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큰길
한길
대도
가로수 길
d라이브러리
"
대로
"(으)로 총 2,23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선이 맥주거품을 만든다는데…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버클리대학의 물리학자인 프랭크 크로퍼드가 이 일을 재현해냈다.그는 글레이서의 주장
대로
우주의 소립자가 정말로 맥주의 거품을 만들 수 있는가를 알아내기 위해 감마선을 방출하는 약한 방사선인 코발트 60을 맥주잔에 조사해 보았다. 그러나 새로운 거품은 전혀 생기지 않았다. 계속해서 그는 ... ...
치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잘 걸어 다닌다. 3주가 지나면 고체 음식을 먹을 수 있고 6주가 되었을 때는 생각하는
대로
행동하게 된다. 15주가 되면 발톱을 안으로 집어 넣는 비법도 익힌다.동물학자 케이드에 따르면 출생한지 몇주가 지나면 어미가 새끼에게 먹이를 주지 않고 새끼들 스스로 먹이를 구하도록 유도한다고 한다. ... ...
누가 아인슈타인을 거역하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늘어난 부피에 비례해서 전체 에너지가 늘어나는 진공의 팽창에서는 기체의 경우와는 반
대로
압력이 마이너스로 작용하는(즉 장력이 작용하는) 탄성체에 비유된다. 이는 고무줄이 늘어나는 것을 연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요컨대 진공의 에너지밀도가 일정(그렇지 않다면 '진공의 대칭성'이 ... ...
슈퍼컴퓨터 만들기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의해서 날개모양을 만들고 몸통도 대충 어떤 모양이 될 것인가 구상해본다. 생각나는
대로
설계도를 만들고 이에 따라 실물을 제작할 때 어떤 일이 생길까. 만약 설계상에 약간의 문제점이 있어서 새로이 모델을 바꾸어야 한다면 그전에 만든 비행기는 순식간에 고철덩어리가 되어 버릴 것이다. ... ...
한글코드 「조합형」으로 바꿔야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충실히 따르고 있지 미국 같은 나라조차도 자기네 ASCII(아스키, 미국표준코드)를 그
대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내부코드는 조합형으로 하고 통신을 할 때 ISO규격에 맞게 코드를 변환시켜도 충분하다"고 주장한다. 최근 젊은 프로그래머들이 개발한 '한글'워드프로세서 '이야기 ... ...
하늘에서 레몬주스가 떨어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한다. 또 자동차배기가스를 통해 뿜어져 나오는 납을 흡입하면 납중독에 걸리게 된다.
대로
변이나 고속도로변의 먼지, 흙 및 식물에서 검출된 납은 자동차에서 배출된 것으로 생각된다 ... ...
초정밀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일치하지 않으면 서로 다른 자(尺)로 각각의 부품을 만드는 결과가 되어 호환성이 없어 제
대로
조립이 안될 것이다.또한 심오한 과학기술의 실험에서 얻어진 데이터도 그 데이터를 얻은 측정기가 표준에 일치하지 않는 것이면 믿을 수 없는 데이터가 되어버린다. 이와 같이 모든 측정의 기준이 되는 ... ...
만약 오줌이 저절로 나온다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아무 곳에서나 보면 왜 안되는지를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옷을 입고 있어도 그냥 그
대로
소변을 보게 된다. 이 증상은 노망든 노인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다.우리가 보통 요실금으로 분류하지는 않지만 요실금과 마찬가지로 소변을 보려고 하지 않았는데도 소변이 흘러나오는 경우가 또 하나 있다. ... ...
뉴미디어 제조공장MIT 미디어연구소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기존의 매체-신문 잡지 책 TV 등-를 종합한 새로운 전자미디어를 노린다. 앞서 말한
대로
개인화가 키포인트다.⑤3차원 영상 : 홀로그래피를 이용한 3차원 영상, 3차원 TV 등을 꿈꾸고 있다. 제너럴 모터스와 국방부가 연구자금을 대고 있다.⑥음성연구 : 미일의 전화회사와 국방부 등과의 계약으로 ... ...
과학으로 풀어본 야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재미를 보지 못했다. 한국과 미국의 대도(大盜)인 김일권과 리키 핸더슨은 나름
대로
의 비법을 터득하고 있기 때문에 칼 루이스와 도루왕자리를 다툰다고 할지라도 결코 뒤지지 않을 것이라는 게 야구전문가들의 견해다.투수와 포수간의 거리인 18.4m를 공이 날아가고 포수가 이 공을 재빨리 잡아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