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수명
삶
인생
생애
명
생계
스페셜
"
생명
"(으)로 총 2,09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출로 '연구로' 분야 세계 최고를 노린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0.29
분원인 첨단방사선연구소를 중심으로 의학적 진단과 치료, 신소재 개발, 방사선의
생명
공학적 응용, 비파괴 검사 등 방사선 이용 및 융합 기술을 더욱 확대해 관련 산업을 육성하고 일자리를 창출해 나갈 계획입니다. Q. 원자력에 대한 일반인들의 우려를 극복할 방안은 무엇입니까? 안전 연구만큼은 ... ...
[채널A] 치명상 입은 환자 살리는 ‘스마트 안경’
채널A
l
2014.10.22
치명상을 입은 환자가
생명
을 구하기 위해 병원에 도착해야 하는 시간을 '골든 타임'이라고 하는데요. 구급차에 실린 이른 바 '스마트 안경'이 이런 골든 타임을 지키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이영혜 기자입니다. [리포트] 교통사고로 머리에서 많은 피를 흘린 환자. 급히 출동한 119 ... ...
[Green Focus]‘3세대 바이오매스’ 미세조류가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4.10.14
개에 달하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세계적 정유사인 엑슨 모빌은 2009년 7월 미국의 저명한
생명
공학자 크레이그 벤터(Craig Venter) 박사가 설립한 SGI(Synthetic Genomics Inc.)와 6억 달러 규모의 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하고 바이오연료를 생산하기 위한 고효율의 미세조류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이 ... ...
[Green Lab_현장탐방]바이오연료 만드는 생물시스템공학의 산실
동아사이언스
l
2014.10.14
지방산은 16~18개의 탄소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짧은 사슬의 탄화수소는
생명
현상에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세포 내에서 합성되지 않는다. 그래서 기존에 바이오휘발유를 만드는 공정에서는 ‘크래킹’이 필수였다. 크래킹은 무겁고 큰 탄화수소를 열을 가해 분해하여 작은 탄화수소를 ... ...
[채널A] 장수 노인 105명…‘토종 유산균’ 101개 발굴
채널A
l
2014.09.16
05명의 장 속을 조사해 토종 유산균 101개를 찾아냈습니다. [인터뷰 : 이연희/서울여대 원예
생명
조경학과 교수] 안전하고 특히 한국 사람한테 들어갔을 때 장에 부착이 잘돼서 면역 증강 효과 등 여러 효과를 오랜 기간 동안 아주 잘 발휘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에 발견된 유산균 ‘LF998 ... ...
독창적인 광유전학기술로 뇌 비밀 밝힌다
IBS
l
2014.09.04
분자생물학에서 아주 중요한 연구 도구가 되겠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KAIST
생명
과학과에 부임해 바이오이미징 및 세포신호전달 실험실을 마련했던 그는 2009년 초부터 광유전학 관련 연구를 시작했다. 허 교수는 이때부터 식물광수용단백질을 이용한 광유전학과 바이오이미징 분야의 다양한 ... ...
좁지만 넓은 시냅스틈의 비밀, 신경전달물질
IBS
l
2014.09.03
대중적으로도 널리 알려지기도 했다. 최근에는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마무리되고
생명
과학계의 격전지가 뇌과학으로 옮겨가면서 새로운 연구성과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미국과 유럽, 일본 등 주요 과학기술 선진국들이 국가적 아젠다로 선포할 정도로 세계적으로 뇌과학에 대한 관심이 높다. ... ...
아세요? 암모니아 합성에 인류 에너지의 2%가 들어간다는 사실을
2014.08.18
생체를 이루는 주요 분자인 단백질과 핵산의 구성성분이기 때문에 질소(물론 질산염처럼
생명
체가 쓸 수 있는 형태다)가 부족한 토양에서는 농작물이 제대로 자라지 못한다. 필자를 비롯해 요즘사람들이야 화학비료를 색안경을 끼고 보며 ‘유기농산물’을 찾지만 사실 이건 배부른 얘기다. 글자 ... ...
"유전체교정 기술로 세상을 바꾼다!"
IBS
l
2014.08.06
그는 미국 위스콘신-메디슨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국내에서 툴젠(ToolGen, Inc.)이란
생명
공학 벤처를 공동 설립했다가 서울대 화학부 교수가 됐다. 전 세계의 주목 받는 '3세대 유전자가위' 개발 김 단장이 3세대 유전자가위 RGEN에 대한 연구성과의 의의를 밝히고 있다. 이 연구성과가 실린 ... ...
진화로부터 탄생한
생명
의 시계
IBS
l
2014.07.07
낳으면 된다. 생식 시기를 마흔 살 정도로 늦추면 여러 세대를 거치는 동안 40세 전에
생명
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형질들은 자연선택으로 사라지고 40 이전의 노화 속도도 늦춰질 것이다. 몇 세대가 걸릴지도 모르고 생식 후 급속한 노화가 일어나는 문제가 생길 수도 있겠지만 말이다. * 본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