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련성
상관
d라이브러리
"
비교적임
"(으)로 총 2,555건 검색되었습니다.
치아 맞물림 부조화가 갖가지 증세 부른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잘 씹는다'는 것은 단순히 치아만 튼튼해서 가능한 일은 아니다. 치아와 턱관절, 주변 근육이 조화를 이뤄야 하며 이는 건강과 직결된다.건강한 치아는 오복 중 하나라는 말이 있다. 이때 건강한 치아란 단지 충치가 없고 잇몸이 튼튼하며 치열이 고른 상태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기능적인 면에 ... ...
한반도에서 시조새 화석 발견됐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지난달 과학동아 '과학외길'에 실린 김봉균 박사의 글을 읽은 많은 독자들의 '조선시조새'의 자세한 내용을 알려달라는 요청이 있었다. 이 글은 그 같은 요청에 대한 답이다. 약 1백여년 전 독일 남부 바이에른 지방의 졸론호펜 석회암층(초기 쥐라기)에서 세계 최초로 두 개체의 시조새 화석이 ... ...
4. 새로운 과학인가 20세기 신화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가이아 이론이 등장하자 과학계와 철학계는 논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렸다. 과학의 성격을 띠면서도 신화적 요소를 배제할 수 없는 가이아 이론 자체의 특성 때문이었다. 가이아 이론은 과연 과학인가 신화인가.제임스 러브록의 '가이아(Gaia)'이론에서 흥미로운 점은 이것이 과연 하나의 새로운 과학 ... ...
4. 극저온·초고온에 견디는 신소재를 찾아라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로켓개발의 핵심기술 중의 하나는 재료다. 재료개발 없이는 오늘날 인류가 우주를 정복할 수 있는 기회는 오지 않았을 것이다.제2차 세계대전 말기에 폰 브라운 박사팀에 의해 완성된 V2 로켓 개발을 시작으로 오늘날에는 군사용을 비롯하여 통신 관측 과학 및 우주개발을 위한 다양한 로켓이 연구 ... ...
1. 세계가 자랑하는 대형로켓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일본이 H2 로켓을 쏘아올림으로써 방송통신위성을 지구정지궤도에 올릴 수 있는 나라는 5개국으로 늘어났다. 이들 '로켓 빅5'는 상업용 인공위성 발사시장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지난 2월 4일 일본은 자체 기술로 개발한 H2 로켓을 쏘아올렸다. 이로써 일본인 명실상부한 로켓개 ... ...
43만 가구 일시에 정전시킨 '섬락현상'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최악의 설명절. 설날인 지난 2월10일 새벽부터 12일 낮 사이 충남 및 전남·북해안지방의 42만5천여 가구는 느닷없이 정전사고를 당해 강추위에 떠는 설명절을 보내야 했다. 또 비닐하우스의 농작물이 얼어 죽고 축사의 닭 돼지 등 가축과 양어장의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하는 피해를 입었다.한국전력 ... ...
지도, 어떻게 만들어지나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둥근 지구를 평면에 표시한 지도는 몇가지 점에서 주의를 기울여 살펴야 한다. 여러 목적에 두루 맞는 지도란 없기 때문인데….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여러 목적으로 다양한 지도를 사용하고 있다. 어느 국가나 대륙의 위치를 알아보기 위해 참고하는 세계지도는 친구집을 찾아 가거나 여행할 때 사 ... ...
생물- 대장균이 길러낸 인슐린으로 당뇨병 치료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유전공학은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렇게 발전된 유전공학은 인류에게 유익하게 활용되기도 하지만, 인류의 미래를 위협하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유전공학을 이해하려면 먼저 DNA를 알아야만 한다. 여기에서는 DNA를 간단히 살펴보고, 유전자 재조합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DNA는 유전자 ... ...
4. 사람에게만 서식하는 종류는 퇴치가능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바이러스를 물리치기 위한 연구는 어디까지 와 있을까. 발달된 의학은 많은 바이러스의 예방약을 내놓고 있지만, AIDS 등 아직도 퇴치에 근접하지 못한 바이러스도 부지기수다.천연두바이러스는 인간이 퇴치한 최초의 바이러스다. 1796년 영국의 제너가 처음으로 종두법을 개발한 이래, 세계보건기구 ... ...
지구과학- 운석충돌로 생성 직경 200km 넘는 것도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천체망원경이나 쌍안경으로 달을 보면 원형의 구덩이들이 보인다. 직경 2백km가 넘는 것 등 달에는 이러한 구덩이가 3천여 개 정도 있다. 아폴로 탐사로 인간이 달에 다녀왔지만 지상에서 보이는 달의 크레이터들은 아직도 인간의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하다.천체망원경이나 쌍안경을 구입한 사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