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표시"(으)로 총 2,353건 검색되었습니다.
- 뇌의 손상부위 따라 말하기 듣기 건망증 등 언어장애 각각과학동아 l1993년 10호
- 담당(그림 1)을 보면, 브로카 부위와 베르니케 부위를 연결하는 섬유속(纖維束)이 표시되어 있다. 섬유속이라 함은 뇌의 각 부위의 정보를 상호 전달하는 통로를 이루는 세포의 연결을 말한다. 브로카와 베르니케 부위를 연결하는 섬유속은 그 모양이 활(弓)과 같다고 해서 이를 궁형(弓形 ... ...
- 서울의 밤하늘, 경남 단성보다 7배오염과학동아 l1993년 10호
- 같은 조건에서 촬영한 거문고자리 슬라이드를 분광광도계로 분석한 결과 충북진천, 을왕리, 진주 단성 등은 서울 신촌의 밤하늘보다 5-7배이상 어두운 것으로 ... 발전을 위해서 이런 행사가 계속되어야 한다는 맥락에서 주최측과 후원사인(주)쌍용에 고마움을 표시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 ... ...
- PART 2 PIMS 소프트웨어 7과학동아 l1993년 10호
- 기능을 제공한다. 또 알람 기능이 있어서 알람을 설정하고 알람 시간이 되면 메시지를 표시하는 기능도 있다. 반짇고리 각종 생활정보 제공●개발회사 : 보람 소프트웨어●한글환경 : 자체한글●판매가격 : 3만3천원지금까지 나온 PIMS용 소프트웨어를 살피다 보면 한가지 드는 생각이 있다. 이제는 ... ...
- 물리- 전기력과 만유인력은 어떻게 다른가과학동아 l1993년 10호
- 표시할 때 우리는 등고선으로 지도에 표시하는 것처럼, 전위의 굴곡은 등전위면으로 표시한다. 등고선(等高線)이라는 것은 말 그대로 높이가 같은 곳을 이은 선이므로 등고선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은 위치에너지의 변동이 없기 때문에 일을 하는 것이 아니다. 마찬가지로 등전위면(等電位面)은 ... ...
- 지구과학- 지층과 화석, 지구의 현재와 미래까지 알려준다과학동아 l1993년 10호
- 알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자. 그림에서 화석에 연결된 화살표는 이 생물이 살았던 시기를 표시 한 것이다. 예를 들어 어느 지층에서 A와 B의 화석만 발견된다면 그림 (가)시대에 퇴적된 층임을 알 수 있으며 어느 층에서 화석 A B C가 모두 발견된다면 이 층은 그림(나)의 시기에 퇴적된 층임을 알 수 ... ...
- 열 받아야 글씨가 보이는 잉크의 비밀과학동아 l1993년 09호
- 이 결정수를 포함한 화합물을 특히 수화물이라고 하지요. 그래서 ${CoCl}_{2}$ ${6H}_{2}$O라고 표시해요.이에 반해 결정수가 없을 때의 화합물을 무수물이라고 하는데, 염화코발트는 수화물일 때와 무수물일 때의 색깔이 틀려지는 거지요. 즉, 수화물인 용액일 때는 열은 분홍색 또는 붉은색이어서 종이 ... ...
- 지층·생성기원 따라 물에도 나이가 있다과학동아 l1993년 09호
- 오래된 연령의 것을 마시는 게 좋다.물의 나이 측정은 어렵다. 왜냐하면 물에 어떤 표시를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물의 분자식이 ${H}_{2}$O이므로 H의 동위원소계열을 이용한다면 쉽게 알아낼 수 있다. 동위 원소중 물과 함께 움직이는 3중수소(트리치움)의 농도를 ... ...
- 금성 목성 토성 어떻게 관측하나과학동아 l1993년 09호
- 것에 착안하여 항성과 행성을 구별할 수 있을 것이다.성도에는 천구상의 항성만이 표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행성의 움직임을 알아두지 않으면 성도만으로는 원하는 행성을 찾을 수 없다. 행성의 위치를 정확히 알지 못하면 그동안 알고 있던 별자리의 모양이 이상하게 ... ...
- 생물 - 눈, 직경 24㎜의 정교한 카메라과학동아 l1993년 09호
- 최소의 시각이 1분일 때의 시력은 1.0이며, 최소의 시각이 0.5분일 때의 시력은 2.0이라고 표시하는 것이다.사람의 최대의 시력은 시각이 0.5분일때, 즉 2.0이다. 시력의 측정은 란돌트(Landolt)의 고리(C) 또는 스넬렌(Snellen)의 E 문자를 이용한다. 흰 바탕에 검은 선으로 그린 이들 고리 또는 문자의 트인 ... ...
- 「광역 초팽창이론」확립한 천문대 라대일 박사과학동아 l1993년 09호
- 것을 깨달았다고 한다. 라박사는 한원의 일본 번역판에서는 이를 잘못된 표기라고 표시해놓은 것도 확인했다. 요즘 많이 읽히는 '나의 문화 유산 답사기'와 같은 종류의 책을 자연과학자의 입장에서 한번 써보겠다는 것이 그의 조그만 소망이다 ... ...
이전1801811821831841851861871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