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d라이브러리
"
최대
"(으)로 총 4,326건 검색되었습니다.
소개팅에서 성공하는 사랑방정식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찾아 그것을 공략할 전략을 세워라. 상대가 매력적이라면 필수요소 외에 다른 요소도
최대
한 갖춰야 한다.주의할 점은 사랑이 이런 조건만으로 결정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진화심리학자인 전중환 경희대 학부대학 교수는 “사랑에 빠지는 요소는 생물학적, 환경적 요소가 각자의 맥락에서 어떻게 ... ...
세계는 지금 ‘친환경 나노’가 대세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최근 ‘친환경’으로 거듭나고 있다. 지난 2월16일부터 일본 도쿄에서 열린 세계
최대
나노기술 전시회 ‘국제 나노테크 2011’에서는 참가한 기업 두 곳 중 한 곳이 홍보부스 앞에 나뭇잎 모양의 녹색 마크를 달고 있었다. 친환경적 제품이나 기술을 전시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였다 ... ...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교수팀이 있습니다. KIST도 최 교수팀 연구에 협력하고 있습니다.손가락 형 로봇손의
최대
단점은 제어하기가 까다롭다는 점입니다. 손가락이 다섯 개면 관절은 15개가 넘습니다. 공업용 로봇 4~5대에 해당하지요. 이런 로봇들을 조그만 책상 위에 모아두고 서로 협력하면서 일을 하게 만든다고 생각해 ... ...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서비스를 제공했다. 국내 프로테오믹스 연구의 기반을 제공한 것이다.연구원은 또 국내
최대
프로테오믹스 교육 기관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국내에서만 400여 명의 전문연구인력을 배출했으며 31회의 국내외 워크숍을 개최하는 등 다양한 학술활동을 펴며 아시아권의 프로테오믹스 교육을 담당하고 ... ...
한국 우주 전파 관측망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G’를 띄워 지상의 전파관측망과 연결하려는 계획이다. 아스트로-G는 지구에서
최대
3만 6000km까지 멀어지므로 지름이 지구보다도 훨씬 커지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우리가 보유한 상관기는 여기서 얻는 신호를 처리하는 데도 활용할 계획이다. 대한민국 천문학이 세계에서 가장 커다란 망원경을 ... ...
Part 2. 기막힌 운이 승리를 가져다준 쌍륙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2번째와 3번째 칸 모두 상대편 말이 2개 이상 있으면 움직일 수 없다.규칙 ③ 말은 한 칸에
최대
5개까지 모을 수 있다.규칙 ④ 흰 편은 자기편 안육(오른쪽 위 6칸)에, 검정편은 자기편 안육(왼쪽 위 6칸)에 말 15개를 모두 모은 다음, 안육의 一(일) 밖(종착지)으로 내보내면 이긴다. 건너편 말은 상대의 ... ...
수학 논문으로 꿈을 이룬다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식으로 나타냈다.이 논문에서 사용한 가우스 함수란 실수 x에 대하여, x를 넘지 않는
최대
정수를 말한다. 즉 x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 중에서 가장 큰 정수를 x의 정수부분이라 하고, 이것을 대괄호([])를 이용해 [x]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2.1]=2다. 우리는 흔히 [x]를 x 로 나타내고 이것을 x의 최저한도 ... ...
Part 3. 확률과 전략이 절묘할 때 승리하는 윷놀이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수 있어 윷을 이용할 때와 매우 다른 모습이 펼쳐질 수 있다.우리가 이용하는 윷판은
최대
5칸을 이동할 수 있는 모에 알맞게 맞춰져 있다. 따라서 이용하는 도구가 달라진다면 말판도 바뀌어야 서로 어울린다. 즉 주사위를 이용한다면 말판의 경로가 6번째 칸에서 교차점이 나타나도록 수정할 필요가 ... ...
Part1. 왜지구 공학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25~ 40%까지 감축해야 해요. 그걸로는 부족합니다. 2009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사상
최대
치를 기록했어요. 2001년부터 2010년 세계 평균 기온은 역사상 가장 높았습니다. 이렇게 자기 입장만 고집할 때가 아닙니다.D국 현실적으로 우리의 경제와 생활을 포기하면서까지 감축할 수는 없어요. 지금까지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아직 밝혀지지 않은 전자중성미자와 뮤온중성미자 사이의 변환상수는 입자물리학계의
최대
관심사다. 프랑스의 중성미자검출기인 ‘슈(Chooz)’를 이용해 측정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15% 이하라는 사실만 확인했다. 현재 마지막 남은 변환상수를 측정하기 위한 국제 경쟁이 치열하다.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