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간"(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Bridge] 이미지 인식 AI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수많은 이미지를 학습해 훈련합니다. 이때 데이터의 양이 워낙 많아 학습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다 보니 적은 데이터로도 많은 양을 학습할 수 있는 방식을 고민해야 하죠. 그리고 딥러닝의 단점 중 하나가 지속적으로 학습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한 가지 일을 배우고 또 다른 일을 배우면 전에 ... ...
- 폴리매스 정보통! 모두가 푹 빠진 폴리매스미궁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미궁의 따끈따끈한 소식을 전해줄 테니 따라오라고~. 퍼즐 모드 명예의 전당 톱 5, 2시간 48분 만에 탄생! 폴리매스 미궁의 ‘퍼즐 모드’는 단 1시간 37분 만에 모두 해결한 친구가 등장했어. 바로 ‘소나무Math’ 친구야! 폴리매스 잡담방에도 많은 글을 남기며 열정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줬지. ... ...
- [과학뉴스] 메갈로돈의 ‘거대한 이빨’ 의외로 약했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포유류를 닥치는 대로 먹어치우던 바다의 포식자였다. 출현 초기에는 비교적 작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몸집이 커져 몸길이가 15~16m, 가장 큰 이빨 길이가 18.8cm에 이르렀을 것으로 추정된다. 메갈로돈이라는 이름도 ‘거대한 이빨’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최근 메갈로돈의 이빨이 보기보다 ... ...
- 3가지 혁신의 열쇠... 사람들은 왜 애플카에 열광할까.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아이폰 12 프로’에 라이다(LiDAR) 센서를 탑재했다. 라이다는 레이저를 쏴 반사되는 시간을 측정해 물체와의 거리를 알아내고 공간을 3차원(3D)으로 파악하는 센서다. 전파를 쏴 물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더와 원리는 유사하나 라이다는 레이더보다 공간 분해능이 훨씬 뛰어나다. 아이폰 12 프로의 ... ...
- 기후위기의 마지노선, 심해가 끓고 있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하지만 대기와 심해는 해류를 통해 물질과 에너지를 교환하는만큼 순환에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전 지구적으로 순환하는 해류 대순환의 경우, 이동 속도가 초속 10cm 수준으로 매우 느리다. 심해는 대기, 표층으로부터 온 물질과 에너지를 교환하며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심해는 부피 기준으로 ... ...
- 위기의 해양동물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연구원은 “최근 해양 열파는 해양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으며, 복구하는 데 오랜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빙하가 녹아 서식지 변화를 겪는 북극 해양동물 기후변화의 피해를 직격탄으로 맞은 것은 북극에 서식하는 해양동물이다. 실제로 지난해 파비앵 레프리외르 프랑스 ... ...
- [수학게임X파일] 분수 쪼개기 놀이 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받았어요. 학습을 목표로 한 이 게임이 재밌냐고요? 어른도 퍼즐을 푸는 재미에 푹 빠져 시간 가는 줄 모르고 하게 될 만큼 재밌어요. 기자 역시 앉은 자리에서 분수 쪼개기 놀이➊의 모든 단계를 끝냈답니다. 여러분도 도전해 보세요 ... ...
- [지구사랑탐사대] 곤충박사 팀 김현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지사탐 활동 다짐 부탁드려요!작년엔 코로나19로 학교를 못가게 되면서 동네를 탐사할 시간이 많아졌어요. 특히 지사탐 강연을 온라인으로 볼 수 있게 되어 빠짐없이 참여하고, 보고서를 쓰고, 매달 강연에 맞는 생물도 탐사할 수 있었지요. 덕분에 다양한 종의 생물종을 탐사하고 자연에 더 많은 ... ...
- [이달의 과학사] 인류, 가장 깊은 바다에 도착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금이 가면서 난 소리였어요. 나중에 잠수정이 수면으로 올라온 이후 깨져버렸지요.약 4시간 48분 동안의 잠수 후, 트리에스테호는 마침내 수면 1만 916m 아래 챌린저 해연의 바닥에 닿았어요. 잠수정이 바닥에 닿으면서 진흙탕이 일어나는 바람에, 타고 있던 두 사람은 바닥에 머무는 20분 동안 바깥도 ... ...
- [파고캐고 지질학자] 끙끙! 지질학자는 지금 동굴 탐험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지구가 남긴 증거를 통해 까마득한 과거의 사실을 밝혀나가요. 그러다 보니 많은 시간을 야외에서 보내죠. 자료를 찾기 위해 산, 호수, 사막, 바닷가, 빙하처럼 지구 표면에 드러난 모든 지역을 돌아다닙니다. 때로는 기계로 수 킬로미터 땅밑의 암석을 채취하고, 배를 타고 다니면서 심해 퇴적물을 ... ...
이전1811821831841851861871881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