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치"(으)로 총 2,0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풀어쓰는 컴퓨터 역사③ 최초의 컴퓨터 에니악과학동아 l1991년 04호
- Controlled Calculator)를 만들었다. 비록 스위칭체제는 전기식 릴레이를 사용하였지만 모든 수치자료를 2진수체제로 표시했다. 전기식 릴레이는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했다. (그림)a에서 나타나 있듯이 코일 A에 전기가 흐르면 A가 감고 있는 철심이 전자석으로 변하게 된다. 전자석으로 변한 철심은 옆의 ... ...
- 지·금·유·학·현·장·에·서·는 응용천재 일본, 기초연구에 눈돌려과학동아 l1991년 04호
- 연구를 세분해 보면 재료(신재료 제작) 제작방법(박막형 에칭 조립) 기기의 설계와 수치계산법에 의한 성능확인, 기기의 실험적인 평가와 응용에의 검토 등으로 나누어진다.따라서 초소형기기분야는 물리 화학 재료 기계 전기 전자 및 의공학 등 다분야의 지식과 경험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실제로 ... ...
- 3 제6세대 컴퓨터를 향한 첫발과학동아 l1991년 03호
- 대한 답을 낼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공해야 한다. 그러면 컴퓨터는 내부적으로 정확한 수치계산과 논리 연산을 고속으로 수행하여 모든 경우를 따져보고 결론짓거나 답을 낸다. 이것은 사람의 지능 방식과 다른 것이다. 이것은 기존 컴퓨터의 필연적인 숙명이자 장점이다.그러나 이와같은 ... ...
- PART Ⅲ 인간의 의식이란 무엇인가?과학동아 l1991년 03호
- 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이들 유전론자들에 대해 프린스턴 대학의 카민은 데이터 수치가 조작됐음을 증명해 이들을 비판했고 학생들은 '인종차별주의자'라고 격렬하게 항의하기도 했다. 이들 주장에 대한 의혹은 지능테스트의 연구로 '경(卿)'의 호칭까지 받은 영국의 C.버트의 데이터 조작사건 ... ...
- 감기와 독감은 「2란성 쌍둥이」과학동아 l1991년 03호
- 개발돼 있는데···아마도 감기를 앓아본 경험이 전무한 사람은 없을 것이다. 통계적인 수치에 따르면 성인은 1년중 3,4회, 어린이는 1년중 6,7회 정도 감기를 앓는 것이 보통이라고 한다. 이렇게 본다면 인간은 평생 살면서 최소한 3백번 정도 감기를 앓는다는 이야기가 된다. 이 사실은 사람에게 가장 ... ...
- 첨단과학과 감성적 이미지의 조화과학동아 l1991년 03호
- 포드사의 시장점유율을 19%까지 올려 놓았다. 바로 전해인 83년의 점유율보다 2%가 오른 수치. 같은 해에 크라이슬러는 0.3%의 신장에 그쳤고 GM은 오히려 낮아졌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소비자에게 호소하는 디자인의 힘을 실감할 수 있게 해준다. 이어 포드사는 86년에 토러스 시리즈를 개발하여 커다란 ... ...
- 천재 김정호의 선물 대동여지도과학동아 l1991년 03호
- 水準測量)이 아니었고 약식(略式)의 표준점을 설정, 그것과의 비정(比定)으로 각 점(点)의 수치를 계산해내는 방식을 활용, 표고(標高)를 정했다. 그것은 간단한 사각의(斜角義)와 수평목측거리(水平目測距離)에 의한 산출에 불과했지만, 한 도면에 20점 전후의 표고가 표시된 상당히 면밀한 것이었다. ... ...
- 4 컴퓨터의 언어장벽 허물어퍼지컴퓨터과학동아 l1991년 03호
- 같은 정성적인(qualitative) 자료에 근거한 결론에 도달할 수 있는데 반해 기존의 컴퓨터는 수치적인 계산능력은 있지만 부정확하고 정성적인 자료를 가지고 원하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는 능력은 부족하다. 합리적 판단을 흉내 내고예를 들어 일반 컴퓨터에게 남자의 경우, 키 1백80㎝ 이상은 크고 그 ... ...
- 가장 밝고 푸른 '사랑의 여신' 금성(Venus)과학동아 l1991년 02호
- 평균거리가 1억8백20만㎞로 태양에서 지구까지 거리의 0.72배다.이와같이 물리적인 수치로는 금성이 지구와 비슷하지만 그 환경에 있어서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금성은 짙은 이산화탄소의 대기로 둘러싸여 있어서 망원경으로는 그 표면이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레이더 전파를 이용하거나 우주선을 ... ...
- 노출시간과 필름의 감광속도에 주의과학동아 l1991년 01호
- 필름면에서 점상으로 나타나는 시간은 초점거리 50㎜ 카메라의 경우 6.88초다. 그러나 이 수치는 촬영하는 대상의 하늘에서의 고도와 밝기에 따라 길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별을 점상으로 찍을 수 있는 시각은 (표)와 같으나 필름면에서의 빛 번짐이 있기 때문에 이 값의 2배까지 노출을 주더라도 ... ...
이전1811821831841851861871881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