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것"(으)로 총 10,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함수의 지평을 넓힌 로랑 슈와르츠수학동아 l2019년 03호
- 1915년 3월 5일은 프랑스 수학자 로랑 슈와르츠가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난 날입니다. 슈와르츠는 ‘분포’라는 개념을 함수의 미분 가능성을 증명하는 데 도입해 수학자와 물리학자들이 다루는 함수의 영역을 확장시킨 수학자입니다. 이런 공로를 인정받아 1950년 세계수학자대회에서 필즈상을 수상 ... ...
- [2019 태국탐사대 특명] 숨겨진 보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첫 번째 보물 I 대자연삼백 개의 봉우리로 감싼 카오쌈 러이욧 국립공원 “이제 그만 내려가면 안 돼요?”잠시 쉬는 사이 여기저기서 지친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프라야 나콘 동굴로 가는 길, 2019 태국탐사대원들은 본격적인 일정의 첫 시작부터 만만치 않다는 걸 깨달았다. 보트를 타고 비단 같은 ... ...
- [SW 진로체험] 정보보안 이끄는 튜링의 후예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영국 수학자 앨런 튜링은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의 개념을 세계 최초로 생각해내고 디지털 정보 보안 시대를 열었다. 이런 의미에서 현대 정보 보안 기술 전문가들은 튜링의 후예라고 할 수 있다. 수학을 전공한 21세기의 튜링을 만나기 위해 삼성SDS를 찾았다. ●SW와 보안 기술 연구 삼성은 ... ...
- Intro.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한 필수품, 플라스틱의 숙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가볍고 튼튼한 플라스틱은 다양한 재료들을 꾸준히 대체해 왔어요. 이제 플라스틱은 우리 생활에서 빠져선 안 될, 중요한 재료로 자리매김을 했지요. 하지만 우리가 무분별하게 사용한 플라스틱은 작은 생명체들에게 죽음의 칼날이 되어 돌아오고 있어요. 그리고 그 칼날은 서서히 인간을 향해 ... ...
- [3·1운동 100주년] 대한과학 독립만세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우리 조선이 독립국임과 조선인이 자주민임을 선언하노라!”1919년 3월 1일 한반도는 태극기와 만세의 물결로 뒤덮였다. 우리 역사에 영원히 남을 3·1운동의 시작이었다. 일제강점기는 말 그대로 피와 눈물로 얼룩진 우리 민족의 아픈 역사였다. 선조들이 때로는 무력으로, 때로는 교육과 사상으로 ... ...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과학자 박화영의 죽음을 아는가. 박화영은 도쿄제국대학을 졸업하고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 연구원으로 활동하던, 장래가 촉망되던 젊은 조선인 과학자였다. 하지만 그는 1941년 3월 고등학생 때부터 참여했던 연구회가 일제 검찰에게 발각돼 조사를 받던 중 4일 만에 목숨을 잃고 말았다. 혹독한 ... ...
- 청소년 자해, 스스로를 벌주는 아이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아이들이 날카로운 도구로 자신을 찌른다. 긁고 때리고 기어이 피를 낸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는 소위 ‘자해러’의 사진이 끊임없이 올라온다. 유튜브에는 ‘OOO 박고 자살하자’는 노래가 유행가처럼 올라온다. 전문가들은 자해로 감정을 표현하는 이유가 말로 하기 어렵거나 소용없다고 ... ...
- 수압, 감수하시겠습니까... 해저 36m 수중 데이터센터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바닷속에 데이터센터를 건설하려는 기발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바로 마이크로소프트(MS)의 ‘나틱 프로젝트(Natick Project)’다. 지구에 땅도 많은데, 대체 왜 깊은 바다까지 들어가서 데이터센터를 세우려는 걸까.데이터센터는 수많은 서버와 통신장비, 스토리지(저장장치) 등 인터넷 데이터 ... ...
- [로보트 재권V] 로봇팔을 달까, 말까?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인간을 비롯한 영장류는 팔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동물들은 팔 대신 네 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거나 지느러미, 또는 날개를 갖고 있기도 합니다. 동물은 자신이 살고 있는 환경에 가장 잘 적응하기 위해 다양한 모양의 팔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육상동물에게는 팔 대신 다리가 네 개인 경 ... ...
- 아무렇게 뽑아 더해도 같은 집합일까? 에르되시의 합의 추측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수학자들은 자연수 전체에서 일부만 뽑아 그 수들이 어떤 성질을 가지는지 살핍니다. 그 수들에 색깔도 칠해보고, 더해도 보고, 등차수열도 만들고 말이죠. 최근 이런 숫자 뽑기에 관한 적어도 40년 묵은 문제가 풀렸습니다.자연수 전부를 빨강과 파랑 2가지 색깔 중 하나를 골라 그 색으로 나타냅니 ... ...
이전1801811821831841851861871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