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지구가 또다시 흔들! 2016 대지진 긴급 분석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규모의 지진이 일어나고 있다는데…. 대체 무슨 힘이 연속으로 지진을 일으키는 걸까요?
우리나라
는 괜찮을까요? 에서 긴급 분석해 봤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지구가 또다시 흔들! 2016 대지진 긴급 분석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Part 2. 구마모토 ... ...
Part 3. 구마모토 지진으로 아소산이 폭발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흡수하기 때문”이라고 발표했어요.쓰시마-고토 지구대는 거대한 땅속 절벽으로,
우리나라
와 큐슈 사이를 정확히 반으로 가르는 바다 밑에 위치하고 있어요. 한반도에서 일본 열도가 떨어져 나갈 때 생긴 단층의 일종이지요. 이 절벽이 일본에서 오는 지진파를 흡수해, 땅의 울렁임이 한반도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지진은 1978년
우리나라
가 지진 관측을 시작한 이후 규모가 가장 컸다. 그전까지 가장 큰 지진이었던 1980년 평안북도 의주 지진(규모 5.3)보다도 13배 정도 강력했다. 규모는 지진으로 발생한 에너지의 양을 정의하는 단위로, 숫자가 1이 커질 때마다 에너지는 32배로 강해진다(로그 스케일).규모 5.8의 ... ...
Part 4. 시속 1200km, 초초초고속 열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우리나라
의 ‘아음속 캡슐 트레인’ ◀ 2011년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만든 모형 튜브.
우리나라
의 한국철도기술연구원도 2009년부터 튜브 속을 달리는 열차를 개발하고 있어요. 지난 2011년에는 최고시속 750km로 튜브 속을 달리는 열차 모형을 세계 최초로 만들기도 했지요.올해부터는 속력 1000km ... ...
[핫이슈] 지진 대비! 집을 지키는 수학!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경주시 남남서쪽 8.7km 지역’도 진앙의 위치였습니다.48분 만에 11배 강한 지진이!
우리나라
에 지진이 여러 차례 발생했지만 관측 사상 규모가 5.8이나 되는 지진은 처음입니다. 규모는 암석이 끊어지면서 일으키는 진동에너지의 단위입니다. 1935년에 미국의 지진학자 찰스 리히터가 동료인 베노 ... ...
PART 3. 수학으로 중력파를 찾다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필터를 통과한 신호에 중력파가 있다면 흰색 파형과 같은 중력파 파형을 뽑아낼 수 있다.
우리나라
의 국가수리과학연구소에는 총 4명으로 이뤄진 중력파 연구팀이 있다. 연구팀은 ‘힐베르트-후앙 변환’이라는 수학 이론을 이용해 중력파와 잡음을 분류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이 방법으로 ... ...
Intro. 데이터로 본 노벨 생태계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노벨위원회에 집중된다. 하루 한 분야씩 노벨상 수상자를 발표하기 때문이다. ‘올해는
우리나라
과학자가 노벨과학상을 탈 수 있을까’ 하는 기대감에, 각종 매체에 과학자들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하지만 매년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 하는 경험을 반복하고 있다.노벨상은 하나의 상징이다. ...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내 맘대로! 컴퓨터 언어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그런데 자연어 코드를 구성하는 방법은 사람마다 조금씩 달라요. 미국인이 영어를 쓰고,
우리나라
사람이 한국어를 쓰는 것처럼 프로그래머들도 각자 자기에게 편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해 컴퓨터에게 말을 거는 거지요. 시키고 싶은 일이나 컴퓨터의 성능에 따라서도 코드의 종류가 달라지고요 ... ...
[과학뉴스] 남해에서 백악기 도마뱀 발자국 화석 세계 최초 발견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우리나라
에서 세계 최초로 백악기 때 살았던 도마뱀의 발자국 화석이 발견됐다. 지금까지 백악기에 살았던 도마뱀의 화석은 여러 번 발견됐지만, 발자국 화석이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연구팀이 경남 남해군에 있는 ‘남해 가인리 화석산지(천연기념물 제 499호)’에서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단풍이 물드는 가을이다. 아직까지 푸른 빛을 간직하고 있는 나무도 곧 누구는 붉은 빛으로, 누구는 노란 빛으로 물들 터다. 그 아름다움을 ... 관리하는 하버드 삼림에는 여러 식물의 군락이 형성돼 있다. 박창균 연구원은 “
우리나라
도 단풍 관측에 대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