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차이"(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공전 궤도가 이상했다. 해왕성의 적도면과 157°나 기울어져 있었다. 공전 궤도와는 130° 차이가 났다. 만약 누군가 공전면 위에서 내려다본다면 아버지(해왕성)와 아들(트리톤)이 서로 정반대 방향으로 돌고 있다는 뜻이다. 당시는 갈릴레이가 발견한 목성의 4대 위성을 비롯 해 목성과 토성의 가장 큰 ... ...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갈수록 선수들의 육체적인 피로가 심해지고, 팀 또는 개인의 체력에 따라 경기력 차이가 벌어지게 된다”며 “이 때문에 후반에 골이 더 많이 터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가장 재미있는 순간은 역시 ‘마지막’이 맞았다. 그러고 보니 해설위원들이 한 말 중에서 맞는 말도 있었다. “아직 ... ...
- 다람쥐원숭이 수컷은 왜 빨간 색을 보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색각이 개체마다 달라서 일부만 3원색을 볼 수 있었습니다. 원인은 X염색체왜 이런 차이가 나타나는 걸까요? 초기에는 영장류 색각 연구가 주로 행동과 생태 관찰로 이뤄졌기 때문에 더 자세히 밝히기는 어려웠습니다. 유전자나 DNA를 연구하는 기술이 부족했거든요. 그러던 1984년, 미국 스탠포드대 ... ...
- [시사] 물방울이 만드는 찰나의 예술수학동아 l2014년 05호
- 사진에 수학이 녹아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어요. 액체의 점성과 떨어트리는 각도, 시간 차이 등 다양한 변수가 어우러져 하나의 작품이 탄생하기 때문이죠.저는 이렇게 사진을 찍고 있을 때가 정말좋답니다. 일상의 피로를 잊을 수 있기 때문이에요. 게다가 이렇게 한국에까지 제 작품을 소개할 수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의 본질수학동아 l2014년 05호
- 실험적인 사실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보통 수를 다룰 때 분배법칙은 덧셈과 곱셈의 차이를 결정한다. 어떻게 보면 덧셈이나 곱셈이나 두 개를 집어넣었을 때 새로운 수를 만들어내는 과정일 뿐이다. 이 두 과정 사이에 일종의 조화를 표현하는 것이 바로 분배법칙이다.그런데 분배법칙 안에서 곱셈과 ... ...
- 세계 최대 사장교 러스키교에서 ∠, △, ⊥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4년 05호
- 원조는 해리곤이다.그는 1644년 삼각형을 표기하기 위해 △abc를 사용했다. 현재 표기와 차이점이 있다면, 영어 알파벳 대문자가 아니라 소문자를 사용한 것이다. 현재는 삼각형이나 각도를 표현하기 위해 ∠AOB나 △ABC라고 쓰지만, 헤리곤은 ∠abc, △abc와 같이 소문자를 사용했다. 한편, 헤리곤은 1634년 ... ...
- 생활 속 고민거리, 통계로 풀어 보세요!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수학동아 l2014년 05호
- 하는 걸까? 잔소리의 이유와 잔소리가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또 남녀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을지 알아봤다. 6학년 전체 남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부모님은 잘못된 생활습관이나 공부에 관해 잔소리를 가장 많이 하는 걸로 나타났다. 하지만 저학년 때와 달리 6학년에게는 잔소리가 ... ...
- Part 1. 오늘 밤에도 동대문에 은빛 우주선이 내려온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수영장 9개를 채울 수 있는 콘크리트를 6개월 동안 밤낮없이 부어가며 작업했고, 결국 1m 차이로 한쪽 팀이 이겼다고 한다.코어를 만드는 동안 건축가들은 외관을 디자인했다. 앞뒤로 볼록 튀어나온 부분이 불안하지 않도록 하중은 고강도 기둥을 통해 코어까지 전해지도록 했다. 1mm의 오차도 없이 ... ...
- 태초에 빅뱅이 없었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우주에서는 관측하기 힘들지만 ‘감마선 폭발’처럼 아주 큰 에너지 상태에서는 그 차이가 충분히 클 수 있다. 즉 같은 감마선 폭발에서 두 개의 광자가 나온다고 생각해 보자. 기존 이론대로라면 두 광자의 속도는 서로 같다. 그러나 레인보우 그래비티 이론에서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진 광자는 ... ...
- 문화 따라, 같은 표정 다른 기분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모두 비슷하게 구분했다. 하지만 힘바족은 각양각색으로 해석했다. 두 국가에서 차이가 없는 표정은 기쁨과 공포뿐이었다. 연구팀은 “역겨움, 분노 등의 표정은 본능적인 게 아니라 문화적으로 표현한다는 뜻”이라며 ”인간의 기본 감정은 6가지가 아닐 수 있다”고 말했다 ... ...
이전1811821831841851861871881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