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절
절기
시즌
어린시절
어린
철
철강
d라이브러리
"
시절
"(으)로 총 2,272건 검색되었습니다.
21세기 길라잡이 GPS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함께 살펴보자."나는 지금 어디에 있고 어디를 향해 가는가?" 옛날 목축과 수렵을 하던
시절
부터 위치와 방향을 아는 것은 생존을 위해서 필수적이었다. 철새, 꿀벌, 돌고래, 연어 등과 같은 동물들은 나름대로 방향을 알아내는 감각기능이 있어 정확하게 목적지를 찾아간다. 그러나 사람은 절대적인 ... ...
투명과학은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소설의 작가 웰스는 1866년 가난한 상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다지 풍요롭지 않은 유년
시절
을 보내며 자란 그는 포목점, 약국 도제 등으로 생활했으나 장사꾼으로 일생을 마치고 싶지 않은 열망으로 틈을 내 학교를 다녔다.웰스가 예민한 과학적 감각을 소유할 수 있었던 데는 당시 진화론을 가장 ... ...
3. V2에서 벤처 스타까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날이다. 당시 그 일에 참여했던 과학자들은 ‘호호 할아버지’가 돼 40년 전의 긴박했던
시절
을 회상하고 있을 것이다. “그때는 정말 신이 났었는데”라면서 말이다.우주개발의 시작은 2차 세계대전 때 독일군이 개발해 사용했던 비밀병기인 V2 로켓과 관련이 깊다. 우주개발의 수단, 즉 인간이나 ... ...
1. 러시아 현지취재 우주왕국은 무너진 것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방문한 것은 러시아의 취재를 위한 일종의 '우회전법'. 우크라이나는 옛소련
시절
에 로켓을 주로 만들던 나라로 최근 우주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얼마전 러시아로부터 독립했지만 아직까지 우주개발 분야에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협력은 긴밀하게 이뤄지고 있다. 우크라이나에서는 수송기와 ... ...
머리카락도 패션시대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낼 수 밖에 없다.과산화수소와 맥주로 염색을?한때 맥주로 머리를 감아 염색을 시도했던
시절
이 있다. 그러나 맥주로 머리를 감는 것은 염색이 아닌 탈색의 결과를 가져올 뿐이다. 맥주는 약산성의 물질로 모발의 멜라닌 색소를 탈색시키는 역할을 한다.또 일부 학생들은 약국에서 쉽게 구입할 수 ... ...
몸에 숨겨진 성적 신호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착안하여, 여자의 큰 유방이 진화된 이유를 진실광고이론으로 설명했다. 우유가 없던
시절
에는 여자의 모유가 갓난 아기의 생사를 좌우했다. 영양이 좋지 않은 여자가 젖을 제대로 분비하지 못하여 아기를 굶겨 죽이기 일쑤였다. 따라서 사내들은 적절한 양의 피하지방층을 가진 여자를 짝으로 ... ...
4. 한국인의 맛과 향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홀로 두는 것은 위험하다.후각과 마찬가지로 미각도 나이가 들면 매우 약해진다. 젊은
시절
손맛이 좋았던 어머니의 솜씨가 예전같지 않은 것을 종종 발견할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한국인의 감성지표아주대 의대 생리학 연구실에서는 후각과 미각에 대한 객관적 지표를 얻기위한 연구를 하고 ... ...
아기 만드는 기술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때문이다. 이러한 여자들은 난자를 기증받아 체외수정 시술을 시도했으나 이제는 젊은
시절
에 자신의 난자를 냉동보존해두었다가 나이든 뒤에 활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요컨대 냉동난자는 냉동정자가 인공수정에 사용되는 것처럼 자연이 인간에게 부여한 출산연령의 한계를 극복할 가능성이 있다 ... ...
① 사이비 과학과 음모론이 어울린 컬트 픽션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영화로 제작할 것이라는 소식도 들리고 있다.폭스 멀더라는 한 FBI요원이 있다. 어린
시절
여동생 사만다가 외계인에게 납치되고 아버지마저 살해된 뒤, 그는 외계인을 비롯한 초자연적인 현상을 믿게 된다. 그를 불신하는 FBI는 철저한 객관주의자 다나 스컬리를 파트너로 보내 멀더를 견제하고 ... ...
컴퓨터사이언스 경연장 미래가정 엿보기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만난 미래의 가정 모습과 견주어 볼 때 이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컴퓨터 초창기
시절
많은 사람들은 과연 하드디스크라는 것이 존재할만큼 저장용량이 필요할까, 더 나아가 6백MB에 달하는 대용량 저장장치인 CD롬이 대중화될까 의문을 품었다. 결과는 어떠한가. 불과 10년도 안돼 CD롬은 필수품이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