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신"(으)로 총 5,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여기도 인간이 살 수 없는 척박한 곳이었다. 돌아온 그들은 부족한 연료를 갖고 귀환 대신 인류의 미래를 위해 마지막 행성의 탐사를 선택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주인공은 5차원의 공간에 갇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주인공은 지구에 신호를 보내 인류를 구한다.인류의 멸망은 막았지만, 중력으로 ... ...
- 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개발비, 산업체 부품 제작비 등을 포함한 총사업비는 1조 2000억 원 규모에 이른다. 대신 나중에 핵융합 발전소를 건설하고 운영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다.한국, 기여도 크고 성과도 크다이터한국사업단에는 현재 약 70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고, 이터국제기구에는 30여 명의 한국 연구원이 프랑스 ... ...
- [career] “3D 프린터로 하늘 나는 새를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논리학을 통해 생각했다면 현대인들에게는 컴퓨팅적 사고(Computational Thinking)가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습니다. 컴퓨팅적 사고란 우리가 풀기 어려운 아주 복잡한 문제를 컴퓨터가 생각할 수 있는 형태로 바꿔주는 것입니다. 컴퓨터공학은 컴퓨팅적 사고를 훈련하는 방법입니다. 혹자는 그래서 ... ...
-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예쁜 얼굴과 건강한 몸을 오래오래 지키기 위해서 음료수를 마시는 횟수는 조금 줄이고, 대신 물을 마셔 보자! 혼자보단 가족, 친구들과 함께 하면 더 좋겠지? 건강을 위해 다 같이 물~, 물~, 물을 마시자!최돈혁 워터 소믈리에가 추천하는 물 마시는 법“살짝 차갑게 조금씩 자주 마시자!”➊ 물은 ... ...
- [체험] 두근두근 생애 첫 코딩, 스크래치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빛, 버튼, 슬라이드 등 외부의 자극을 감지할 수 있는 보조 장치다. 이 센서를 키보드 대신 입력 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보드를 이용하면 빛에 따라 식물에 물을 줘야 할 때를 알려 주는 알람을 만들 수 있다.독자들은 이런 센서보드를 가지고 먼저 2~3명이 한 팀을 이뤘다. 그런 다음 각 ... ...
- [교과연계수업] 내 몸이 탈수 상태라고? 물 마시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상태라는데, 정말 그럴까요? GIB ● 우리나라 어린이들은 만성탈수? 목이 마를 때 물 대신 음료수를 마시는 어린이는 유빈이뿐만이 아니야. 지난 해 제일기획과 한국리서치가 공동으로 우리나라 청소년 800명을 조사해 보니 하루 평균 물을 4잔밖에 마시지 않더라고. WHO(세계보건기구)가 정한 하루 ... ...
- [hot science] 포스트시즌의 세가지 미신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운’에 가까웠던 것이다.한국에서는 아직 클러치 값을 직접 제공하는 곳이 없다. 대신 득점권 타율을 살펴보면, 정규시즌 1위로 한국시리즈에 진출한 삼성 라이온즈 야마이코 나바로가 0.407의 타율을 기록하며 맹타를 휘둘렀다. 이번 한국시리즈에서 나바로가 과연 운을 뛰어넘어 진짜 클러치 ... ...
- [knowledge] 내가 먹은 흑돼지, 정말 토종일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치킨’과는 어울리지 않는다. 기름에 튀기면 근육만 남아 고무처럼 질겨지기 때문이다. 대신 오래 삶아서 먹는 백숙에는 제격이다. 1950년대 전까지 한국 사람들에게 닭은 ‘삶아서 먹는 것’이였다.재래닭은 살아가는 모습도 특색 있다. 몸이 가볍고 날개가 강하다보니 잘 날아다닌다. 나무 위도 ... ...
- [시사] CHIHULY 유리와 자연의 입맞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있다. 바로 치훌리의 ‘글라스하우스(glasshouse)’다. 이 온실 안에는 더운 지방의 식물 대신 유리로 된 꽃이 벽면을 타고 넝쿨을 이루고 있다. 글라스하우스는 미국 시애틀의 ‘치훌리 가든 앤 글라스(Chihuly Garden and Glass)’ 중심부에 있다. 치훌리 가든 앤 글라스는 치훌리가 평생에 걸쳐 만든 작품을 ... ...
- PART 2.Y가 사라진 세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죽는 남성들 이제 남성을 XY 대신 Xy라고 부른다. 이유는 간단하다. 2억년 전 Y 염색체가 탄생하자마자 시작된 유전자 소실이 다시 시작됐기 때문이다. 3500만 년에서 1000만 년 전 즈음까지는 Y가 짧아지는 현상이 잠시 소강상태에 머물렀지만, 애초에 제대로 쌍을 이루지 못한 염색체가 제 모습을 ... ...
이전1811821831841851861871881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