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초
아교
접합제
식물
초본
자연초
반수
d라이브러리
"
풀
"(으)로 총 2,336건 검색되었습니다.
밀레니엄 베스트 사이트 10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모두 최고의 사이트로 평가된 곳도 있다. 영화의 IMDB, 유머의 양파(onion), 재정의
풀
(fool), 뉴스의 CNN 등이 그렇다. 양파 사이트는 유명한 패러디뉴스 사이트로 ‘미국판 딴지일보’인 셈이다.2.검색엔진 애스크지브스 www.askjeeves.com우리말로 번역하면 “지브스씨에게 물어봐” 정도가 될까? 마치 친절한 ... ...
Ⅰ. 30억개 문자의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연결점을 찾아내 다시 연결하면 '매끈한' 선 형태의 DNA 가닥을 만들 수 있다. 뒤엉킨 실을
풀
때 가위로 여러 곳을 싹둑 자른 후 그 토막들을 순서대로 붙여 한줄로 길게 늘어뜨리는 것과 비슷한 방식이다.문제는 이 DNA의 염기서열이 어떤지를 분석하는 과정이 엄청난 경비와 기술적 혁신을 ... ...
300년만에
풀
린 최석정의 마법진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원리에서는 중앙 사각진에 인접한 외부 사각진의 개수가 홀수/짝수에 따라 다른
풀
이가 나올 수 있다. 그러나 이지원씨는 홀수/짝수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일반원리도 발견해냈다. 이는 독자들의 탐구를 위해 남겨두기로 한다.3. 복합진 - 낙서구구도(팔각진과 내부수까지 9개의 숫자합이 369를 이룬다. ... ...
비무장지대에 대량 살포된 고엽제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숲으로 우거져 있어 침투자의 모습을 발견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많은 군인들이 매일
풀
베기에 나섰지만 무리였다.‘식물통제계획 1968’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책이 바로 `‘식물통제계획 1968’이라 불린 작전. 고엽제를 대량으로 살포해 아예 식물을 없애자는 내용이었다. 미국과 한국 정부가 ... ...
움직이는 지구 변하는 우주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연필의 끝이 가리키는 곳을 살핀다.⑤ 연필을 앞뒤로 움직이면서 4의 과정을 되
풀
이 해본다.■확인하기양눈을 한쪽씩 감아 보면 도화지에 위의 점과 연필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차이는 시차라고 하며 눈과 연필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시차는 커진다. 시차를 이용하면 ... ...
간지럼타는 배롱나무와 음악듣는 오이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소식이 바람을 타고 다른 식물들에게 전해지지 않도록 늘 바람이 불어오는 쪽을 향하고
풀
을 뜯는다고 한다.음악을 즐기는 오이최근에는 식물들이 음악을 즐기기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이 분야의 개척자는 그린음악 농법을 만든 농촌진흥청의 이완주 부장이다. 그는 90년대 ... ...
2. 날씨 따라잡기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같다. 낙하하는데 걸린 시간은 1초라는 것과 중력가속도가9.8m/초²라는 것으로 문제를
풀
듯이 수치예보 모형도 기온, 습도와 같은 대기의 초기 조건과 바다나 산이 있는지와 같은 경계조건을 주면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계산을 수행한다. 이렇게 계산된 값을 가지고 예보관들은 날씨를 예측한다. ... ...
메기에서 강력한 항균물질 발견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관심을 가진 대상은 두꺼비와 황소개구리였다. 이들은 불결한 환경에서 살며 벌레나
풀
과 같은 더러운 음식을 먹지만 몸에 별탈이 없는 생물이다. 김교수는 이들의 피부와 위를 집중적으로 분석했다.그러자 위에서 기존의 항생제 보다 효과가 10-1백배 뛰어난 항생물질이 발견됐다.다음 단계는 이 ... ...
생활속 의약품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육식 동물인 사자가
풀
을 뜯어먹는 광경을 본 적이 있다. 소화를 도와주는
풀
이라고 한다. 배탈이 난 원숭이가 약초를 찾아 숲을 헤매는 모습도 잘 알려져 있다. 자연에 존재하는 식물이나 동물을 천연 의약품으로 이용하는 것은 우리 인간만이 아니라는 뜻이다. 물론 고도의 지능을 가진 인간은 더욱 ... ...
외줄 타는 사람은 왜 긴 막대를 가지고 있을까?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체조 선수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이것을 좀더 과학적으로
풀
어보자.회전하는 물체의 운동을 나타내는 물리량을 물리학에서는 각운동량이라고 한다. 이것은 회전관성과 각속도의 곱으로 나타나는 양이다. 한 계에서 회전 상태를 변화시키려는 토크가 작용하지 않는 한 계의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