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휘장
커튼
장막
발
텐트
싸는 것
보자기
d라이브러리
"
막
"(으)로 총 2,033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외선의 양 측정 콘택트 렌즈 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즉 눈 표면의
막
에 불투명한 돌기가 생긴뒤 이것이 눈동자 위로 자라나 완전히 시야를
막
아버리는 질병이다.오스트레일리아의 퀸스랜드는 햇볕이 쨍쨍 내리쬐는 곳이다. 그 때문인지 그곳 인구의 5% 이상이 익상편으로 고생하고 있다. 태양이 작열하는 미국의 한 지역에서도 지역주민의 13%가 ... ...
남북과학기술교류 물꼬트는 한국의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분포지 조사를 함께해 한의학지식을 발전시키는 데 협력했으면 한다"고 밝혔다.이제
막
물꼬를 트기 시작한 남북의 과학기술교류. 어렵게 시작된 교류가 정치적 난기류속에서도 지속돼 결실을 맺으려면 남북 양측 학자들의 구체성을 담은 교류 노력과 만남이 계속돼야할 것이다. 또 한번의 공명 ... ...
3. 중대형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main frame, 대형컴퓨터) 신기종의 잇따른 발표로 '차세대 메인프레임 시대'의 본격적인
막
이 올랐다.특히 차세대 메인프레임 경쟁은 신제품들의 성능이 기존제품들에 비해 월등히 우수해 새로운 제품 라이프사이클이 시작됐음을 시사하는 한편 IBM의 뒤를 좇는 '수동적' 제품전략에 매달려 왔던 후지쓰 ... ...
「회전해도 무게 줄지 않는 것」으로 밝혀져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함께 세계의 물리학계를 들뜨게 했던 '회전물체 무게감소 논쟁'은 이제 서서히
막
을 내리고 있다. 결론은 '해프닝'쪽에 가깝다.89년 말 일본 도호쿠(東北) 대학 하야사카 박사는 "진공 속에서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물체는 무게가 감소한다"고 미국의 학술권위지인 피지컬리뷰(Physical Review)지에 ... ...
차세대 원전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비상시 1차계통수가 순환될 수 없게 된다면 밀도
막
을 통해 수조의 냉각수가 원자로내로 자연 순환된다. 이때 수조의 냉각수가 중성자흡수물질(neutron absorber)을 함유하고 있다면 운전원의 개입없이 원자로는 자동정지하게 된다. 즉 자연적 물리현상 만으로 원자로의 ... ...
동물한테 배우는 비만치료법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부풀 수 있기 때문이다. 밴더빌트의과대학의 제임스 힐박사에 따르면 "지방세포는 얇은
막
에 들어있는 커다랗고 둥근 지방 방울과 같아 원하는 대로 커질 수도 작아질 수도 있다"고 한다.음식물로 섭취한 지방이 너무 많아서 지방세포가 이를 다 흡수하지 못하면 새로운 세포가 생겨난다. 그런데 ... ...
바퀴식 TGV·신칸센의 신화, 곧 무너진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1964년 일본의 신칸센이 도쿄와 오사카(大阪) 사이를 시속 2백10km 달리기 시작하면서
막
이 올랐다. 그뒤 1972년 프랑스의 TGV가 파리-리용 사이를 시속 2백70km로 주파, 신기록을 세우면서 더 높은 속도를 지향하는 경쟁이 전개되기 시작했다. 물론 이 두 열차는 모두 바퀴로 레일 위를 굴러가는 ... ...
근시·원시·난시를 수술로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수술시간이 1분 이내로 무척 짧고 간단하다. 그렇지만 기계자체가 고가이고(4억~5억원) 각
막
이 절제된 부위에 맨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미세한 혼탁이 남는 단점이 있다. 현재까지 이 수술에 따른 특별한 합병증은 보고되고 있지 않으나 향후 장기적인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수술비용은 ... ...
갈릴레이 망원경에서 전파망원경까지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뉴턴링을 이용하여 연마하는 방법이 발견돼 제작이 쉬워졌다.⦁
막
스토브식1941년 소련의
막
스토브가 고안한 것으로 슈미트 카메라의 비구면 제작이 어렵기 때문에 슈미트 카메라의 보정판 대신에 메니스커스(한쪽은 볼록, 다른 한쪽은 오목렌즈) 구면렌즈를 사용하고 렌즈 중심에 코팅을 해서 ... ...
박테리아 광부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갈아야하는 반면, 금속은 두들겨 쉽게 형태를 만들 수 있다는 강점으로, 석기 시대의
막
을 내리게 했다. 금속은 석기보다 더 굳고 단단하며, 깨지지 않아 보다 영구적인 날을 가질 수 있었다.그러나 단 한가지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금속은 바위보다 구하기가 훨씬 어렵다는 점이다. 사실 '금속'이란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