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수학동아 l2020년 07호
- 하는 천체가 일직선에 위치하면 순간적으로 가장 강한 빛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만약 별과 행성이 렌즈의 역할을 한다면, 지구로 다가오는 빛 앞으로 별이 지나가는 순간과 행성이 지나가는 순간 두 번 반짝이면서 빛의 밝기를 기록한 그래프가 특이한 모양을 갖죠. [수동TV 초대석] 외계행성 ... ...
- 기후변화에 무관심한 정부 우리가 빼앗길 미래는?수학동아 l2020년 07호
- 결과 화산 폭발 전 폭우가 쏟아졌으며, 1790년 이후 칼라우에아에서 발생한 화산 폭발 중 약 60% 이상이 비가 많이 오는 우기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이번 연구결과는 ‘기후변화로 인한 온도 상승 → 일부 지역 게릴라성 폭우 증가 → 잦은 화산 폭발’로 이어지는 흐름에서 강수량 증가가 어떻게 ... ...
- [수학체험실] 추상화의 선구자, 피터르 몬드리안 따라잡기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보고 있자면 ‘황금 사각형’이 생각납니다. 황금 사각형은 짧은 변과 긴 변의 길이가 약 1:1.618의 황금비를 만드는 직사각형입니다. 실제로 몬드리안이 황금비나 황금 사각형의 개념을 미술 작품에 응용했다는 흔적은 없지만, 황금 사각형에 가까운 직사각형을 많이 찾을 수 있습니다. 이번 ... ...
- Chapter 01. 대유행┃ 최근 50년간 인간을 괴롭힌 바이러스 7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일부 섬나라에 소수로 모여 살던 원주민은 전멸했다. 제1차 세계대전 전사자는 약 1000만 명으로 추산되니, 당시 전쟁이 아닌 바이러스로 인한 사망자가 더 많은 셈이다. 그러니 당시 인류에게 전쟁보다 무서운 것은 어쩌면 독감이었을지도 모른다. 그래서 혹자는 바이러스가 제1차 세계대전의 ... ...
- 코로나19 팩트체크┃모기 물려도 전파된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μm는 100만분의 1m) 이상의 입자 분비물이다. 이 속에 바이러스가 포함돼 있는데, 비말은 약 2m까지 날아갈 수 있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비말을 통해 전파되기 때문에 사람들과의 밀접 접촉을 피하고,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권고한다. 또 다른 호흡기 전파는 공기매개가 있는데, 5μm 미만의 작은 ...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벡터를 사용한 선천성 면역결핍증 치료제인 ‘스트림벨리스’는 2016년 유럽의약품청(EMA)의 승인을 받아 판매되기 시작했으며, 아데노연관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한 희귀 유전성 망막질환 치료제 ‘럭스터나’는 2017년에 미국 FDA, 2018년에는 EMA의 승인을 받아 판매 중이다.의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함께 지구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아폴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던 1967년 우주 조약(Outer Space Treaty)을 통해 외계 물질 유입으로 지구 환경이 오염되지 않도록 탐사해야 한다고 규정했다.이에 따라 1969년 최초로 달에 착륙한 아폴로 11호 우주비행사들은 지구로 귀환한 뒤 밀폐된 오염물질 ... ...
- T림프구...바이러스 자살 유도하는 똑똑한 전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면역세포가 T림프구다. 흉선의 알파벳 첫 글자를 땄다. T림프구는 혈액 내 전체 림프구의 약 75%를 차지해 면역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평소 T림프구는 비활성 상태로 2차 림프 기관에 저장돼 있다. 그러다가 항원이 체내에 침입해 대식세포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가까운 지역의 T림프구가 ... ...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신호를 내보내기도 한다. 자연살해세포는 성인 기준 체내에 약 1억 개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연살해세포는 감염 후 수일 내로 작용하는데, 그 기능상의 활성도는 20세를 전후로 최고조에 이르고, 이후 점차 떨어져 60세에는 절반으로, 80세에는 3분의 1 수준이 된다 ...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한창이던 1941년, 영국 옥스퍼드대 생물학과 강사였던 피터 브라이언 메더워의 집에서 약 180m 떨어진 곳에 영국 비행기 한 대가 추락했다. 조종사는 간신히 목숨을 건졌지만, 전신의 60%에 3도 화상을 입었다. 메더워는 그를 돕고 싶었다. 유일한 해결책은 피부 이식이었다. 처음에는 정상 피부를 당겨 ... ...
이전1801811821831841851861871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