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슨이 블랙아웃 막는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놔두고 우리는 여태 교류를 써온 걸까. 120년 전 직류는 멀리 갈 수 없었다사실 미국에 최초로 공급된 전기는 직류였다. 1880년, 전구의 성공으로 한껏 고무된 에디슨은 “이로써 빛은 완성되었다. 이제 남은 일은 대량생산체제를 구축하는 것”이라며 뉴욕으로 본거지를 옮겨 전기공급소(직류 발전소 ... ...
- 아리랑 3호, 벌써 1년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3호는 2012년 5월 18일에 발사된 뒤 지구 곳곳의 모습을 사진과 영상으로 담아 왔지요. 국내 최초로 해상도 1m 이하로 지상을 관측할 수 있는 ‘서브미터급 위성’으로 개발했기 때문에 지상의 풍경을 높은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답니다.발사 1주년 기념으로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 ...
- 사회적 거리 가까울수록 눈치 더 본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의사 결정 과정을 분석했다.그 결과, 개인들이 서로 직접 연결됐을 때(직접적 압력)는 최초로 동의에 도달했을 때 의사 결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동료들과 정확히 연결되지 않았을 때(간접적 압력)는 그룹 전체가 합의에 도달했을 때 의사 결정이 이루어졌다. 즉, 사회적 거리가 더 ... ...
- 꿈꾸는 삶이 아름다운 삶이다 (정형민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개방성과 네트워킹이 현대 연구자들에게는 무엇보다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유리화 난자 동결법도 사실 전자공학 연구자들과 대화를 하면서 도움을 받았던 것. 자신이 하는 연구분야에만 몰입해서는 창의적 아이디어가 나오지 않는다. 융합하는 것이 시너지로 이어질 수 ... ...
- 우주에 ‘우리별’을 띄우다 (박성동 쎄트렉아이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00억 원이 넘고, 2013년에는 1800억 원 이상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쎄트렉아이는 우리나라 최초의 위성 수출 기업이자 우리나라의 위성 관련 수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회사로 우뚝 성장한 것이다. *국가 주도 개발, 운용 위성 이름 발사 시기 임무 우리별 1호 1992년 위성 ... ...
- 직업은 열정을 갖고 꿈을 실현시키는 것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세계 최초의 벤처사업가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그 이유로는 에디슨이 만든 GE가 최초로 R&D조직을 갖춘 회사라는 사실을 지적했다. 기술경영에서 모두 인정하고 있는 사실이다. 이전에는 한 천재가 모든 것을 만들어 세상에 내놓는 식으로 개발이 이뤄졌다면, 에디슨은 조직을 만들고 부서를 ... ...
- ‘스마트’하게 즐기는 수백 년 전 과학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한 물리학자가 동물이 아닌 금속과 습기가 전기를 만들어낸다고 반박했지. 1800년 세계 최초로 만들어낸 ‘전지’는 이런 주장을 바탕으로 한 거야. 바로 내 이름을 딴 ‘볼타 전지’! 은판, 아연판, 소금물에 적신 종이를 마치 패스트리처럼 겹겹이 쌓은 뒤 양 끝에 서로 다른 금속을 붙인 형태지. ... ...
- 외국계 회사에서 영어보다 중요한 것은 공학에 대한 열정 (전용구 퀄컴 씨디엠에이 테크날러지 코리아 이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당시에 전자 쪽이 경기가 좋았습니다. 사람도 많이 필요했고요. 특히 SK텔레콤이 세계 최초로 CDMA 기술을 상용화하는 등 통신 분야가 주목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전 이사는 통신 관련 분야에 관심을 갖고 논리회로 아키텍처,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공부했다. 졸업 후에는 삼성전자에 취업해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KHR-2가 실험용 로봇이라면 이 로봇은 개발을 끝마친 공개형 로봇이다. 공식적으로는 한국 최초의 두 발로 걷는 로봇으로 볼 수 있다. 알버트 휴보 2005년 로봇 ‘휴보’의 변형 타입.알버트 휴보는 휴보의 몸체에 아인슈타인의 얼굴을 얹은 로봇이고, FX-1은 휴보의 크기를 월등히 키워 사람이 탈 수 ... ...
- 짜릿한 수학, 평생 즐기는 세계적인 수학자 (금종해 고등과학원 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분야에서 20년 넘게 풀리지 않았던 난제인 ‘유한 대칭군 분류’를 해결하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그는 이 공로를 높이 평가받아 2007년 과학기술훈장, 2008년 한국과학상, 2013년 대한수학회상 학술상을 수상했다. 이 연구 성과로 수학 분야의 최고 학술지인 ‘수학연보(Annals of Mathematics)’에 ... ...
이전1811821831841851861871881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