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미션3. 빛으로 구조 신호를 보내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모스부호로 정보를 전달해요. 전등을 껐다 켰다하며 신호를 보낸답니다. 김정구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는 “간단한 방법으로 정보를 빠르게 전달하는 것이 통신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어요. 영어뿐 아니라 한글도 모스부호로 나타낼 수 있어요. 한글 모스 부호표를 이용해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가장 오래된 블랙홀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그런데 J0313-1806은 두 경우보다 더 빨리 만들어졌거든요. 연구에 참여한 애리조나대학교의 샤오후이 판 박사는 “이 블랙홀은 지금까지 설명해온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졌을 것”이라 밝혔어요. 연구팀은 앞으로도 다른 퀘이사를 찾으며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랍니다 ... ...
- [4컷만화] 석탄을 전자레인지에 돌리면 흑연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식은 피자를 데울 때만 쓴다고요? 미국 와이오밍대학교 물리학 및 천문학과 테유 치엔 교수팀이 전자레인지를 이용해서 석탄을 흑연 나노입자로 만드는 방법을 발표했어요.흑연 나노입자는 윤활유부터 소화기, 리튬 이온 건전지에 이르기까지 산업 전반에서 쓰이는 물질이에요. 연구팀은 석탄을 더 ...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청주동물원, 토종동물 보호소를 꿈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담아 싣고 충남 서산의 새로운 방사지로 향했습니다. 황새 방사 경험이 있는 한국교원대학교 황새생태연구원의 도움을 받아 먹이가 풍부하고 포식자 등 위험 요소가 적은 곳으로 정했지요. 방사지에 도착한 뒤 주변을 둘러보니, 뒤에는 강이 흐르고 앞은 탁 트인 농경지가 있었습니다. 백로가 먹이를 ... ...
- [특집] 뇌를 흉내 낸 학습법, 딥러닝의 세 가지 비결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복잡한 신경망에서도 가중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됐어요. 2006년 제프리 힌튼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교수는 ‘깊은 사고 학습 네트워크를 위한 빠른 학습 알고리듬’이라는 논문에서 수백만 개의 은닉층으로 구성된 인공신경망은 사전 학습을 통해 더 빠르게 학습할 수 있다면서 복잡한 신경망을 사용해 ... ...
- 이루다의 이루다 만 꿈, 대화형 AI의 미래는?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기준을 반영하는 기술을 넣는 것이죠.AI와 사람 사이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이준환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님은 2월 4일 온라인으로 열린 ‘이루다 사건으로 본 인공지능 거버넌스: AI의 일탈을 어떻게 막을 것인가?’ 좌담회에서 가장 먼저 ‘설명 가능한 AI’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 ...
- [수담수담] 마음의 공식을 알면 수학 공식이 보인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작게 느꼈던 숫자 2가 매우 커 보이는 등 수학만의 신비로운 매력이 있었거든요. 그런데 대학교에 입학해서 진짜 수학을 잘하는 사람들을 만났고 그 사람들이 너무 부러웠어요. 소수의 예술가만 천재성을 발휘해 희대의 명작을 남기듯, 소수의 뛰어난 수학자만 수학적으로 중요한 업적을 세울 수 ... ...
-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함수로 신경망 따라하기 딥러닝에 사용하는 인공신경망은 신경계의 기본 단위인 ‘뉴런’의 작동 원리를 이용해 만들었습니다. 뉴런의 수상돌기가 화학 신호를 받으면 축삭돌기로 전기 신호가 전달됩니다. 이것이 다시 화학 신호 형태로 축삭돌기 말단에서 다른 뉴런으로 전달되면서 몸에 반응 ... ...
- [이달의 수학자] 나라를 구한 수학자,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연구하는 수학 분야죠. 이후 박사 학위를 받은 시에르핀스키는 우크라이나 리비우대학교에서 교편을 잡고 집합론을 가르쳤습니다. 그리고 동료 수학자들과 함께 1920년 위상수학과 집합론, 논리학, 수리 철학 등을 전문으로 다루는 학술지 ‘수학의 기초’를 만들기도 했습니다. 집합론에서 특수한 ... ...
- [여섯 번째 대멸종] 한 종이 사라지면 생태계가 와르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단적인 예가 ‘도도새’와 ‘도도나무(Sideroxylon grandiflorum)’예요. 1977년,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생태학자 스텐리 템플 박사는 모리셔스에서 도도나무를 발견했어요. 13그루만이 남았었고 모두 300살 정도였죠. 이 나무는 자신의 열매를 도도새가 먹고 배설해야만 새로운 싹이 날 수 있는 데, 도도새가 ... ...
이전1811821831841851861871881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