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용
이용
사용
활용
어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애프리케이션
뉴스
"
응용
"(으)로 총 2,876건 검색되었습니다.
평생 '반핵'을 주장한 노벨화학상 수상자 시모무라 오사무 교수 타계
동아사이언스
l
2018.10.23
추적할 수 있었던 것도 녹색형광단백질 덕분이었다. 이 같은 녹색형광단백질의 발견과
응용
을 이끈 공로로 시모무라 교수는 2008년 마틴 챌피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 로저 첸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교수와 함께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 오사무 시모무라 교수가 2008년 당시 노벨화학상 ... ...
[2018국감]올해도 지적만 하다 끝나나…해답 못찾는 ‘연구과제중심제도(PBS)’
동아사이언스
l
2018.10.22
너무나 다양해 하나의 획일적인 대안을 마련하기 힘든 상황이었다”며 “대신, 기초와
응용
등 기관의 고유 임무에 따라 맞춤형으로 대응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국감에 참석한 의원들은 이를 PBS 논의를 원점으로 돌렸다고 비판했다. 김성수 의원(더불어민주당)은 “PBS 개편안을 ... ...
치료후 몸 속에서 '스르륵'…저절로 녹는 전자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21
뇌손상 및 척추손상 등 중추신경의 재활과, 부정맥 치료를 위한 단기 심장박동기에도
응용
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2016년 최초로 생분해성 뇌압측정기를 개발해 ‘네이처’에 발표했던 강 교수는 “생분해성 전자소자 시장에서 한국이 핵심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과학게시판]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과학주간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0.19
이수화학이 참여한 화학소재 및 공정 전공에는 바이오매스 기반 고분자 합성 기술 및
응용
분야 통합과정을 개설한다. 단단은 측정과학 전공에 참여해 대형 반사경용 광기계 설계 및 정밀가공 분야 석사를 선발한다. 2019년 전기 ICORE 신입생 모집 원서 접수는 26일까지이며, 자세한 내용은 UST ... ...
고성능 전자소자 만드는 단결정 포일 쉽고 싸게 제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9
단결정 성장 기술의 발견이 현재 반도체의 역사를 연 것처럼 다양한 분야에
응용
돼 세상을 바꿔나갈 것“으로 기대했다. 루오프 단장은 미국의 글로벌 학술정보회사인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옛 톰슨로이터 지적재산과학사업부)가 예측한 ‘2018 노벨상 수상 유력 후보(Citation Laureates)’에 ... ...
11회 윤광열 약학상에 오유경 서울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8.10.17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다. 오 교수는 현재 약학 분야에서 상위 1%에 속하는 학술지인 ‘
응용
약물 전달 평론(Advanced Drug Delivery Review)’의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오 교수는 “앞으로 약물전달 분야에서 더 나은 성과를 도출할 수 있는 과학자가 되겠다”고 수상소감을 전했다. 시상식은 오는 18일 ... ...
콜레스테롤 수치, 혈액 대신 입 속 ‘침’으로 확인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7
수행할 것”이라며 “체액 기반의 각종 호르몬 및 포도당 검출 기술 등에 다양하게
응용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엘스비어(Elsevier)에서 발간하는 국제학술지인 '센서와 액추에이터 B: 케미칼‘에 최신호에 게재됐다. ... ...
실용적인 탄소섬유 제작법 ‘홍합’과 그래핀에서 찾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7
논문 제1저자인 김인호 KAIST 신소재공학과 연구원(왼쪽)과 김상욱 교수. - 사진 제공 KAIST 원자 한 개 두께로 얇은 탄소 구조인 ‘그래핀’에 홍합에서 ... 있었다”며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복합섬유를 제조하거나 다양한 웨어러블 직물 기반
응용
소자에 활용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UNIST, '합리적인 유기물 광촉매 설계 플랫폼'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17
합성할 수 있다는 평가다. 향후 컴퓨터기반에 편리한 광촉매 설계프로그램 으로도
응용
될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권교수는 “추후 인공지능이 스스로 공부하는 머신 러닝 기술과 결합하면, 순수하게 컴퓨터를 통해 누구나 광촉매를 설계할 수 있을 것”며 “고분자뿐아니라 인공광합성, ... ...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
2018.10.16
얘기한다. 특히 아래 대목이 압권이다. ‘네이처’ 사설의 제목은 아래 구절에서
응용
한 것 같다. 무슨 내용인데 이처럼 별난 제목을 붙였나 궁금해 읽어봤다. 1957년 발표한 엘라 피츠제럴드와 루이 암스트롱의 앨범 ‘Ella and Louis Again’에 ‘Let’s Call the Whole Thing Off’가 수록돼 있다.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