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정"(으)로 총 4,65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우주 항해하는 '종이 돛단배'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접힘선이 가득하다. 접힘선의 위와 아래에는 형상기억합금이 붙어 있어, 전류가 흐르면 일정 길이만큼 종이가 접힌다. 종이 안쪽은 물론, 바깥쪽으로도 접을 수 있다. 접힘선마다 전류를 순서대로 흘려보내면 원하는 순서대로 종이로봇을 접을 수 있다. 연구팀이 공개한 영상을 보면 종이로봇이 어떤 ... ...
- Part 1-1. 1초의 위대함, 오차 0에 도전!수학동아 l2011년 01호
- 세슘-133 원자는 *동위원소가 없고 원자구조가 간단해 안정된 물질이거든. 진동수가 매우 일정해 원자시계로 사용하기 가장 알맞지. 특히 2007년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개발한 세슘원자시계 KRISS-1은 자기장, 전기장, 빛, 온도, 중력처럼 오차가 생길 수 있는 주변 요소들을 조절해 시간의 정확도를 ... ...
- Part 4. 진정한 수학스타 탄생을 위해수학동아 l2011년 01호
- 벗을 필요가 있다. 2010년 IMO는 총 일주일간 열렸다. 시험일은 이틀에 불과했고, 나머지 일정은 수학계의 잔치가 펼쳐졌다. 각 나라의 수학영재들이 모여 자신의 미래와 수학의 발전을 그려볼 수 있는 장인 셈이다. 실제로 외국의 수학올림피아드는 시험 외에도 특별강연을 통해 선배 수학자와 만날 수 ... ...
- 영재교육원 입시 어떻게 달라졌나?수학동아 l2011년 01호
- 12월에 추천 접수를 받아 올 2월에 합격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처럼 각 대학은 입시 일정뿐 아니라 지원 자격이나 제출 서류 등이 다르기 때문에 대학 영재교육원에 지원하려는 학생이라면 자신이 희망하는 대학의 영재교육원 홈페이지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 심화과정 학생 위주로 선발하는 ... ...
- Part1. 초고체_원자 따로 노는 '구름' 결정과학동아 l2011년 01호
- 때문에 일어나는 것인지를 밝히는 일입니다.”챈 교수의 말이다. 고체헬륨은 원자가 일정하게 배열된 결정이다. 그런데 결정의 상태가 초고체성에 영향을 주느냐 여부도 논란거리다. 1977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미국 프린스턴대 물리학과 필립 앤더슨 교수는 초고체가 고체헬륨의 고유한 ... ...
- [꿈은 고이 접어 이룰레라] Part1. 접으면 한강도 건넌다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쉽게 접으려면 섬유의 결이 어떻게 나 있는지 보아야 한다. 종이를 구성하는 섬유는 일정한 방향(섬유 배향 방향)으로 짜여 있다. 섬유 배향 방향을 따라 종이를 접으면 쉽게 접히지만, 그 방향과 수직으로 접으려면 더 많은 힘이 필요하다.종이는 접으면 접을수록 점점 단단해진다. 얇았던 종이가 ...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과학동아 l2011년 01호
- 10일 시상식을 앞두고 6일부터 기자회견, 대중강연 등 ‘노벨 주간(Nobel Week)’의 바쁜 일정을 소화하는 동안 이 호텔에 머문다.그리고 벽 쪽 테이블에 앉아 있는 흰 머리의 신사. 노벨 물리학상 심사위원 5명 가운데 한 사람인 뵈리에 요한손 웁살라대 교수다. 그는 10월 5일 스웨덴 ... ...
- Part3. 모노폴_극이 하나뿐인 자석과학동아 l2011년 01호
- 따르면 양자이론은 모노폴의 존재를 부인하지 않는다. 게다가 전기의 전하량이 항상 일정한 값의 정수배만 갖게 되는 이유를 설명하려면 모노폴이 필요하다.디랙은 모노폴을 내놓기 전 1928년에 반입자의 존재를 예측했었다. 그리고 1932년 실제로 반입자인 양전자가 발견되면서 디랙은 물리학계의 ... ...
- 흙은 살아 숨 쉬며 움직인다!과학동아 l2011년 01호
- 하지만, 흙을 비옥하게 만들어 식물에게 간접적인 도움도 준다. 세균은 너무 작은 몸을 일정한 곳에 지지하기 위해 끈적끈적한 액을 만든다. 이 액은 흙 입자를 뭉치게 한다. 흙이 덩어리로 뭉치면 물과 가용성 양분을 붙들 수 있다. 벌레와 두더지 같은 동물들은 땅속에 구멍을 판다. 이때 흙속에는 ... ...
- 한국과학영재학교 입학 Q&A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우리 학교는 일반고와 달리 대학교와 같은 체계로 교육이 이뤄진다. 원하는 과목을 듣고, 일정 학점 이상을 받아야 이수할 수 있다. 따라서 입학생들에게 기초적인 수학·과학능력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내신성적을 보는데, 내신성적은 학교별로 편차가 크다. 또 전체 석차만 표시되므로 과목별 ... ...
이전1811821831841851861871881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