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교
상업
여자
하이스쿨
상업고등학교
여자고등학교
여자상업고등학교
d라이브러리
"
고등학교
"(으)로 총 2,100건 검색되었습니다.
잘못 쓰이고 있는 과학기술용어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우리도 덩달아 그렇게 따라 읽게된 것이다. 심지어는 필자가 얼마 전에 조사한 어떤
고등학교
교과서에도 버젓이 이 말이 쓰여 있는 실정이다.지구과학을 가르치고 있는 사람으로서 과학기술용어 중 가장 잘못 사용하고 있는 것은 바로 '과학'이라고 생각한다.과학의 원래 의미는 '생각하다'라는 ... ...
이성주 교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지금도 큰 행사만 있다면 천리를 마다하지 않고 모인다고 한다. 대입 시험준비가 한창인
고등학교
3학년 때 일식이 있었는데 서로 연락도 하지 않았음에도 한사람도 빠지지 않고 다 모인 적도 있다. 이들 중에는 천문학을 전공으로 택한 친구도 있다.이성주씨는 남을 가르치는 일에 매력을 느껴 ... ...
스웨덴 국제수학올림피아드를 다녀와서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수학문제가 해설되고 있다고 한다.미국은 각
고등학교
에서 선발된 학생들에게 미국
고등학교
수학시험(객관식 30문항, 90분) 문제를 풀게함으로써 1차로 걸러내고 있다. 이 시험에서 1백점 이상(1백50점 만점)을 받은 학생만 1차 관문을 통과시키는 것이다. 이들은 다시 미국 초청시험(단답형 15문항, ... ...
'과학기자재 보내기 운동'을 다시 본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대신하기 때문에 막상 교단에 섰을 때의 지도능력은 곧잘 한계에 부딪친다. 따라서 초중
고등학교
의 과학기자재를 제대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과학교육을 전공하는 미래 교사들의 실험실습교육도 간과할 수 없다.보다 구체적으로는 실험기구자체의 개발도 요구된다. 국내의 ... ...
임진강 유역에서 화산폭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독자들 중에서도 이러한 의문을 품어 보았던 적이 있는 사람이 적지 않을 것이다.현재 중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에는 한반도에 인간이 등장한 것은 구석기시대 전기인 70만년 전부터라고 기술돼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학계 성원 모두의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있으며, 실제로 한반도에 처음 사람이 ... ...
비유클리드기하학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Euclid)기하학은 우리가 중
고등학교
수학시간 때 배운 기하학이다. 이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비유클리드기하학은 곡면의 기하학으로 알려져 있다.알다시피 기하학은 도형의 성질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그렇다면 맨먼저 그 도형이 놓인 공간의 성격이 규정 돼야 한다. 기하학은 공간관을 전제로 하는 데 ... ...
금성이 반달처럼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과학 과목이 다 그렇듯이 천문학도 나열된 지식을 암기하는 식으로 학습돼서는 안된다.
고등학교
에서 천문학을 배운 학생이 "형, 화성은 정말 붉어?"라고 묻는 동생의 질문에 대답할 수 없다면, 그 학생은 틀림없이 선생님이 칠판에 동그라미만 잔뜩 그렸다는 기억밖에 남지 않았을 것이다.앞에서 ... ...
2. 교사·학생에 친근한 도구로 인식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있다.공식적인 교육과정의 하나로서 컴퓨터과정(course)을 제공하는 것은 우리나라로 치면
고등학교
단계인 주니어 칼리지 수준에서부터다. 여기에서는 대학에서 컴퓨터 과학을 전공하거나 정보처리 분야에서 일할 학생들을 위한 명실상부한 고등 수준의 컴퓨터 과학을 가르친다. 컴퓨터 교육과 함께 ... ...
(2) 엔트로피와 화석이 창조론을 지지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확률적으로 볼 때 단백질 하나도 우연히 생기기 어려운데…" - 창조론의 입장사람은 어디에서 왔고 동식물이 어떻게 생겨났으며 지구 해 별 등 우주의 궁극적 기원은 무엇일까.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생을 통해 한번쯤은 직면하게 되는 문제다.생명의 기원에 관한 두 가지 모델이 있다. 하나는 무생 ... ...
현장경험 강조하는 독일의 실용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중·
고등학교
(gymnasium)를 마치고 대학진학 시험(abitur)에 합격해야 한다. 한국의 인문계
고등학교
에서 문과반과 이과반으로 나뉘어 대학 진학 준비를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독일 학생은 11학년 부터 자기가 하고자 하는 전공에 따른 필수과목을 이수하게 된다. 예를 들어 공과대학으로 진학하기 ... ...
이전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다음
공지사항