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
오직
단지
단독
d라이브러리
"
유일
"(으)로 총 1,925건 검색되었습니다.
흥미있는 컴퓨터 체스 2천3백점대의 챔피언 「하이테크」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라오와 두번 맞붙었는데 두번다 고배를 들어야만 했다. 하지만 하이테크로서는 그것이
유일
한 패배였다. 위 성적을 보면 하이테크의 점수는 2천4백점 정도로 볼 수 있고, 실제 게임 운영 성적까지 고려하면 2천4백43점까지도 볼 수 있는데, 86년초 현재의 평점 2천3백9는 너무 짜게 매겨져 있다고 ... ...
대통일이론의 아버지 셸든 글래쇼 Sheldon Glashow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교수는 못마땅한 얼굴로 글래쇼를 쏘아보더니 "글래쇼군은 1학년생 클래스에 들어 온
유일
한 4학생이다"라고 빈정댔다. 그러나 글래쇼는 곧 빙그레 웃으면서 이렇게 되받았다. "저는 이런 식으로 학점을 따는 과목이 여러개 있는 걸요. 당구장에 너무 드나들었기 때문이죠. 그러나 물리학자로 ... ...
가속기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있어 방사광 X-선의 공간 고분해성과 고강도 성질로 인해 초고밀도의 집적회로 양산의
유일
한 방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예를 들어 1M DRAM에서의 공간분해능이 1백만분의 1m(㎛)에 해당되지만 64M DRAM에서는 이 분해능이 0.25㎛에 해당하게 된다. 이러한 미래산업적인 요구로 인하여 이 기술의 개발 및 ... ...
시베리아에서 있은 폭발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지적될 수 있다. 중앙 시베리아는 아마도 그런 사건이 인명의 살상없이 일어날 수 있었던
유일
한 장소라는 것이다. 만약 그것이 바다에서 일어났다면, 급격한 해일을 일으켰을 것이다. 그리고 그 밖의 지구 어디에선가 일어났다면, 엄청난 수의 사람들이 죽었을 것이다. 둘째, 그런 사건이 지금 소련 ... ...
산학 협동으로 현장교육 중시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발생하는 제반 공학적 문제 해결을 위한 것으로 이런 식의 산학형태로는 국내에서
유일
하다. 2년 이상의 현장경력이 있는 사람이 이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데, 현재 울산과 온산공단의 20개 회사에서 30여명이 공장에서의 문제를 가지고 석·박사과정을 이수하고 있다. 울산대학교의 발전과정을 ... ...
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있을것이며 그래서 환경오염이 격심해졌지만 21세기초에도 사람들을 위해서는 지구가
유일
한 낙원이 될수밖에 없을것이다. 우주정거장은 일정한 위치에서 일하는 장소이며 통신이외의 연락업무 즉 물건을 지상에서 가져오고 또 정거장에서 쓰지 못할물건이나 통신수단으로는 정보전달이 불충분한 ... ...
창원기능대학 산업현장의 고급 기능인력을 길러낸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여성의 산업계 진출의 문을 활짝 열겠다는 각오로 이 학교에 들어왔읍니다. 전교에서
유일
한 여학생이란 부담이 없지는 않지만 모두가 협조적이어서 잘 되어 나갑니다" 금속학과 1년 홍재홍군은 또 다른 각도에서 면학의욕을 불태우고 있다. "6·29선언이후 민주노조결성을 소리 높이 외쳤던 것은 ... ...
소련 과학아카데미 알력심해져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소련에다 다수 후보자가운데 책임자를 비밀투표로 결정하는
유일
한 기관'으로 알려진 소련과학아카데미가 최근 '비민주적'이라해서 논란이되고 있다고 '네이쳐'지가 보도했다. '고르바쵸프'의 개방·자유화 물결에 따라 의사표현이 좀 자유로와지자 소련의 상당수 과학자들은 '선전상으로만 ... ...
제3의 산업혁명이 불붙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덜어보겠다는 실리적 판단에서부터 생산공정의 자동화만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유일
한 출구이며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필연적인 시대적 흐름이라는 대세판단론에 이르기까지, FA에 모아지는 관심은 하루가 다르게 증폭되고 있다. 이에따라 자동화설비 생산업체도 자체 기술개발과 새로운 ... ...
한국과학기술대학 과학영재의 산실로 뿌리내리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하늘 무서운 줄 모르고 세상 넓은 줄 모르는 시기, 기상천외한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는
유일
한 시기인 20대 중반에 박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준다는 의미이다. 실제로 과학기술대에서 한학기에 20학점 이상을 이수하기는 쉽지 않다. 리포트 양도 많고 설렁설렁 학점 따는 것을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