방법이 달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안과학분야 학술지 ‘IOVS’
9
월호에 게재됐다. doi:10.1167/iovs.18-2523 ... ...
[과학뉴스] 얼음으로 도로 결빙 막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방지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 나노분야 국제학술지 ‘ACS 응용재료및인터페이스’
9
월 1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우선 알루미늄판에 1mm 간격으로 10μm 너비의 얇은 홈을 팠다. 그리고 각 홈에 물을 주입해 얼렸다. 이론적으로 얼음은 물보다 증기압이 낮은 만큼 얼음이 주변에 있는 습기를 ... ...
Part 2. 초신성, 폭발 순간을 관측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낮다고 하는데…. 대체 뭘 발견한 걸까? ‘우주 로또’ 맞은 초신성 관측 순간!2016년
9
월 20일, 아르헨티나의 평범한 자물쇠공 빅터 부소는 집 옥상에 있는 천체 망원경으로 밤하늘을 관측하고 있었어요. 그는 새로 산 카메라를 망원경에 장착해 그 성능을 시험했지요. 그러던 중 부소는 지구에서 약 ... ...
[과학뉴스] 찾았다! 중성자별 쌍성계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최초로 관측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0월 12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지구에서 약
9
억2000만 광년 떨어진 은하 외곽의 ‘iPTF 14gqr’이라는 별이 폭발했다가 사라지는 과정에서 쌍성계가 탄생하는 모습을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보통 태양 질량의 8배가 넘는 거대 항성은 중심부에서 수소 연소가 ... ...
[프리미엄 리포트] 메트로폴리탄은 지금 '태양의 도시'로 변신 중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0원이었다. 아파트 옥상에 설치된 태양전지로 공용전기료를 충당한 덕분이었다.
9
월 한 달 동안 옥상 태양전지로 시간당 1만7408kW의 전기를 생산해 총 521만7150원의 전기요금을 절감했다. 김 소장을 따라 옥상으로 올라갔다. 태양전지 셀이 수십 개가 연결된 거대한 태양전지가 있었다. 아파트가 향한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배양육은 조직 배양 기술(tissue engineering)이 발전하면서 점차 현실이 되고 있다. 1
999
년 ‘배양육의 대부’로 불리던 빌렘 반 엘런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 교수(2015년 사망)가 배양육에 관한 이론적 연구로 국제 특허를 획득한 뒤, 2002년에는 금붕어에서 유래한 근육 조직을 실험실의 페트리 접시에서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