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문
일간지
뉴스페이퍼
뉴스
신문지
페이퍼
신아일보
d라이브러리
"
일보
"(으)로 총 3,315건 검색되었습니다.
(3) 과학동아 편집실이 뽑은 '6공'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안면도 사태 한소과학기술교류등 6공과학기술계에 명암을 남긴 사건들을 정리해 본다.컴퓨터 보급 1백만대 돌파89년 초중고등학교 학교컴퓨터교육 실시를 계기로 개인용 컴퓨터(PC) 수요는 급속히 늘어 91년 하반기의 국내 컴퓨터 보유대수는 1백50만대를 돌파했다.PC수요가 급증한 데는 빠른 기술개 ... ...
소련 과학자들 해외취업 붐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소련의 대변혁 이후 소련학자들의 해외취업이 날로 늘고 있다. 소련 국내의 경제사정이 어려워져 과학자들에 대한 대우가 형편없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취업희망자중에는 우리나라로 직장을 옮기고 싶어하는 사람도 꽤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소련 핵공학자의 북한유입에 대해서는 ... ...
항공사진에 잡힌 「의문의 동그라미」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영국 등의 평야지대에 출현해 지구밖 문명체의 가능성을 시사해주는 '미스터리 원'의 항공사진이 공개됐다.'과학 아사히'에 게재된 이번 사진은 지난 8월 영국 월트셔 지방에서 촬영한 것. 소형비행기를 타고서 찍은 것인데 보리가 뒤집혀진 방향까지는 보이지 않지만, 사람이 보리를 뒤집고 들 ... ...
플라스틱이 골칫거리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일본에서는 최근 길거리에 버려지는 자동차들이 급증하고 있다. 폐차시에 드는 비용이 폐차에서 나오는 재활용품 가격보다 비싼것이 그 원인. 차종에 따라 폐차비용이 다르지만 대략 1만엔 정도가 든다고 한다.폐차비용이 많이 들게 된 가장 큰 원인은 플라스틱 부품의 급증. 충돌시 충격을 완화 ... ...
안락사는 법적으로 허용돼야 하나?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네덜란드에서는 최근 안락사의 법적인 허용여부를 놓고 열띤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지금까지는 안락사를 불법으로 규정해 왔으나 이제는 환자를 위해서도 반드시 허용돼야 한다는 의사들의 주장이 점차 세를 얻어가고 있다.실제로 매년 2천3백명의 네덜란드 사람들이 안락사를 통해 임종을 맞 ... ...
제3회 보람과학퀴즈대회 열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제3회 보람과학퀴즈대회가 92년 1월 13,14일 양일간 서울시 보라매청소년회관에서 열린다. 청소년들의 과학정신을 고취하기 위해 매년 겨울방학을 이용해 열리는 이 대회는 보라매청소년회관이 주최하고 서울시내 중고교의 뜻있는 과학교사들이 문제출제에 도움을 준다.참가자들의 지적 호기심 ... ...
유전자 조작된 동물의 젖에서 단백질 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종래의 유전공학적 단백질 생산법보다 훨씬 간단하고 값싼 방법 개발돼20세기가 다 가기 전에 어쩌면 우리는 '네발 달린 제약회사'를 보게 될지도 모른다. 다시말해 동물의 젖으로부터 꼭 필요한 단백질을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물론 이 동물은 범상한 동물이 아니다. 외부로부터 인위적으로 이질 ... ...
인공편모모터는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박테리아 편모를 움직이는 소형모터를 인공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면 의학계의 대혁명이 일어난다. 일본 쓰쿠바시의 스탠리 전기연구소에는 박테리아의 편모를 연구하는 그룹이 있다. 이 연구 목적은 초소형 인공분자 모터를 개발하는 것. 연구자들이 대부분 생물물리학자들인 이 연구단의 정식 ... ...
전자센서보다 우수한 광학섬유센서 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전자샌서의 최대 고민거리인 전자파장해 번개 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최근 국내외를 막론하고 건물의 붕괴사고가 빈번하다. 특히 우리는 뭔가에 쫓기듯 아파트 신축을 서두르고 있어 건물의 피로도, 즉 스트레스에 관해서는 별 관심이 없다. 심지어는 콘크리트의 양생기간도 지켜지지 않고 염도 ... ...
지구로부터 17만㎞ 떨어진 소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지름 1백m짜리 소행성과 충돌확률은 1년만에 한번꼴이다.1991년 1월 18일 5시(표준시) 애리조나대학 소행성 연구그룹의 라비노비치는 천구상을 대단히 빠르게 움직이는 17.5등급의 천체를 발견했다. 이 천체는 한시간에 1.4°(겉보기 각도)나 움직였다. 라비노비치는 동료인 스코치에 전화했다. 스코치는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